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글: Nikki Sullivan - Queer Material(ities): Lyotard, Language and the Libidinal Body


멋진, 그래서 몸을 움직이게 하는 글을 읽는다는 건 무덤을 파는 일이다. 멋진 글은 언제나 몸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잠도 잊게 하지만, 그 글을 다 읽고 나면, 저자의 다른 글을 찾고 저자가 참고한 글이나 책을 찾기 마련. 그러다보면 어느 새, 읽고 싶어서 읽어야만 하는 글이나 책이 10편/권은 더 늘어나 있다. 이렇게 찾을 때는 마냥 좋고 행복하지만, 시간의 압박, 제한된 시간을 깨닫는 순간, 비명은 행복이 아니라 '또 무덤을 팠다'는 자책으로 의미를 바꾼다.


루인은 남들 보다 많이 느리다. 남들 한 시간이면 읽는다는 책을 두세 시간은 걸리고, 서너 시간이면 읽는다는 글은 종종 하루 종일 읽고 있다. 그래서 남들과 같은 시간을 투자하면 언제나 남들보다 뒤쳐진다. 남들보다 두세 배 더 해야 간신히 같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고, 경쟁심이 발동하면 그보다 더 많은 시간을 들여야만 한다.


천재를 질투하던 시기엔 이런 루인이 싫었다. 천재가 부럽고 루인도 천재이고 싶었다. 하지만, 천재라는 것이 정말 있다면, 천재가 되고 싶다고 해서 될 수 있을 리 만무하다. 그래서 자신을 싫어했고, 열등감도 심하다. 인정받고 싶은 욕망은 강하지만(이 글 참고) 인정받을 수 없다는 것도 안다. 그리고 이것이 더욱더 분발하게 하는 원천이기도 하다. (영원히 인정받지 못 할 수도 있다. 일테면 부모님께 커밍아웃을 하지 않는 한, 루인이 무슨 글을 쓰건, 무슨 활동을 하건, 부모님께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학생일 때는 학점만이 유일한 지표가 되는데, 루인은 학점도 별로다. 그래서 부모님에게 루인은 재능도 없으면서 그저 비싼 등록금만 지불하고 있는 무능한 인간일 때가 많다. 뭐, 이 말이 아주 틀렸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이런 말을 직접 듣고 유쾌할 수는 없다 -_-;;)


그나마 다행인 것은, 한 자리에서 오래 머무는 건 잘 한다. 남들보다 오래 걸리는 만큼 오래 머물 수는 있다. 남들보다 두세 배는 오래 걸리는 만큼, 그 정도 시간을 한 곳에 머무는 것은 별로 힘들지 않다. 그렇게 간신히 따라간다.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어제, 멋진 글 한 편을 읽으면서 신나고 좋았다. 그러면서 또 무덤을 파고 있는 루인을 깨달았다. 저자의 다른 글은 이미 읽겠다고 찾아둔 상태였지만, 저자가 참고한 다른 글들을 찾아서 읽고 싶은 욕심이 몸을 타고 돌기 시작했다. 책을 사거나 제본을 하거나, 그러겠지. 그런데 읽을 시간이 없다(평생이라는 시간 개념이 아니라 논문을 쓸 때까지는 시간 개념으로). 루인이 책을 빨리 읽거나 영어를 잘 한다면 읽고 싶은 거 다 읽을 수 있겠지만, 책 읽는 시간도 늦고 영어도 잘 못한다. 그저 남들보다 시간을 더 들일 뿐. 그 뿐이다. 그래도 이런 건 잘 하니까 아직은 멋진 글을 만나는 것도 즐겁다. 평생 만나고 싶기도 하고.
2007/02/11 16:37 2007/02/11 16:37
─ tag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740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