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알고 싶다](그알싶)의 “잃어버린 쌍룡검을 찾아서”를 봤다. 쌍룡검은 이순신이 임진왜란 당시 실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하는 두 자루의 칼이다. 이 칼과 관련한 기록은 거의 없는데 임진왜란 이후 200년도 더 지난 시점인 1825년 즈음 돈암집에 이 칼을 얻었다는 기록이 하나 있단다. 그리고 1910년 일본이 한국에 궁박물관을 만들면서 작성한 박물관 소장품 목록에서 사진과 함께 설명이 적혀 있다. 박물관에서 그 칼을 본 사람의 감상이 신문에 실린 기록이 몇 있다. 그리고 그 칼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고 한다. 정확하게는 어떻게 사라졌는지 행방을 알 수 없다고 한다. 일제시기에 약탈했는지, 6.25 전쟁 시기에 미군이 약탈했는지, 전쟁 시기 박물관의 보물을 모두 부산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사라졌는지, 누구도 알 수 없다고 한다. 그알싶의 “잃어버린 쌍룡검을 찾아서”는 바로 이 칼을 찾는 과정이다.


칼을 찾는 과정에서 혜문스님이 미국에서 작성한 아델리아 홀 레코드 요약본을 확인하고 미군이 약탈한 보물 중 칼이 있음을 확인한다. 하지만 공개되어 있는 아델리아 홀 레코드 요약본은 3장 분량으로 정리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어떤 보물이 약탈되었는지는 확인할 수가 없다. 그리고 그알싶은 아델리아 홀 레코드와 관련한 구체적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 국가 관계 기관에 문의를 하지만 다들 3장의 요약본 말고는 내용이 없다는 답변을 했다. 그리고 그알싶이 아델리아 홀 레코드를 보관하고 있는 미국 메릴랜드의 국가기록보존소에 갔더니… 한국의 정부 기관이 요약본 말고는 확인할 수 없다는 아델리아 홀 레코드 전체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이크로필름으로 보관하고 있고, 몇 번 롤, 몇 번째 사진에 무엇이 찍혀 있다는 내용까지 정리되어 있었다.


여기까지는 내가 그알싶을 보고 대충 정리한 내용. 나는 국립박물관 등 한국의 박물류를 담당하는 사람이 아델리아 홀 레코드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탓하고 싶지는 않다. 그들을 탓하기엔 퀴어락 상근자로 일하는 나도 충분히 못 하는데… ㅠㅠㅠ 물론 상근자의 상황과 국가 공무원의 상황이 같을 수는 없다. 하지만 정부 기관에서 알바를 하며 느끼기를, 개인의 의지가 있어서 예산이 승인되지 않으면 절대 미국에 직접 갈 수 없는 특성 상 아델리아 홀 레코드 전체본을 찾으려는 의지가 누군가에게 있었다고 해도 안 되었겠지. 그알싶을 보며 인상적인 장면은 따로 있었다.


명성황후의 표범카펫이 미국에 약탈되었다가 돌려받았다더라는 이야기가 있었고, 그래서 시민들이 국립박물관에 해당 보물을 공개해달라고 요구했었다더라. 그알싶에서 본 내용이다. 암튼 그래서 박물관 담당자는 창고에 등록 대기 중이던 물건 사이에서 표범카펫을 찾아냈고 그것을 공개했다. 하지만 담당자가 그알싶 인터뷰에서 말하기를, 미국에 약탈되었다가 돌려받은 바로 그 표범카펫인지 확신할 수가 없는데 그 물건과 관련한 어떤 기록도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명성황후가 소장한 다른 표범카펫인지 미국에서 돌려받은 것인지 확인할 수가 없어 조심스럽다는 입장이었다.


그런데 미국에 약탈되었던 표범카펫과 관련하여 아델리아 홀 레코드는 전체 모습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표범카펫을 돌려 받기 위해 이승만이 움직였다는 기록, 그리고 한국에서 표범카펫을 구입했으며 그때 작성한 영수증도 함께 등록되어 있었다. 기록상으로 표범카펫은 한국으로 반환/판매한 것이 확실했다. 그런데 한국에선 그런 기록이 없었다. 그래서 등록 대기 중이던 표범 카펫이 어떤 성질의 것인지 알 수가 없다고 했다.


