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시 59분. 컴퓨터의 시계가 가리키는 시간. 창밖은 어둡고, 제목은 밤이라고 적혀 있다. 이제 19시. 흔히 저녁이라고 말하는 시간. 그리고 루인은 밤이라고 적고 있다. 어두우면 다 밤이다.


불을 끄면, 창밖 눈꽃이 피어있는 나무들이 보인다. 북향인 사무실은, 학교 건물에 있는 방들이 그러하듯, 커다란 유리를 통해 밖이 보인다. (잠시 자리에서 일어나 형광등을 끄고 다시 자리에 앉는다.) 나무들은 트리처럼 보이고 그 풍경은 영화 속의 장면 같다. 지금은 Cat Power의 Maybe Not을 듣고 있는 시간. 피아노 소리는 겨울과 어울린다.


어릴 때 읽은 소설 중엔, 북극 지방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이 몇 편 있었다. 그 소설 속의 풍경은 나무들이 눈에 덮여 있는 장면들. 항상 그렇진 않지만, 지금은 북극에 있는 기분이다. 커다란 나무들로 만든 집에서 글을 쓰고 있는 느낌이다. 무덤 같다. 창 밖으로 보이는 세상은 지금 이 자리와 상관없고 음악은 서늘하다. 몸은 따뜻하다. 그리고


학교를 다니지 않았으면 무엇을 하고 있을까. 문득 우울하다. 무엇이? 우울의 원인을 알 수 있다면 우울하지도 않겠지. 그 원인조차 잃어버린 순간. 하지만 그 원인이란 것이 있긴 했을까. 왜 자꾸만 원인을 찾으려고 하는 걸까. 원인을 찾으면 조금이나마 괜찮아질까. 사무실은 어둡고 모니터 화면은 눈이 아프게 밝다. 황병승의 시를 연상케 한다.


내일까지 써야 할 발제문과 목요일까지 써야 할 기말 논문과 수요일에 있는 학과회의와 내일 저녁에 있을 기획단 회의와 … 이런 식이다. 계속해서 일정들을 떠올리고 몸은 이런 일정에 맞춰 돌아가고 그런 와중에도 당신이 떠오르면 모든 걸 멈춘다. 노래한다. 노래한다. 노래는 세월 따라 반복한다. 그리하여 노래가 흐르는 순간은 그 노래를 듣던 모든 시간들을 동시에 경험한다.


2학기가 끝나가고 있다. 일 년이 지나가고 있다. 다시 일 년을 더 하고 나면 무엇을 하고 있을까. 미래를 향한 불안이 아니다. 그저, 이런 식으로 질문을 반복함으로써 외면하고 싶은 것뿐. 그래, 일 년 뒤의 루인은 한창 석사논문을 수정하고 있을까? 그래서? 그것이 뭐...


영영 소식을 알 수 없을 당신과 영영 소식을 알고 싶지 않은 당신은 같은 인물일까. 영원히 만나고 싶지 않은 사람과 영원히 만나지 않으려고 하는 사람은 같은 인물일까. 영영 소식이 닿지 않아 알고 싶은 사람과 영원히 소식을 전하지 않으려고 도망치는 사람은 같은 사람일까. 그들은 다들 어디서 만날까. 만나야 할까. 만나서 무엇을 할까. 만나면 꼭 무언가를 해야 할까.


왜 아직도 당신은 낯설까. 여전히 낯설까. 지금은 Nina Nastasia의 Counting Up Your Bones를 듣고 있는 시간. 이토록 달콤한!
2006/12/18 19:23 2006/12/18 19:23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647
  1. 비밀방문자  2006/12/19 10:4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 루인  2006/12/19 21:14     댓글주소  수정/삭제
      아니, 그나마 학교 사무실에 있으면서 창 밖을 보는 즐거움이라도 있어야 하는데, 건물이 막고 있다니, 안타까워요...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