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방학이란 핑계로 소설책을 몇 권 읽고 있다. 의도한 건 아니지만 그 중 상당수가 추리소설 혹은 그 언저리의 범주에 속하는 소설들. 이렇게 읽고 있는 소설들 중 한 권이 오츠이치(Z一)의 [ZOO]. 작가의 단편들을 모은 책이다. 따지고 보면 굳이 독후감까지 쓸 정도의 감흥이 있었던 건 아니다. 책을 홍보하기 위해 두른 띠엔


"이것은 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일본문학의 충격
(…)
'시대의 천재' 오츠이치의 대표작 한국 출간


란 구절이 있는데, 짐작할 수 있듯 그저 웃음만 날 뿐인 진부한 홍보문구이다. 번역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천재"란 느낌도 안 들고, "충격"적일만한 소설도 아니다. 고어영화에 큰 거부감만 없다면, 내용도 그렇게 끔찍하지 않고(모든 작품이 고어인 건 아니고).


소설들을 읽고 있노라면 포(Poe)가 떠오른다. 그렇다고 포만큼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기보다는, 포의 영향을 받았구나, 혹은 포의 어느 소설이 떠오르는 형식이구나, 하는 느낌이 많이 든달까. 그렇다고 포의 아류작이라고 분류할 수 있다는 건 아니고. 홍보구절과 같은 호들갑이 이 소설들을 읽는데 오히려 방해인 것 같기도 하다. 아직은 덜 여물었다는 느낌도 있고. 소름끼치거나 서늘한 느낌을 소설이라면, 차라리 마루야마 겐지의 초기작품이 낫지 않을까? (마루야마 겐지를 안 읽었다면, 기타노 다케시의 [그 여름 가장 조용한 바다]나 [소나티네], [하나비] 등을 떠올리면 될 듯.)


그럼에도 이 소설을 읽은 지 일주일이 넘은 지금도 쉽사리 잊히지 않는 건, 이 소설집에 실린 두 번째 소설 "SO - far"의 설정 때문이다. 엄마, 아빠 그리고 주인공인 나, 이렇게 세 사람이 행복하게 살아가고 있는데, 어느 날 엄마는 아빠가 안 보인다고 말하고, 아빠는 엄마가 안 보인다고 말한다. 셋이서 같은 소파에 앉아 있을 때에도 엄마에겐 나만 보일 뿐 아빠는 안 보이고, 아빠 역시 나만 보일 뿐 엄마는 안 보인다고. 왜 그런가 했더니,


무슨 볼일이 있어서 친척 숙부에게 갖다 주어야 할 게 있었다고 했다. 그래서 어느 날 아침, 두 사람은 가위바위보를 해서 진 쪽이 전차를 타고 숙부의 집에 갔다고 한다.
두 사람의 이야기는 가위바위보를 한 뒤부터가 달라졌다. 엄마가 있던 세계에서는 아빠가 져서 열차를 탔다고 한다. 그러나 아빠가 있던 세계에서는 엄마가 숙부의 집에 갔다고 한다.
전차는 사고를 일으켰다. 그래서 엄마가 있던 세계에서는 아빠가, 아빠가 있던 세계에서는 엄마가 죽고 만 모양이다. 각각의 세계에서 살아난 쪽은 나와 둘만 남게 되었다고 생각했다는 이야기였다. (p.84)


엄마건 아빠건 둘 중의 한 명은 죽었다고 하고, 주인공인 나는 둘 다 살아 있다고 믿고 실제 여전히 살아 있는 것처럼 함께 살고. 흥미로운 건, 위에 인용한 구절의 마지막 문장이었다. 엄마의 입장에선 아빠가 죽었기에 엄마와 나, 둘 만 남았고, 아빠의 입장에선 엄마가 죽었기에 아빠와 나, 둘 만 남았지만 이렇게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위에서 인용한 구절의 마지막 문장에 따르면, '살아남은 엄마와 살아가는 나'의 세계는 살아남은 엄마와 내가 살아가는 세상이 아니라 죽은 아빠의 걱정 혹은 상상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세상이고, '살아남은 아빠와 살아가는 나'의 세계 역시 죽은 엄마의 걱정 혹은 상상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세상이란 점이다.


