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2006.07.31.월, 오전 09:00 아트레온 2관(3층) B-7


일요일 오후에 볼까 했다. 하지만 주말이면 무려 8,000원씩이나 하는데 그럴 수야 없지. 조조로 즐기는 [괴물]은 '괴물'스럽게도 9시 조조임에도 관객수가 상당했다. 웬만한 영화의 오후나 저녁 시간대 관객수가 9시 조조에 몰렸다. 역시 인기가 있다는 의미일까?


우선, 전반적인 느낌은, 만약 한국사회의 특정 맥락에서 이 영화를 본다면 그냥 무난하게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사실, 종종 놀라는 장면도 있고 합동장례식장에서의 장면은 울다가 웃는 당혹스러운 순간을 맞기도 한다. 정말이지 눈물 흘리며 울고 있는데 바로 그 장면이 깔깔 웃지 않을 수 없는 장면으로 바뀌면 어쩌란 말이냐! 정말이지 당혹스러운 찰라. (울다가 웃으면 어디에서 뭐가 난다는;;;;;;)


사실, 이 영화, 분석하고 싶지 않을 만큼 복잡한 지점을 가지고 있다. 좋게 보려면 마냥 좋게 봐줄 수도 있고 과도하게 읽으면 정말 끔찍하게 읽을 수도 있다는 느낌 때문에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상황. 후기는 반드시 분석이어야 할까, 하는 의심도 들지만 그냥 어떤 상념이 몸을 타고 흘렀는지 적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크진 않지만 신경 쓰일 수도 있는 내용이 조금씩 있음. 하지만 영화 관람을 방해할 만한 스포일러는 없을 듯.


# 소통
송강호(강두) 등이 강두의 딸 고아성(현서)이 괴물에게 잡혀갔지만 살아 있다고 말했을 때, 누구도 믿지 않는 장면을 접하며, 기존의 언어와 '다른' 경험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말하기란 얼마나 어려운가를 느꼈다. 다른 사람의 경험까지도 재단할 수 있는 권위/권력을 가졌다고 믿는 이들-이른바 전문가들이 자신의 권위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과 다른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을 어떤 식으로 무시하는가를 이 영화는 드러낸다. 그래서 극비라는 비밀을 강두가 폭로할 때, 강두의 목소리를 저항이 아니라 정신병자의 헛소리로 간주한다.


사실 이 영화는 이런 소통에서 성공하는 건 아니다. 정신병자로서 탈출하고 숨어 지내고 쫓기는 신세지만, 자신들의 언어와 경험을 믿고 달려갈 뿐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들의 행동은 주이상스라고 할 수도 있다.) 이른바 권력을 가진 자, 권위를 행사할 수 있는 자들이 통제한 법을 위반하고 자신들의 믿음을 행한다는 점에서 [안티고네]가 떠오르기도 한다. 법 보다 자신들이 사랑하는 이를 구해야 한다는 믿음이 더 우선하는 모습. ([안티고네]를 이런 식으로만 해석할 수는 없다. 하지만 자신의 욕망을 위해 기존의 법체계에 도전한다는 점에선 역시 닮아 있다.)


소통은 실패하고 이들은 질서를 위협하는 정신병자-지명수배자가 된다. 세균보균자라는 말은 괴물병원균을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통제권을 위협하는 언어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재해석할 수 있다.


#(새로운)가족
이 영화의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거의 마지막 장면. 현서(고아성)와 같이 숨어 지내던 세진(?)을 구출한 후, 강두(송강호)는 처음엔 현서만 챙기지만 괴물을 죽인 후엔 현서에게 가는 것이 아니라 세진에게 가서 깨운다. 그러며 하는 말: "우리 현서와 같이 있었니?"(조금은 다를 수도 있음;;;)


이 말을 한 후 강두는 세진을 껴안고 가는데, 마지막 장면은 강두와 세진이 가족처럼 지내는 모습이다. 이 장면. 이 영화 전체를 통틀어 이 장면이 좋았다. 비록 영화를 시작할 때부터 이른바 "정상가족"이라는 환상을 깨는 구성을 취하고 있긴 하지만 바로 그 지점에서 새로운 가족구성을 상상하고 있다. 현서와 같이 죽을 고비를 넘겼다는 이유만으로 혈연과는 상관없이 구성하는 가족. 하지만 바로 이런 지점이 꽤나 꺼림칙한 지점이기도 하다.


#'괴물'스런 "엄마"
기사 둘:
"스크린, '엄마'가 가고 '아빠'가 온다"
"괴물, '소시민 아버지들'에 바치는 봉준호의 찬사"


지금부터의 느낌은 "오바"한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사실 이 글을 어제 시작했음에도 지금 마무리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금의 해석이 과도한 "오버"일 수도 있음을 느끼지만, 그럼에도 적는 건, 지금은 이런 식의 느낌도 가졌다는 루인의 소소한 메모라고 여기기 때문.


공포영화를 조금이라도 즐긴 사람은 알겠지만 공포의 핵심은 익숙한 것이 낯설게 돌변하는 순간에 발생한다. 한국에서 학교를 소재로 한 공포물이 많은 것도 그렇고 "엄마"가 괴물로 돌변하는 모습을 취하는 것도 그렇다. "어머니"는 성스럽지만 그만큼 억압으로서, 괴기한 모습을 취한다. [괴물]과 놀며 느낀 지점은, 부재하는 "엄마"와 어느 날 낯설게 돌아온 "엄마", 도망쳤다가 어느 날 돌연변이로 돌아온 "엄마"-괴물의 형상화였다.


