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자주 나를 라디오키즈라고 고민한다. 이 구절을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일은 잘 없지만(사실 뜬금없는 말이다) 그럼에도 이 말은 내 삶의 일부를 잘 포착한다.

물론 나는 Video Killed the Radio Star라는 노래가 등장한 이후 이 세상에 출고되었다. MTV의 세대, TV 매체가 주류를 이루던 시대에 세상에 출고되었으니 TV 매체에 더 많이 노출되었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나는 라디오를 더 많이 들었는데, 마침 어릴 때부터 집에 라디오가 있었고 혈연가족의 다른 이들은 모두 TV를 선호했기에 라디오는 내가 독점할 수 있는 매체이자 기기이기도 했다. 집에 있으면 종일 라디오를 켜두었고, 시험공부를 할 때도, 수험 공부를 할 때도 라디오를 들었다. 라디오를 좋아한 이들은 알겠지만 과거에 라디오는 시간에 종속된 매체이자 휘발성이 강한 매체였다. 한 번 흘러간 사연은 다시 나오지 않았고, 이미 지나간 시간을 다시 잡기는 어려웠다. 노래를 듣고 나서야 그 노래가 맘에 들 때, 가수도 제목도 알기 어려웠다. 그러니 언제나 순간을 포착하고 싶어 했고 그것은 늘 실패와 미완성, 혹은 불완전을 동반했다.

그럼에도 나는 라디오를 계속 들었다. 라디오 헤븐. 이문세가 사연을 보낸 청취자를 힐난하는 소리를 들었고, 창원MBC인지 마산MBC인지는 모르겠지만 가수 하림이 속했던 그룹 벤이 출연해서는 이번에는 꼭 성공하겠다고 춤도 추기로 했다고 다짐하는 말을 듣기도 했다. 에세이라는 그룹의 안단테라는 곡을 들려준 유희열은 노래 속도가 안단테가 아니라며 불만을 표하는 멘트를 했었다. 물론 다 휘발된 기억이다. 벤은 결국 성공하지 못했고 하림은 군대에 갔고 이후 인생은 이미 너무 유명하니... 주파수를 바꿔가며 라디오를 들었던 삶.

서울에서 처음 혼자 살기 시작했던 시절, 라디오는 인테리어의 일부이자 공기의 일부였다. 특정 음악을 들을 때만 제외하면 나는 항상 라디오를 켜두었다. 라디오를 들으며 잠에서 깼고, 나른한 사연을 들으며 오후의 소금처럼 뜨거운 태양을 견뎠고, 늦은 밤이 조금은 덜 쓸쓸하고 덜 우울할 수 있었다. 시선집중이 시작되었을 때는, 라디오를 듣기 위해 일부러 아침 6시에 깨었고 손석희와 김종배의 만담에 낄낄거렸다. 정선희의 목소리가 유쾌했으며(하리수를 향한 친밀한 혐오 농담도 들었고), 양희은의 목소리는 언제나 체제에 가장 순응적이라는 착각을 일으키면서도 틈새를 만드는 방식을 고민하게 했다. 그렇다. 라디오는 시간에 종속되어 있으며 시간은 목소리라는 형태로 흘러갔으며, 목소리처럼 휘발되어 포착되기 어려웠다. 라디오는 휘발되는 소리라는 것이 주는 위로.


SNS를 하지 않는다. 트위터가 한국에서 이제 막 유행하던 시기에 들어갔다가, 더 많은 사람이 사용하기 직전에 탈출했고 구글플러스를 한동안 사용했지만 그것도 오래 가지 않았다. SNS는 내가 오래 머문 적 없지만 언제나 관심이 많은 매체에 가깝다. 주변에 SNS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고, 이제 SNS는 단체 행사 소식, 사건사고 소식, 논쟁, 현재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논의가 진행되는 곳이기에 SNS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말은 곧 이 세상, 혹은 내가 주로 참여하는 사회와 거리를 두겠다는 태도라고 평가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래서 늘 SNS를 사용해야 하나라는 고민을 하지만 그럼에도 결국은 하지 않기로 한다.

그러니 SNS와 관련한 고민은 나의 고민보다는 타인의 고민에서 배우는 것에 더 가까운데, 그 중 가장 인상적인 표현은 내가 만든 세상이었다. 나의 타임라인에 흘러가는 논의는 내가 만든 세상이며, 본계의 경우에는 누구에게나 보여줄 수 있는 세상일 때도 많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자조적으로 타임라인만 보면 녹색당과 정의당이 200석이고 민주당이 좀 있고, 국민의힘은 아예 없거나 거의 없는 세상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혐오가 없는 세상이며, 혹은 혐오에 가장 민감하고 예민한 세상이며 그래서 어쩌면 가장 이상적인 세상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SNS를 자주하는 사람들 중에서 SNS를 유토피아라고 말하는 사람은 또 만나지 못했다. SNS가 유용하다는 말에는 많은 이들이 동의하지만, 새로운 정보를 접하기에 유용하고 홍보하기에도 유용하지만... 내가 만든 타임라인의 세상이 내가 살고 싶은 세상인가. 왜 내가 구축한 세상이 내가 살고 싶은 세상은 아닌가라는 질문은 더 많은 고민을 남긴다.

