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이면 학교 연구실은 싸늘하다. 금요일 오후를 끝으로 더 이상 난방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히터를 켜지만 그 건조함 때문에 항상 망설이곤 한다. 대신 라지에이터는 건조하지 않다. 특히나 루인이 머무는 공간의 라지에이터는 종종 종이가 눅눅해질 정도로 충분한 증기를 뿜는다.
그런데, 지금, 라지에이터가 나온다!!!!!!!!!!!!!!! 으하하. 따뜻해♡
그나저나, 며칠 전부터 2007년도 계획을 세우고 있다. 지금까지 신년 계획 같은 거 세운 적이 없는데, 왠지 이번엔 예의상 한 번 정도 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다. 2007년도엔 무얼 할까, 막 궁리를 하지만, 이런 궁리도 1초를 넘기기 힘들고, 단어 하나를 넘기기가 힘들다.
맞다. 논문. 이 한마디면 내년의 모든 계획이 세워진 셈 이다. 내년의 생활은 이 단어 하나로 수렴하고 요약할 수 있다. 모든 생활을 논문에 맞출 것이고 논문 쓰는 몸으로 바꾸고 있는 중이기도 하다.
그나저나 이렇게 쓰고 있는 루인을 보면, 대한민국에서 나오는 석사 논문은 혼자서 다 쓰는 것 같다 -_-;; 석사 2학기 때부터 지도교수와 석사논문을 준비하질 않나, 유난을 떨어도 온갖 유난을 다 떨고 있다. 마치 석사학위논문을 취득하러 대학원에 간 것 마냥. 뭐,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사실 학위 자체엔 별 관심이 없다. 그저 학위가 나오면 좋고 안 나오면 그만인 심정. 학위가 문제가 아니라 그렇게 쓴 논문의 내용, 글이 문제이다.
루인은 하고 싶은 공부를 하려고 쓰고 싶은 글을 쓰려고 대학원에 왔다. 학위논문은 이런 욕망을 자극하고 이런 욕심을 충족시키면서도 이런 욕심으로 끊임없이 긴장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좋다. 논문이라는 단어는 일종의 상징이다. 그것을 매개로하는 여러 과정들을 겪는 것이 좋다. 글을 읽고 글을 쓰고 계속해서 계획을 세우고. 새로운 자극을 찾고 어제의 자신을 비판하고.
루인은 루인의 지도교수가 참 대단하다고 느끼고 존경할 만 하다고 느끼는데, 그건 루인의 지도교수여서 하는 아부성 발언이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루인의 지도교수에게 수업을 듣거나 논문 지도 받길 꺼려한다고 한다. 하지만 루인은 정말 (주어진 여건에서) 최선의, 최고의 선택이라고 느낀다. 선생님 방에 가면 항상 새로 주문한 책이 쌓여있고, 언제나 글을 읽고 있는 모습을 접할 수 있다. 영문학 전공자인 선생님은 안식년이면 새로 대학원에 입학해서 철학을 공부하고 싶다는 말을 하시고(정확한 나이는 모르지만 40대 후반으로 추측 중) 현재의 앎에 안주하지 않으려고 계속해서 노력하는 모습. 그 모습은, 배우는 학생으로 하여금 긴장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동시에 이건 자신의 지도교수가 되어 달라고 부탁하고 그렇게 지도교수-논문 쓰는 학생이라는 관계가 맺어졌을 때의 관계윤리라고 느낀다. 루인은 루인대로 계속 공부해서 선생님을 자극하고 더 신경써주도록 도발해야하고 선생님은 선생님대로 학생이 더 하도록 재촉하고 자극하고. 문득 학기 초에 선생님께서 하신 말이 떠오른다. "나는 자꾸만 나아가라고 재촉할 테니 루인은 그 안에서 더 완벽하려고 노력해라."