엄마는 아빠가 죽었다고 얘기하지만, 그런 엄마와 나의 삶은 죽은 아빠의 세계에서, 아빠는 엄마가 죽었다고 얘기하지만, 그런 아빠와 나의 삶은 죽은 엄마의 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설정. 이 설정이 무척이나 흥미로웠다. (물론 소설의 결론은 전혀 다른 '사실'을 알려준다.) 이런 구성은, 영화 [기담]에서 인영과 동원의 세계를 이루는 방식이기도 하고. 살아가는 이들의 삶이 살아가는 이들의 상상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죽은 자의 상상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설정. 사실 지금 "내"가 살아가고 있는 세상 역시 이렇지 않다는 보장은 없다.


이런 설정이 유난히 걸린 건, 최근 겪은 일들 때문이기도 하다. 존재하는 줄도 몰랐던, 혹은 살아 있다는 사실 자체를 몰랐던 이들이 죽었다는 소식을 전해 들으며, 뭔가 기묘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일테면 한 선생님의 상만 해도, 돌아가신 분이 존재한 적이 없을 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 분의 죽음을 전해 듣고 서야 비로소 그 분의 존재를 깨달은 셈이다. 나의 인식 범위에서 존재한 적도 없는 이가 죽음을 통해서야 비로소 존재하기 시작한다는 것. 이 느낌이 기묘했다. 그리고 이런 느낌들은 죽은 이의 상상에서 살고 있는 산 자들의 삶과 닮은 건 아닐는지.
2007/08/08 11:53 2007/08/08 11:53
─ tag  ,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990
  1. 아옹  2007/08/08 12:0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계속 고개를 끄덕끄덕하다가 마지막 문단에서 고개를 더 끄덕끄덕했어요.
    • 루인  2007/08/09 13:01     댓글주소  수정/삭제
      어쩌면 우리가 살아가는 삶은, 죽은 이의 상상기억 속에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는 고민을 하고 있어요.... ;;;
  2.   2007/08/08 14:53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정말- 그렇네요. +_+ 근데 읽다 보니 어지러워졌어요. ^^;;
    • 루인  2007/08/09 13:01     댓글주소  수정/삭제
      루인의 글이 워낙, 정리가 안 되고 꼬인 문장이라서 그럴 거예요.. 흐흐.. ㅜ_ㅜ
    •   2007/08/09 15:30     댓글주소  수정/삭제
      루인님 글쓰기의 문제라기보단 살아남은 자와 내가 살아가는 세상이 사실은 죽은 사람의 의식 속 세상이라는 상황 자체를 이해하는 게 어지러웠어요..ㅋㅋ
    • 루인  2007/08/09 15:36     댓글주소  수정/삭제
      "앗, 다행이다"라고 중얼거리고 있는 루인이라지요-_-;; 흐흐.
      루인도 상상만 할 땐 재밌는데, 정작 설명하려니 참 난감하고 어렵더라고요.
  3. 키드  2007/08/08 16:1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가만보면 루인님 취향 참 스펙타클하세요~ ㅋㅋ
    • 루인  2007/08/09 13:04     댓글주소  수정/삭제
      장인정신이 투철한 여피족의 취향이잖아요. 흐흐흐
      그나마 인생은 안 스펙타클해서 다행이랄까요. 크크
  4. 비밀방문자  2007/08/09 10:59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 루인  2007/08/09 13:08     댓글주소  수정/삭제
      신경 써서 알려주셔서 너무 고마워요!
      사실 예전에 사긴 했는데, 책장에 장식 해두고 아직 읽지를 않아서, 가지고 있는 책이 맞나 다시 확인해야 했어요... ㅡ_ㅡ;;; 헤헤.
      다시 한 번, 고마워요! :)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