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이트가 말하는 리비도는 좁게는 성적 에너지로 말할 수 있지만 감정 작용을 비롯하여 몸에서 작용하는 모든 에너지로 설명할 수도 있다. 누군가와 사랑을 할 때, 우리는 상대에게 리비도를 투자하는데 이는 거의 매순간 상대방을 떠올리고 감정 노동을 하는 등의 자신의 에너지를 상대에게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리비도 투자라고 하면 뭔가 어렵게 느껴지지만 이렇게 풀면 사실 별거 아니다. 지식을 권력화하는 전형이 이렇게 쉬운 걸 어렵게 만드는 것.) 하지만 상대와 헤어지고 나면, 상대에게 투자한 리비도 에너지를 회수하는데, 여기서 애도와 우울증으로 나눈다.


애도(슬픔으로 번역하기도 한다)는 상대에게 투자한 에너지를 회수하고 충분히 슬퍼함으로서 다시 새로운 관계를 엮어 갈 수 있는 방식이다. 이제는 남이라는 걸 깨닫고 상대에게 투자한 에너지를 모두 거두어들인다. 다만 이런 분리의 과정, 상대에게 투자한 에너지를 거두어들이는 과정의 고통이 슬픔으로 드러난다.


우울증은 헤어진 것까진 애도와 비슷하지만 이후의 과정이 다르다. 우울증은 상대에게 투자하는 에너지를 완전히 회수하지 못하고 상대와 자신을 완전히 분리하지 못함으로서 상대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상대와 자신을 동일시하지만 자신의 자아는 초자아가 되고 상대는 자아가 됨으로서 초자아가 자아를 억압하고 비난하거나 괴롭히는 것이 우울증이다. 이 과정에서 상실한 것이 무엇인지 비난하는 대상이 누구인지를 잊어버림으로서 우울증은 치유하기 힘들다. 이유 없는 우울은 이런 식으로 설명이 가능할 듯.


이상은 지난 2006여이연여름강좌 중 "처음 만나는 정신분석2"에서 배운 내용을 루인 식으로 해석한 것. 그러니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
그런 날이 있다. 펑펑 울고 싶고 엉엉 울면서 무언가 막힌 것을 풀고 싶은 날. 그런 날 대체로 영화를 선택하지만 성공적이었던 날은 별로 없었다. 영화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를 보며 한참을 울었던 흔적이 몸에 있고 만화 및 애니메니션 [별의 목소리]를 즐기며 그러곤 한다([별의 목소리]는 언젠가 글을 쓰고 싶을 만큼 좋아한다).


[오로라 공주]를 즐기며, 극장이 아니라 어두운 사무실에(나스타샤는 아프니까 사무실 컴퓨터로…) 혼자 앉아 즐기길 잘했다고 느낀다. 너무 울어서, 극장에서 봤으면 민망할 뻔 했다. 우는 것 자체가 민망한 게 아니라 우는 소리가 주변 사람들의 관람을 방해할 수 있음이 민망한 것. 수습할 시간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울기엔 혼자가 좋다.


#
프로이트(와 주디스 버틀러)의 우울증으로 이 글을 시작한 건, [오로라 공주] 영화를 즐긴 이유가, 그 강좌의 "우울증"시간에 이 영화를 분석했기 때문이다. (여이연에서 정신분석 관련 새 책을 기획 중인데 그 책에 이 글도 실릴 것 같다.) 정순정(엄정화 분)이 오민아의 목소리를 내는 장면들이 있는데, 이 장면이 충분히 애도할 수 없어 오민아와 정순정이 우울증으로 동일시한 모습이란 것. 죽은 오민아의 영혼이 정순정의 몸에 들어온 것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지만 상실한 대상과 동일시한 정순정의 우울증으로 읽을 수도 있다는 것이 강좌의 해석이었다.


하지만 읽기에 따라선 '레즈비언' 관계로도 읽을 수 있다고 느꼈다. 정순정과 오민아의 관계를 단순히 "모녀"관계로만 제한하지 않는다면. 물론 이는 둘의 젠더를 특정한 방식으로 한정한다는 전제에서만 성립 가능하지만. 이런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모성"에서 섹슈얼리티의 가능성을 무시하기 때문. 오히려 "모성"이란 환상을 통해 '레즈비언' 관계를 살짝 숨기고 있다고 볼 수도 있을 듯.