불현듯 이런 몸앓이를 한 것은 위에 링크한 두 개의 기사 덕분이다. 영화에서 현서가 태어나자마자 도망친 "엄마"를 언급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부성과 모성을 경쟁-대립 구도로 쓰는 기사엔 당혹스러웠다. "여자는 약하지만 어머니는 강하다"는 말처럼 "남자는 약하지만 아버지는 강하다"는 말로 단순하게 치환할 수 있기에 부성과 모성을 경쟁-대립구도로 몰고 가는 것이 웃긴 일일 수도 있다. 작년 한 해 "엄마"가 주류를 이루었는데 이제 "아버지가 회귀"하고 있다는 식으로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한지도 모른다. 하지만 한국사회에서 부성과 모성이, "아빠"와 "엄마"가 동일한 방식으로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는 점 또한 사실이다.


마지막에 가서야 괴물에게 잡아먹힌 현서와 세진을, 강두는 괴물의 입에서 꺼내는데, 이 모습이 일종의 새로운 출생-죽음을 지나온 새로운 삶으로 다가왔다. 괴물의 입에서 꺼내는 모습은 출산의 장면과 묘하게 닮아 있었다. 강두가 세진을 깨워, 안고 가는 장면에서 현서와 세진의 모습은 겹치며 닮았다고-쌍둥이라고 느꼈다. 사람 얼굴 기억을 잘 못하는 루인으로선 특히 더 심했다. 둘의 모습을 번갈아 보여주는 것인지 겹친 것인지 헷갈렸고 순간적으로 쌍둥인가 했다.


이 지점에서 괴물은 현서를 낳자마자 도망친 "엄마"가 돌아온 것으로, 괴물의 죽음은 "모성"도 없으면서 아이가 다 크니까 나타난 "엄마"를 처단하는 것으로 읽을 수도 있겠다 싶었다. 이런 해석이 가능한 건, 시선을 가진 "여성"은 모두 죽이고, 살인이 추억이 될 수 있다는 식으로 그린 전작 [살인의 추억]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IMF 이후 "아빠, 힘내세요"를 전국민의 응원가처럼 부르고 "여성의 취업이 증가하니까 남성들의 취업이 더욱 힘들다"는 식의 언설을 심심찮게 접할 수 있는(대놓고 이렇게 말하진 않는다 해도 변형한 형태의 언설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지금의 상황에서 [괴물]을 이렇게 해석하는 것-"아버지"의 회귀로 해석하는 것은 정말로 이 영화의 바람인지도 모르겠다는 느낌이다.


#
여러모로 해석의 여지를 많이 남기고 있는 영화라는 느낌이다. 아직도 뭐라 할 수 없는 불편함과 지금까지 적은 것과는 전혀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많음을 느끼고 있다. 다시 볼까? 하지만 굳이 또 극장에서 볼 필요가 있을까? 어둠의 경로로 보겠다는 것이 아니라 단기간에 보는 것보다는 일정 시간을 두고 보는 것이 더 좋다는 의미.
2006/08/01 11:14 2006/08/01 11:14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499
  1. 누가 "괴물"이야? Tracked from Run To 루인 2006/08/04 12:07  delete
  1. 발그레발그레  2006/08/01 13:30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보고는 싶은데 2주 지나서 볼까 생각중이예요. 2주라는 기간동안 할인카드를 잠시 유예해 달란다는 기사를 보고 반감이 나서.. 푸하하~ -_-; 그 마음이 괘씸하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이유가 이해가 되기는 하나, 언제나 그런 자신감을 한국영화가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님에도 완전 똥배짱 같아서.. 이미 기록을 매일 갈아치우고는 있지만..
    • 루인  2006/08/02 11:24     댓글주소  수정/삭제
      그 기사를 보고 살짝 당혹스럽고 반감도 생기더라고요. 납득은 가지만 오만함이 느껴진달까요. (좀 재수없는 느낌이랄까요. 흐흐흐)
      그나저나 월요일에 루인도 한 장을 보탠 날, 평일 관객수 기록을 세웠다네요. 흐으
  2. 발그레발그레  2006/08/03 12:01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다시 생각해보면 불과 얼마전까지 스크린쿼터 폐지 반대 운동을 했던 그들인데.. 흐흐~ 자신감도 좋지만.. 개봉 일이주 정도는 유예하는 예절도 좋긴 하나.. ㅡ_ㅡ;
    • 루인  2006/08/04 12:27     댓글주소  수정/삭제
      요 며칠, [괴물]을 기점으로 스크린쿼터 관련 기사가 많은 것 같아요. 지금까진 스크린쿼터란 말 하나로 영화관련 종사자들을 모두 묶을 수 있었지만, 이젠 도대체 스크린쿼터가 누구를 위한 것이냐는 질문을 하기 시작하더라고요. 대체로 유명 배우와 자본력이 있는 영화를 위한 스크린쿼터가 아닌가하는 질문이 나오기 시작한다는 점에서 스크린쿼터의 내용을 다시 고민할 시점이라고 느꼈어요. 흐으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