어제로 학부에서의 마지막 수학 시험을 쳤다. 아직은 시험기간이고 조교일로 금요일까지는 시험과 관련한 일이 남아 있지만, F만 아니면 더 이상 수학 수업을 들을 일은 없을 것 같다.
고등학교 1학년 때, 문과냐 이과냐, 로 갈등하면서 수학, 한 가지 이유로 이과를 택했고 그래서 대학을 선택할 때도 수학과 중에서 '선택'했다. 그랬기에 수학과 생활을 잘 했을 거라고 짐작할 수도 있겠지만, 적응 못하고 몰래 도장 파서-_-;; 휴학까지 했다. 물론 그 "부적응"은 수학과와 관련한 것이라기보다는 대학 생활 전반에 관한 것이지만, 루인이 원하는 것과 대학에서 가르치는 것 사이의 괴리는 있었다.
루인이 원한 건 수학이 어떤 철학적 기반에 있는지, 수학을 통해 어떤 식으로 삶을 해석할 수 있는지, 하는 부분들이었다. 하지만 이런 걸 가르치는 과목은 없다. 남아있는 방법은 유일한데, 혼자서 공부하는 것.
그랬기에 할 수 있는 선택은, 시험이야 졸업을 위해서라도 기존의 방식을 따른다 해도 그 외의 시간(시험기간을 제외한 시간)엔 루인 식으로 해석하기였다. 비록 그것이 "무식한 오독"일 수 있다 하더라도.
그래서, 일테면 투사projection란 개념을 배운 것도 이런 과정을 통해서이다. 즉, 심리학/정신분석학을 통해 투사 개념을 배운 것이 아니라 위상수학을 통해 투사 개념을 몸앓았다. 차이difference 역시 페미니즘을 통해서 몸앓은 측면도 있지만 미적분을 통해 그 의미를 확장하고 더 풍부하게 몸앓을 수 있었다.
이렇게 수학을 루인 멋대로 해석하며 배운 소중한 자산은, 중요한 건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라는 것이다. 혹자는 고등학교 수학의 경우 정석 문제집만 달달 외우면 된다고 하지만 그렇지 않다. 수학은 답을 요구하는 학문이 아니라 답을 찾아가는 과정의 학문이다. 그것도 어떻게 하면 가장 아름다운 형태로 답을 찾아갈 것인가를 고민하는. 1+1의 답이 2인 건 유치원생 정도라도 알고 있겠지만 2라는 "정답"보다는 어떻게 해서 2가 되는가를 고민하는 과정. (이런 연유로 문제풀이과정/레시피는 하나가 아니라 무수히 많다.)
또 하나의 소중한 자산은, 전제를 질문하는 것이다. 수학 수업을 들어본 사람은 알겠지만 수업 첫 시간에 배우는 내용은 증명이나 결과들이 아니라 그 수업/내용이 어떤 위치/맥락에 있는가, 이며 어떤 전제에서 출발 하는가 이다. 일테면 "차이가 차별이 되어선 안 된다"란 언설이 있다. 비록 이 언설 자체도 의미가 있겠지만 이런 언설은 "차이" 자체를 질문하지는 않는다. "차이"가 있음을 당연시 한다. 반면 "차이"는 누구에 의해 어떻게 구성/발명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 페미니즘, 트랜스, 이반정치학 등등이면서 동시에 (루인이 배운) 수학이다. 흑인과 백인은 다르지만 차별해서는 안 된다가 아니라 어째서 피부색이 차이로서 의미를 가지며 그로인해 비가시화되는 집단/권력은 누구/무엇인가를 질문하는 것. 이런 학문적 토대였기에 삼각형의 세 각의 합이 반드시 180도는 아니던데, 라며 다른 기하학을 열었고 괴델과 같은 이가 등장할 수 있었다.
루인이 수학을 몸앓으며 가장 신났고 소중한 지점들은 바로 이런 지점들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이 루인게게, 글쓰기 방식/형식이나 말 하는 방식/내용 등에서 수학과 티가 난다고 말하면 당황한다. 그 사람이 의미하는 수학(과)적인 것은 무엇일까. 논리적인 글쓰기? 하지만 논리는 사회학과나 철학에서도 중요하다고 알고 있다. 더구나 논리란 것도 시대에 따라 그 시대가 수긍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이다. 루인이 아는 한, 수학에서 중요한 것은 논리이기도 하지만 상상력이다. 이 상상력이 기존의 권위를 도전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자원이다. 일테면 학부생이 교수의 해석과 다른 해석을 제안했고 그것이 아름답다면 그 자리에서 곧 바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야기가 이상한 쪽으로 빠지는데, 수학도 과학일 때, 황우석 집단이 재검증을 수용하지 않겠다고 했을 때,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던 이유 중 하나가 이것이다.)
아마 이쯤 되면, 문학도 그래, 사학도 그래, 등등의 얘기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 그러니 "결론은 버킹검"이 아니라-_-;;; 학문을 칼로 두부 자르듯 그렇게 구분할 수 없다는…;;; 무슨 결론이 이래? 흐흐;;;;;
이제 수업을 통해서는 더 이상 수학과 만나지 못한다는 사실이 아쉽다. 대학원에 가서도 수업을 들을 수 있지 않느냐고 말하겠지만 그럴 엄두는 안 난다. 그저 가끔씩 수학책을 읽으며 그 정도에 좋아할 밖에.