그렇다면 어쨌거나 '이성애' 결혼을 했다가 이혼한 정순정의 우울증은 바로 '레즈비언' 욕망을 억압해서 발생한 우울증으로 읽을 수도 있다. 억압한 욕망(대상)으로 인해 우울증이 발생할 때, '이성애' "여성"가 억압하는 것은 '레즈비언'적 욕망이고 '레즈비언'의 억압은 '이성애'다. 그래서 진정한 '레즈비언'은 우울증 ‘이성애’자고 진정한 '이성애'자는 우울증 '레즈비언'이다. 이건 버틀러의 설명 방식인데, 버틀러가 '레즈비언'이기에 이런 식으로 설명한 것이다. '양성애'나 S/M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다는 점이 버틀러의 한계다. 트랜스로서 이런 설명을 살짝 비틀면, 트랜스/젠더가 아니라고 믿는 사람들의 우울증이야 말로 자신의 트랜스 욕망을 억누르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사회에서 "남성"(혹은 "여성")이고 싶은데 "여성"(혹은 "남성")으로 자랐기에 발생한 우울증이라고.


#
또 즐길 수 있을까? 글쎄… 걱정이 앞선다.
2006/07/30 16:15 2006/07/30 16:15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498
  1. 발그레발그레  2006/08/01 13:54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어디에선가 친절한 금자씨, 오로라 공주처럼 여성의 복수는 모성애에서밖에는 비롯될 수 없는 건가하는 의문의 글을 본 적이 있더래요. 음.. 대체적으로 뉴스, 영화, 책에서는 그런 것이 주류을 이루죠. 또한 성범죄와 관련해서.. 때로는 아무 이유없는 또는 사회에 대한 불만으로 인한.. 길가는 무고한 남자들만을 상대로 벌이는 여자 연쇄 살인범의 출현은 보기 힘든 일인가 빈번해 질 수는 없는 일인가 싶기도 하고... 괜시리 억울한 느낌.. ㅎㅎ 그들의 출현이 반가울 일은 없지만.. 대다수의 남성 연쇄 살인범들을 떠올릴 때 짜증이 밀려와서.. 크크~ 그들이 무슨 이유를 대든 결국 자신보다 약한 자를 상대로 범행을 하는 것일뿐이기에.. 남녀의 연쇄살인 비율을 여성은 트랜스/퀴어 공포가 덜 할까와 비교해 봐도 괜찮을 거 같은데요. 100%는 아니나 대체적으로 무언가에 반응하는 것에 대한.. 비슷한 점이 작용한다고 생각하는데요.
    • 루인  2006/08/02 11:41     댓글주소  수정/삭제
      "여성"의 복수는 "모성애"에서 비롯하는 건, 사회적으로 그것만을 용인하기 때문이 아닐까 해요. "어머니"가 자식들을 죽이면 "아버지"가 그럴 때보다 더 가혹하게 반응하잖아요. 그래서 대중문화에선 특정 이유로만 한정하는 것 같아요. 그러고보면 [달콤 살벌한 연인]은 기존의 관습을 답습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좋았던 느낌이에요.^^
  2. 발그레발그레  2006/08/03 00:47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음... 읽고보니 그런것도 같아요. 얼마전에 발생한 프랑스인이 많이 산다는 그 동네의 영아 유기 사건이 떠오르는데요. 이 미스테리한 점이 의문을 더욱 갖게 하기도 하구요. ㅎㅎ 범인은 누구일까요? ㅋㅋ -_-;
    • 루인  2006/08/04 12:18     댓글주소  수정/삭제
      라디오로 관련 뉴스는 많이 듣는데 아직도 정확히 어떤 정황인지를 모르고 있어요;;;;;;;;;;;;;;;; 첨엔 단순하게 받아 들였는데 어느 날 갑자기 헷갈렸달까요? 흐흐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