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에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의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 만들기 프로젝트 팀)과 이화여자대학교 변태소녀하늘을날다, 두 단체가 공동으로 주최한 2013 LGBT 상담 컨퍼런스에 참여했다. 그냥 참가만 한 건 아니고, 사람책 세션에서 사람책으로도 참가했다. 10여 분 정도가 책으로 참가했고, 각자 자신만의 주제를 정했는데 나는 "레즈비언 트랜스젠더, 채식하는 트랜스젠더"였다. 무척 재미 없는 주제라 아무도 안 올 줄 알았는데(대출률 0을 기대했는데!!!) 이 목표는 실패했고.. 관련 더 자세한 얘기는 내일 하고..

40분씩 총 두 번을 했는데, 두 번째 대출 말미에 한 분이 앞으로 하고 싶은 게 뭐냐고 물어보셨다. 그래서 망설이지 않고 "잉여롭게 사는 거요"라고 답했다. 사실 이건 앞으로 꼭 살고 싶은 방법이다. 난 잉여롭고 빈둥빈둥거리며 살길 바란다. 특히 이 날 점심 때 햇살 좋은 나무 아래 앉아 있으니 그저 이런 여유를 누리며 살고 싶다는 바람이 더 간절했다. 그랬기에 잉여롭게 사는 건 나의 꿈이다! 하지만 이렇게만 말하면 안 될 것 같기도 하고 또 다른 하고 싶은 것도 여럿 있으니 그것 중 하나를 얘기했는데, 트랜스/젠더/퀴어 역사 쓰기다.

트랜스/젠더/퀴어 역사 쓰기는 트랜스젠더 운동을 시작할 때부터 원하는 작업이었고 박사과정에 진학할 때 학업계획서의 주제 중 하나로 제출한 이슈기도 하다. 그리고 언제나 두근거리면서 작업하는 일이기도 하고. 새로운 기록물을 발굴하면 혼자 좋아서 덩실덩실했다가, 그 내용이 기대에 못 미치면 실망했다가, 다시 읽으니 괜찮아서 또 좋아했다가.. 과거 흔적과 기록물을 발굴하고 역사를 쓰는 작업은 늘 즐겁고 좋은 일이라 박사학위논문이 아니어도 할 수 있는 작업 중 하나기도 하다. 특히 이번 주 금요일에 있을 행사를 계기로 간단한 원고를 쓰면서 요즘 역사쓰기엔 좀 더 버닝하고 있는 상황인데...

나는 역사쓰기가 트랜스/젠더/퀴어가 마치 근래에 등장한 존재로 독해되는 지점에 문제제기하며 그 역사를 복원하고, 기존의 역사를 재구성/상대화하는 작업이라고 믿고 있다. 즉, 퀴어의 역사화일 뿐만 아니라 역사의 퀴어화다. 늘 여기까지만 고민했는데..

적어도 9월부터 이곳을 방문하는 분은 아시겠지만, 이번 학기에 "여성과시간" 수업을 들으면서 시간과 관련한 고민을 자주 한다. 그러며 나는 늘 시간을 말해왔지만 그럼에도 시간적 사유를 하지 않았음을 깨닫는 등 고민을 확장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받고 있다. 그리고 바로 이 고민이 역사쓰기와 결합하자 역사 쓰기의 또 다른 의미가 떠올랐다. 다름 아니라 시간적 존재로 타자를 이해함이다.

많은 경우, 타자는 시간이 없는 존재로 독해된다. 예를 들어 오랜 만에 만난 지인이 트랜스젠더나 바이/양성애자, 동성애자 등에게 "넌 아직도 그렇게 사니?"라고 말하며 철없는 존재로 대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퀴어를 비롯한 타자를 과거에 고착된 존재로 여김과 같다. 혹은 케냐의 어느 부족의 삶을 TV 다큐멘터리로 본 다음, 그 다큐멘터리가 언제 제작되었는지와 상관없이 그 부족에 대해 혹은 케냐에 대해 안 것처럼 반응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이것은 그 부족이 과거에도 지금도 앞으로도 다큐멘터리에서 재현한 모습과 같을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과 같으며 그 부족을 시간 없는 존재로 박제함과 같다.

역사를 쓴다는 건 타자를 시간적 존재로 재구성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바로 이것이 역사 쓰기의 중요한 의미기도 하단 걸, 깨달았다.

뭐.. 대충 이런 얘길, 사람책 말미에 했다. 이렇게 정리된 형태는 아니었지만.. 하하. ;;

2013/10/07 06:10 2013/10/07 06:10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342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