고등학교 1학년 때, 문과냐 이과냐, 로 갈등하면서 수학, 한 가지 이유로 이과를 택했고 그래서 대학을 선택할 때도 수학과 중에서 '선택'했다. 그랬기에 수학과 생활을 잘 했을 거라고 짐작할 수도 있겠지만, 적응 못하고 몰래 도장 파서-_-;; 휴학까지 했다. 물론 그 "부적응"은 수학과와 관련한 것이라기보다는 대학 생활 전반에 관한 것이지만, 루인이 원하는 것과 대학에서 가르치는 것 사이의 괴리는 있었다.
루인이 원한 건 수학이 어떤 철학적 기반에 있는지, 수학을 통해 어떤 식으로 삶을 해석할 수 있는지, 하는 부분들이었다. 하지만 이런 걸 가르치는 과목은 없다. 남아있는 방법은 유일한데, 혼자서 공부하는 것.
그랬기에 할 수 있는 선택은, 시험이야 졸업을 위해서라도 기존의 방식을 따른다 해도 그 외의 시간(시험기간을 제외한 시간)엔 루인 식으로 해석하기였다. 비록 그것이 "무식한 오독"일 수 있다 하더라도.
그래서, 일테면 투사projection란 개념을 배운 것도 이런 과정을 통해서이다. 즉, 심리학/정신분석학을 통해 투사 개념을 배운 것이 아니라 위상수학을 통해 투사 개념을 몸앓았다. 차이difference 역시 페미니즘을 통해서 몸앓은 측면도 있지만 미적분을 통해 그 의미를 확장하고 더 풍부하게 몸앓을 수 있었다.
이렇게 수학을 루인 멋대로 해석하며 배운 소중한 자산은, 중요한 건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라는 것이다. 혹자는 고등학교 수학의 경우 정석 문제집만 달달 외우면 된다고 하지만 그렇지 않다. 수학은 답을 요구하는 학문이 아니라 답을 찾아가는 과정의 학문이다. 그것도 어떻게 하면 가장 아름다운 형태로 답을 찾아갈 것인가를 고민하는. 1+1의 답이 2인 건 유치원생 정도라도 알고 있겠지만 2라는 "정답"보다는 어떻게 해서 2가 되는가를 고민하는 과정. (이런 연유로 문제풀이과정/레시피는 하나가 아니라 무수히 많다.)
또 하나의 소중한 자산은, 전제를 질문하는 것이다. 수학 수업을 들어본 사람은 알겠지만 수업 첫 시간에 배우는 내용은 증명이나 결과들이 아니라 그 수업/내용이 어떤 위치/맥락에 있는가, 이며 어떤 전제에서 출발 하는가 이다. 일테면 "차이가 차별이 되어선 안 된다"란 언설이 있다. 비록 이 언설 자체도 의미가 있겠지만 이런 언설은 "차이" 자체를 질문하지는 않는다. "차이"가 있음을 당연시 한다. 반면 "차이"는 누구에 의해 어떻게 구성/발명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 페미니즘, 트랜스, 이반정치학 등등이면서 동시에 (루인이 배운) 수학이다. 흑인과 백인은 다르지만 차별해서는 안 된다가 아니라 어째서 피부색이 차이로서 의미를 가지며 그로인해 비가시화되는 집단/권력은 누구/무엇인가를 질문하는 것. 이런 학문적 토대였기에 삼각형의 세 각의 합이 반드시 180도는 아니던데, 라며 다른 기하학을 열었고 괴델과 같은 이가 등장할 수 있었다.
루인이 수학을 몸앓으며 가장 신났고 소중한 지점들은 바로 이런 지점들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이 루인게게, 글쓰기 방식/형식이나 말 하는 방식/내용 등에서 수학과 티가 난다고 말하면 당황한다. 그 사람이 의미하는 수학(과)적인 것은 무엇일까. 논리적인 글쓰기? 하지만 논리는 사회학과나 철학에서도 중요하다고 알고 있다. 더구나 논리란 것도 시대에 따라 그 시대가 수긍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이다. 루인이 아는 한, 수학에서 중요한 것은 논리이기도 하지만 상상력이다. 이 상상력이 기존의 권위를 도전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자원이다. 일테면 학부생이 교수의 해석과 다른 해석을 제안했고 그것이 아름답다면 그 자리에서 곧 바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야기가 이상한 쪽으로 빠지는데, 수학도 과학일 때, 황우석 집단이 재검증을 수용하지 않겠다고 했을 때,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던 이유 중 하나가 이것이다.)
아마 이쯤 되면, 문학도 그래, 사학도 그래, 등등의 얘기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 그러니 "결론은 버킹검"이 아니라-_-;;; 학문을 칼로 두부 자르듯 그렇게 구분할 수 없다는…;;; 무슨 결론이 이래? 흐흐;;;;;
이제 수업을 통해서는 더 이상 수학과 만나지 못한다는 사실이 아쉽다. 대학원에 가서도 수업을 들을 수 있지 않느냐고 말하겠지만 그럴 엄두는 안 난다. 그저 가끔씩 수학책을 읽으며 그 정도에 좋아할 밖에.
덧..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14
#몰래 도장 파서 휴학하는 거, 원츄예요. 흐흐.-_-;; 소심한 루인은 2만원 가까이 하는 비싼 도장을 팠다는ㅠ_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