내가 만든 세상이라는 말은 나의 관심사로만 구축된 세상이라는 뜻인데, 나의 관심사로만 구축된 세상이 과연 좋은 세상일까? SNS는 안 하지만 유튜브는 종일 들으니 관심사로 구축된 세상이 어떤 모습인지는 충분히 가늠할 수 있다. 그런데 언젠가 라디오에 나온 한 심리학자가 말해준 내용을 늘 떠올린다. 유튜브 홈 화면에 한두 가지 주제만 나온다면 그 삶을 다시 되돌아봐야 한다고... 관심 주제가 한두 가지로 국한된다면 심리학적으로 건강한 상태는 아니라고. 관심사를 많이 넓히고 새로운 정보, 새로운 의견, 새로운 소식에 자신을 열어 둬야 한다고...


SNS 시대에 라디오 듣기.

이것은 유튜브 시대에 가장 각광받는 매체가 라디오라는 말을 하려는 것이 아니다. 개인화된 정보, 개인화된 화면, 개인화된 검색 결과... SNS 시대라는 말의 핵심은 단순히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와 같은 특정 SNS를 사용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모든 것이 개인화되고, 개인의 관심으로만 구축된 세상에서 살기 시작했다는 의미에 더 가깝다. 그리하여 낯설고 관심 없는 타인의 목소리가 기입될 여지가 없는 세상.

그래서 나는 매일 반드시 라디오를 듣는다. 사실 이것은 선후 관계가 바뀐 표현이다. 나는 라디오를 들었고, 지금은 유튜브로 라디오를 듣는다(하지만 나는 유튜브를 듣는다고 표현하기보다 라디오를 듣는다고 더 많이 표현한다). 한때 라디오는 시간에 종속된 휘발적 매체였기에 동시간대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은 한 가지 뿐이었지만, 유튜브 시대에 다시 듣기를 할 수 있게 변했다. 그래서 나는 하루에 두 번 오늘의 날씨 정보와 아침 7시 즈음의 교통 정보를 듣는다. 아침 라디오 방송을 두 개 정도는 듣는다는 뜻이다. 처음엔 그냥 내가 좋아하는 매체여서 유튜브로 라디오를 듣지만, 이제는 삶의 중요한 일상이자 정치적 실천으로서 라디오를 듣는다.

공중파 방송은 내가 구축한 세상이 아니며, 청취자와 빈번하게 피드백을 한다고 해도 기본적으로 PD와 작가와 진행자가 조직한 내용으로 구축한 세상이다. 그리고 그 세상은 내가 관심이 많은 주제를 들려주기도 하지만(예를 들어, 시선집중은 매주 금요일마다 10.29 참사 유족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어 유족과 고인의 구체적 삶을 배울 수 있다) 내가 결코 찾아듣지 않을 집단의 의견도 들려준다. 그 세상은 내가 관심 있는 주제부터 관심이 없는 주제를 모두 모아 들려주는 세상이며, 나의 핵심 관심사는 드물게 가끔씩 들려주는 세상이기도 하다. 그래서 나는 라디오를 듣는다. 아무리 바빠 오전에 라디오를 들을 수 없다면 잠들기 전에라도 듣는다. 내가 구축하지 않은 세상. 내가 관심이 있는 주제는 구글 뉴스 검색을 통해 일부러 찾는다(구글은 RSS 리더를 다시 살려내라!!!).

유튜브보다 책이 더 낫다는 식의 말을 하려는 것은 아니다. 나는 이 말에 동의하지 않는데 이미 지식의 유통 방식이 변한 시대에 유튜브나 SNS의 속도, 유통 방식을 폄하하는 발언은 오히려 새로운 세상을 거부하려는 태도처럼 읽히기도 한다. 물론 지금 이 발언도 위험하다. 그냥 다 활용하면 되는데 이것보다 저것이 더 낫다는 식의 발언에 동의하고 싶지 않을 뿐이다. 사실 나는 SNS를 사용하지 않지만, 내가 만나는 사람은 SNS로 구축한 세상보다 더 좁고 좁계 구축된 세상이기도 하다. 사실 이 글에서 하고 싶은 말은, 그냥 나는 라디오를 좋아한다 한 마디 뿐이다. 그 말을 이렇게 뻥튀기할 필요가 있나 싶게 쓰고 있지만, 아무려나 그렇다.


2023/05/03 11:27 2023/05/03 11:27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