나는 이것이 단순하게 박물관을 비난할 문제는 아니라고 판단한다. 기본적으로 기록을 등한시 하는 한국의 분위기와 더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표범카펫이 정말로 한국에서 구입했고 한국에 왔다면 그와 관련한 정확한 기록을 남겨야 했지만 이를 등한시 했겠지. ‘우리가 기억하지 않느냐’며. 하지만 그런 기억은 1년만 지나도 헷갈리기 마련이다. 50년이 지나면? 그냥 하나의 물건으로만 남을 뿐이다. 해당 보물이 남아 있다면 말이다. 누군가가 훔쳐갔어도, 무엇을 훔쳐갔는지 확인도 못할 수도 있고. 사건을 촘촘하게 기록하고 꼼꼼하게 설명을 적어야 하는데 이와 관련한 내용이 없다보니 역사를 해석하기 어렵고 기록물의 의미를 알기가 어렵다.


기록을 등한시하는 분위기. 사실 이것은 퀴어운동에서도 예외가 아닌데, 많은 단체가 작성한 회의록, 혹은 여타 많은 문서가 그 단체가 해소되었을 때 그냥 사라지는 일이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나는 누군가가 가지고 있을 무지개숲의 기록, 회의록 등을 퀴어락에 기증해줬으면 하는 큰 바람이 있다.) 그 결과는? 누군가는 그 단체를 기억하겠지만 그저 그런 단체가 있었지, 정도만 남기 마련이고 그 단체가 구체적으로 어떤 고민을 했는지는 알 수 없다. 그 단체를 기억하는 사람도 시간이 지나면 잊기 마련이고 그 단체는 그냥 잊힌다. 아마도 해소된지 5년도 안 되어서 그냥 없던 단체가 되기도 쉽다. 그 단체와 관련하여 찾아 볼 수 있는 기록이 극히 적고, 그와 관련한 이야기가 회자되지 않으면서 새롭게 활동을 시작하는 이들에게 그 단체는 존재하지 않는 단체가 되기 쉽다. 귀중한 기록이 모두 증발하는 상황. 그 결과는? ‘잃어버린 쌍룡검’이 되기 쉽고 ‘명성황후의 표범카펫’이 되기 쉽다. 아카이브가 중요한 이유고 아카이브가 잘 되어야 하는 이유다.


물론 아카이브 상근자로 일하며 늘 갈등한다. 지금 현재 발생하고 있는 사건에 집중할 것인가, 등록대기 중인 자료에 집중할 것인가, 등록대기로도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시기에 집중할 것인가? 원론적으로 다 해야 한다. 다 하고 싶은 일이다. 하지만 작업을 하다보면 모든 것이 집중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요즘은 한국 트랜스젠더 인권운동 20년 전시회를 준비하며 트랜스젠더 운동 관련 기록을 정리하고 있는데 이 작업을 하다보면 지금 현재 발생하는 사건 관련 자료가 등록대기로 쌓이기 마련이다. 하나의 기획 등록이 끝나면 기존의 쌓여 있는 자료를 정리할 텐데 그러다 보면 또 다른 무언가를 놓치기 마련이다. 혼자서 하기 어려워 발생하는 문제고, 인건비와 운영비가 턱없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문제기도 하다. 더군다나 내년에도 퀴어락 상근을 할 수 있을지는 아직 알 수 없고 퀴어락이 속해 있는 비온뒤무지개재단의 재정 상황은 매우 열악하다 못 해 위태로운 상황이라고 한다. 퀴어의 기록은 어떻게 될까? 퀴어의 역사는 어떻게 될까? 자주 걱정이다.


그래서 쓰기를, 비온뒤무지개재단에 기부 부탁드립니다. http://rainbowfoundation.co.kr/xe/page_gJrA69 퀴어의 역사를 기록하는 일입니다.


2015/06/04 15:49 2015/06/04 15:49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954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