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별다른 기대 없이 혹시나 해서 대학원 특별전형 일정을 찾아보니 9월 30일부터 접수를 시작한다는 글을 보았다. 순간 당황했다. 10월부터도 아니고 9월, 즉 얼마 안 남았다는 사실에.

대학원에 가겠다고 결정한 것이 작년 즈음이라고 기억한다. 작년 봄 즈음 혹은 그 전부터 대학원'에나' 갈까 하다가 진학할 과를 확정하고 조금씩 준비하기 시작했다. 이번 학기를 다니겠다고 한 것도 대학원을 준비하기 위해서였다. 코스모스 졸업이 싫어서가 아니라 단지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기 위한 6개월인 것이다.

헌데 막상 이렇게 코앞에 닥치니 몸이 심란하다. 정말 진학할 것인가부터 얼마간의 걱정까지. (취업 준비를 하는 이들이 이런 기분일까. 대학이란 '특권화된 공간'에서 살다 대학 밖의 회사라는 사회에 나가야 한다는 사실에 직면하게 될 때.)

대학원 가서의 생활비나 등록금도 걱정이지만 무엇보다 대학원에 가서 계속 공부를 할 것이라는 사실도 심란하다.

#
대학원에 가서 누구를 지도교수로 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 혼자서 몸앓이를 한 적이 있다(지금도 하고 있다). 자신이 정한다고 해서 그렇게 되는 것도 아닐 텐데 혼자 지레 걱정하는 것이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루인이 하고 싶어 하는 분야를 공부하시는 분이 없다는 것.

루인이 가려는 학교의 전공은 사실 그렇게 유명한 편은 아니다(대학원에 생긴지도 얼마 안 되었지만 학부에 그 전공이 있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다만 담당 선생님들이 워낙 유명한 분들이라 한 분 한 분 이름만 대면 다들 "아아~"하며 고개를 끄덕일 정도이다. 하지만 선생님들의 전공과 루인이 하고 싶어 하는 전공은 상당한 거리를 가지고 있다. 일테면 유클리드 기하학만 전공한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공부하려고 한달까(수학과에 가려는 것은 아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석사학위논문 주제는 어느 정도 접점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 주제의 방향이 애초 잡은 것에서 많이 벗어나 비슷하지만 다른 것으로 바뀔 수도 있는 상황이라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걱정인 건, 내심 혼자서 정한 지도교수의 수업을 청강하며 얼마간 당황하고 있다는 것. 소통을 위해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끝까지 듣는 것이 중요한데 선생님의 경우 말을 중간에 자르곤 한다. 물론 이건 수업 시간의 경우이고(즉, 시간에 쫓겨 그럴 수밖에 없을 수도) 수업 밖에선 다를 수 있으니 단언하긴 아직 이르다.

#
가끔씩은 기존의 학제 밖에서 공부하는 것은 어떨까 하는 몸앓이를 한다. 이렇게 몸앓이를 하는 것은, 학생이라는 신분이 주는 특권이 아쉬워서 이다. (모든 학생이 학생이라는 특권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이 역시 지역과 계급, 섹스sexes, 섹슈얼리티 등의 문제와 같이 간다. 그렇다고 루인이 대학원 등록금에 생활비가 걱정 없는 계급인 건 아니다. 집에선 취직하길 바라신다.) 어쨌거나 학생이기 때문에 공부만 할 수 있는 상황과 학생이 아닐 때 공부에만 집중할 수 없는 상황(친구가 그렇다). 물론 취업을 하고 동시에 공부도 같이 할 수 있다면, 혹은 취업과 하고자 하는 공부가 같은 방향이라면 금상첨화겠지만 말 그대로 꿈일 따름이다. 루인이 하려고 하는 분야는 루인의 전공 학과에서도 개설이 (거의) 안 되는 그런 쪽이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대학원엘 가고 싶어는 하지만 이것이 잘한 선택인지는 모르겠다(아무도 알 수 없다, 영원히 모를 수도 있고). 그래서 가능하다면 기존의 학제 밖에서 공부하고 싶은 것이다. 박사학위 받아서 교수가 되고 싶은 것도 아니고 그저 자신이 알고 싶은 것에 대한 지속적인 앎을 추구 하고 싶어 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굳이 대학원이 필요한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
이래저래 심란한 상황이다. 몇 시간 전까지만 해도 대학원에 가고 싶어 했는데 막상 이렇게 지원서를 제출할 시간이 다가오니 흔들리고 있다.
2005/09/14 21:18 2005/09/14 21:18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67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