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그렇듯 사전 약속 없이 만났다. 만나자는 문자가 왔고 그러자는 답장을 보냈다. 아핫.

시원한 토요일 밤엔 사람들이 많다는 걸 배웠다. 특히나 홍대 같은 곳은 피해야할 대표적인 곳. 그렇게 사람 많은 홍대를 몇 시간씩 걸어다녔다. 한적한 곳을 찾아, 와우산이란 곳엘 가기도 했다. 산이 있다는 걸 처음 알았고 모르긴 몰라도 백만년 만에 산에 올라간 것 같다-_-;; 산행도 운동이라면 운동도 백만년 만인것 같다-_-;;;;;;;;;;;;;;;;

이런저런 얘기를 나눴다. 어떻게 사는지, 어떻게 살건지.. 요즘 어떻게 지내는지..

그러며 종종 어색하고 예전만큼 신나지도 않은 우리들을 발견했다. 그냥 심드렁한 것만 같은 모습. 친구는 회사원이고 루인은 학생이니 점점 관심사나 흥미가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공통점이 조금씩 달라지고 있기에 만나면 어색함을 느끼기도 한다.

하지만 앞으로도 만날 것을 알고는 있다. 만날 즈음엔 어색함과도 같은 느낌이 감돌지만 헤어질 즈음엔 헤어지기 아쉬울 만큼 열을 올리며 이야기를 나누기 때문에.

서서히 친해졌지만 그래서 오래 만나고 있는 관계이듯 그렇게 오래 계속될 것을 알고 있다.
2005/08/20 23:55 2005/08/20 23:55
몸이 아팠다. 이 말은 병이 나서 아팠다는 것이 아니라 "언어 없음"으로 인한 몸앓이였다. 타인의 행동에 부당함 혹은 폭력성을 느꼈지만 그것을 표현할 언어가 없었다. 비단 타인의 행동에 대해서 뿐이랴. 루인,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잘못했는데, 분명 어떤 행동에 스스로도 깨림칙함을 느꼈는데 왜 그런지 설명할 수 있는 언어가 없었다. 그래서 그냥 지냈고 그런 불편함들이 몸에 쌓여 가면서 아프기 시작했다.

그래서 언어를 찾았는가.
혹은 언어를 배웠는가.

그 말을 기억한다. "자기 목소리를 가져라." 혹은 "자기 언어를 가져라." 이 말에 매혹되었다. 언어와 소통에 천착하는 루인이기에 이 말은 그 자체로 매혹이었다. 하지만 충돌하는 감정들. 이 감정의 출처는 어디일까.

소위 진보적이라고 자처하거나 운동권이라고 불리는 집단에서 "딸들아 깨어나라"와 같은 노래를 부른다고 들었다. "딸"은 깨어나야 할, 계몽되어야 할 대상인가. 정희진 선생님의 말처럼 "성차별에 저항하는 여자는 나쁜 여자로 찍히고, 가만있으면, “여성들이 의식이 없어서 문제”"고 여긴다. 마찬가지로 "목소리를 가져라", "언어를 가져라"는 말은 목소리나 언어가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렇다면 이는 "딸들아 깨어나라"처럼 계몽의 대상이라는 타자화/대상화와 얼마나 다른가.

목소리가 없었다고 언어가 없었다고 몸앓지 않게 되었다, 어제 쓴 글에서도 적었듯. 목소리가 없는 것이 아니라 말하고 있지만 그 말을 들을 수 있는 귀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그 말들, 언어들이 억압되고 억눌려진 것이다.

몸이 아팠던 건, 그리고 지금도 아픈 건, 언어가 없어서 생기는 감정들의 충돌들 때문이 아니라 억압하고 있는 자기 안의 언어/감정들이 깨어나려고, 발화하려고 몸을 타고 돌기 때문이다. 언어가 없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를 들을 귀가 없다는 것을 알기에 혹은 그 언어를 발화하면 '처단'될 지도 모른다는 불안 때문에 언어가 없는 것처럼 가장假裝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런 가장된 행동이 자신을 더 아프게 하는 '역설'적인 상황.