이 말을 다시 되 세기고 싶다. 지금 루인이 해야 하는 일은 "그 안에서 더 완벽하려고 노력"하는 것. 아직 많이 부족한 루인이지만 이것이 핑계가 되지는 않는다는 걸 안다. 그러니 서두르지 않으면서도 재촉하자고.
그런데, 지금, 라지에이터가 나온다!!!!!!!!!!!!!!! 으하하. 따뜻해♡
그나저나, 며칠 전부터 2007년도 계획을 세우고 있다. 지금까지 신년 계획 같은 거 세운 적이 없는데, 왠지 이번엔 예의상 한 번 정도 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다. 2007년도엔 무얼 할까, 막 궁리를 하지만, 이런 궁리도 1초를 넘기기 힘들고, 단어 하나를 넘기기가 힘들다.
맞다. 논문. 이 한마디면 내년의 모든 계획이 세워진 셈 이다. 내년의 생활은 이 단어 하나로 수렴하고 요약할 수 있다. 모든 생활을 논문에 맞출 것이고 논문 쓰는 몸으로 바꾸고 있는 중이기도 하다.
그나저나 이렇게 쓰고 있는 루인을 보면, 대한민국에서 나오는 석사 논문은 혼자서 다 쓰는 것 같다 -_-;; 석사 2학기 때부터 지도교수와 석사논문을 준비하질 않나, 유난을 떨어도 온갖 유난을 다 떨고 있다. 마치 석사학위논문을 취득하러 대학원에 간 것 마냥. 뭐,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사실 학위 자체엔 별 관심이 없다. 그저 학위가 나오면 좋고 안 나오면 그만인 심정. 학위가 문제가 아니라 그렇게 쓴 논문의 내용, 글이 문제이다.
루인은 하고 싶은 공부를 하려고 쓰고 싶은 글을 쓰려고 대학원에 왔다. 학위논문은 이런 욕망을 자극하고 이런 욕심을 충족시키면서도 이런 욕심으로 끊임없이 긴장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좋다. 논문이라는 단어는 일종의 상징이다. 그것을 매개로하는 여러 과정들을 겪는 것이 좋다. 글을 읽고 글을 쓰고 계속해서 계획을 세우고. 새로운 자극을 찾고 어제의 자신을 비판하고.
루인은 루인의 지도교수가 참 대단하다고 느끼고 존경할 만 하다고 느끼는데, 그건 루인의 지도교수여서 하는 아부성 발언이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루인의 지도교수에게 수업을 듣거나 논문 지도 받길 꺼려한다고 한다. 하지만 루인은 정말 (주어진 여건에서) 최선의, 최고의 선택이라고 느낀다. 선생님 방에 가면 항상 새로 주문한 책이 쌓여있고, 언제나 글을 읽고 있는 모습을 접할 수 있다. 영문학 전공자인 선생님은 안식년이면 새로 대학원에 입학해서 철학을 공부하고 싶다는 말을 하시고(정확한 나이는 모르지만 40대 후반으로 추측 중) 현재의 앎에 안주하지 않으려고 계속해서 노력하는 모습. 그 모습은, 배우는 학생으로 하여금 긴장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동시에 이건 자신의 지도교수가 되어 달라고 부탁하고 그렇게 지도교수-논문 쓰는 학생이라는 관계가 맺어졌을 때의 관계윤리라고 느낀다. 루인은 루인대로 계속 공부해서 선생님을 자극하고 더 신경써주도록 도발해야하고 선생님은 선생님대로 학생이 더 하도록 재촉하고 자극하고. 문득 학기 초에 선생님께서 하신 말이 떠오른다. "나는 자꾸만 나아가라고 재촉할 테니 루인은 그 안에서 더 완벽하려고 노력해라."
이 말을 다시 되 세기고 싶다. 지금 루인이 해야 하는 일은 "그 안에서 더 완벽하려고 노력"하는 것. 아직 많이 부족한 루인이지만 이것이 핑계가 되지는 않는다는 걸 안다. 그러니 서두르지 않으면서도 재촉하자고.
짜장면은 키핑할게요! 후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