"언어를 가져라", "목소리를 가져라"가 아니다. (이런 언설은 또한 몸과 정신의 이분법을 가정한다.) 자신의 몸이 곧 언어이고 목소리며 감정이다. 페미니즘은 언어를 주거나 목소리를 주는 것이 아니라 억압된 언어/감정을 드러낼 수 있는 용기라고 몸앓는다. 그래서 아픈 몸 혹은 '무력감'은 허약함 혹은 약자/타자의 '약점'/본질이 아니라 발화하려는 몸의 팽팽한 긴장감이다. 몸이 아픈 건 현 상황에 부당함, 불편함을 느끼는 몸의 또 다른 발화 방식인 것이다.

자기 몸에 가장 편한 언어가 있다고 몸앓는다. 그 언어는 하나가 아니라 다양해서, 때론 모순처럼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모순이 아니며 오히려 그것을 모순으로 여기며 한 가지 방식의 목소리만 강제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런 다양한 몸언어를 발화할 수 있기를...

Audre Lorde의 시 [Latany For Survival]를 기억한다.

and when we speak we are afraid
our words will not be heard
nor welcomed
but when we are silent
we are still afraid

So it is better to speak
remembering
we were never meant to survive.

어차피 잃을 것도 없다면, 아픈 몸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랑에도 올린 글이랍니다..
2005/08/20 17:30 2005/08/20 17:30
bell hooks의 [Talking Back] "7. feminist scholarship: ethical issue"에 붙여


흑인만이 흑인 문화에 대해 말할 수 있다거나 한국인만이 한국 문화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식의 언설은 본질주의와 cool함이다.

이 말은 백인 혹은 비흑인은 본질적으로 흑인 문화를 이해할 수 없거나 말할 수 없다는 식의 결정론이며 그로인해 백인 혹은 비흑인에겐 책임이 없다는 식의 cool함을 의미한다. 결국 흑인의 노예제 경험은 흑인에게 책임이 있으며, 현재의 성역할sex role은 그것이 사회적으로 가장 적합하다는 구조기능주의에 빠지기 쉽다. 주지하다시피 cool함은 무책임함이며 '나'는 세상과는 고립된, 탈육화된, 초월적인(disembodiment, disinteresting) 존재라는 착각의 산물이다. 누구나 타인에 대해 말할 수 있으며 말해야 한다고 몸앓는다. 문제는 어떤 식으로 말 하는가 이다.

호명으로서의/젠더로서의 '남성'은 모든 것(생리휴가라던가, 생리대면세 등)에 대해 말할 수 있다고 믿지만/믿어 의심치 않지만 호명으로서의/젠더로서의 '여성'이 군대의 문제점에 대해 말하면 군대도 안 갔다 왔으면서 무슨 '자격'으로 말 하냐며 (사이버) 성폭력을 휘두른다. 이는 주체subject로 착각하고 사는 이들의 권력적 불안이며 일상화된 폭력이다. 그리하여 이런 식의 말하기는 타인에 대해 말하기라기보다는 순전히 자신의 불안에 대한 신경질적인 반응이다.

타인에 대해 말하는 것은 '나'에 대해 말하는 것이며 동시에 기존의 앎을 유지한 체 말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자신을 버리고 새로운 자신과 만나는 것이다. 타인과 만나 대화를 하고서도 기존의 편견(폭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면 그건 대화가 아니라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긴다"는 식의 횡포일 뿐이다.

타인에 대해 (그리고 자신에 대해) 더 많은 담론이 있어야 하고 그런 담론들로 소통해야 한다고 몸앓는 이유는, 말하고 듣기 자체가 하나의 저항행위이면서 기존의 유일보편의 "말씀"을 상대화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인종차별적인 사회에서 백인들만이 전문가로서 비백인들의 경험에 대해 말하거나(데이터화 하거나), 이성애주의 사회에서 비이성애에 대해 말하는 이성애자의 언설만이 ‘권위’를 부여 받거나, 성차별적인 사회에서 '남성'만이 다른 성들에 대해 말한다면 이는 기존의 권력체계를 강화, 유지 시키는 방식일 뿐이다. 그렇다고 반대의 상황만이 '정당'하다고도 몸앓지 않는다. '남성'이 다른 성들에 대해 말하듯 다른 성들도 자신에 대해 그리고 또 다른 성들('남성'을 포함하여) 에 대해 말하고 그 말을 들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어떤 상황에 대해 다양한 담론들이 존재한다면 그때에야 비로소 소통이 가능해지고 타인에 대해, 타인과 함께 말할 수 있게 된다고 몸앓는다.


#말하고 듣기

2005/08/19 18:50 2005/08/19 18:50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