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잠깐 [Run To 루인]에 들어와 댓글을 확인하다 수인님께서 [폭풍우 치는 밤에]가 채식과 관련할 수 있다는 글을 읽고 즐기고 싶은 자극이 온 몸에 돌았다. 사실 예전부터 볼까 갈등했었다. 일본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편이기 때문. 그러면서도 바쁘다는 핑계로 혹은 귀찮다는 핑계로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다.
어둠의 경로를 뒤적이니 아슬아슬하게 받을 수 있었다. (비디오가 없는 상황에서 확인하지 않고 디비디타이틀을 살 수는 없으니까.) 처음엔 끝까지 볼 계획은 아니었다. 요즘 자꾸만 늦게 자는 상황으로 피로했고 눈이 조금 아팠기 때문. 여이연 강좌도 있어서 오전을 조금만 어영부영 보내도 혼자 놀 시간이 없기 때문에 끝까지 다 즐겨야지 보다는 그냥 앞부분만 조금 즐겨야지, 정도였다. 물론 다 즐겼다.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이 느낄 수 있는 만큼만 느낄 수 있다란 말, 그다지 동의하고 싶진 않지만 이 애니메이션을 즐기며, 채식 혹은 음식의 정치와 이반/퀴어queer를 동시에 느꼈다. [웰컴 투 동막골]이 채식과 민족주의, 군사주의를 동시에 그리고 있다면 이 애니메이션은 채식과 퀴어를 동시에 다루고 있는 셈.
루인은 염소인 메이보다 늑대인 가브가 더 매력적인 캐릭터라고 느꼈는데, 더 많은 갈등 속에 있는 캐릭터고 자신의 권력을 더 많이 성찰하려고 노력하는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메이는 자신의 채식이 식물에 대한 폭력임을 별로 성찰하지 않지만 가브는 자신의 육식이 메이에게 어떤 감정을 일으킬지를 계속해서 고민한다. 염소고기를 좋아하는데 친구가 염소인 상황. 힘의 논리에서 강자와 약자로 나누자면 가브가 강자일 수 있지만 더 많은 갈등과 성찰은 가브의 몫이다(이 부분이 흥미롭기도 하다). 이런 갈등은 둘이서 도망치는 장면에서 잘 나오는데, 메이가 잠든 사이 가브는 몰래 들쥐 두 마리를 잡아먹고 돌아온다. 하지만 이런 상황을 알고 있는 메이는 불쾌함을 표한다. 자신은 어쨌든 싫다고.
이 부분은 사실 가장 큰 딜레마로 다가왔다. 염소의 채식이, 늑대의 육식이 타고난 것일 때, 그렇다면 염소와 늑대가 서로 불편하지 않게 살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언제나 마주치고 어려운 문제다. 비슷한 채식주의자들이 아니면 같이 밥 먹으러 가길 꺼려하듯, 육식 혹은 음식을 정치학이 아닌 취향으로 간주하는 이들과 겪는 고민 혹은 갈등이 이 장면에 함축적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폭풍우 치는 밤에]는 이 이상의 성찰을 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내가 죽을 테니 너라도 살아라는 식의 빤한 부분이 있어서 슬프지만 식상함을 느꼈달까. 흐흐.
이 애니메이션의 짜릿함은 우정으로 포장한 이 둘의 관계가 퀴어로 읽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지점이 채식 혹은 음식과 겹치면서 흥미롭게 다가왔다. 오직 적이 될 수밖에 없는 관계처럼 여기는 염소와 늑대의 우정이 결국 집단을 떠나 도망을 선택할 때, 이 버디무비는 '이성애' 사회에서 결코 사랑할 수 없기에 다른 세상으로 떠나는 퀴어들을 다루는 애니메이션으로 다가왔다. 우정과 애정의 경계는 언제나 모호하다는 점에서, 특히 메이와 가브의 관계는 그 경계에서 짜릿함을 준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특히, 가브와 메이가 눈 덮인 산에 올라 지쳐 죽어가기 직전의 한 장면: 가브는 배가 고파 배에서 꼬르륵거리는 소리가 나고 메이는 자신을 잡아먹고 살아 남으라하고 가브는 자신이 늑대로 태어난 것을 원망하는 장면. 이 장면에서 순간적으로 가브를 트랜스로 느꼈다. 자신의 몸에 별다른 불편함을 안 느끼지만 주변의 여건이 자신의 느낌을 갈등과 정신병으로 만들 때, 수술을 선택하기도 하는 트랜스들과 늑대라는 이유로 염소와의 우정/애정을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하고 육식의 허기로 고통스러워 자신이 늑대로 태어났음을 원망하는 가브가 겹치며 다가왔다.
뭐, 결론은 뻔하다. 예상할 수 있는 그 내용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이 애니메이션은 꽤나 흥미롭고 재밌게 다가온 건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수인님 고마워요^^)
어둠의 경로를 뒤적이니 아슬아슬하게 받을 수 있었다. (비디오가 없는 상황에서 확인하지 않고 디비디타이틀을 살 수는 없으니까.) 처음엔 끝까지 볼 계획은 아니었다. 요즘 자꾸만 늦게 자는 상황으로 피로했고 눈이 조금 아팠기 때문. 여이연 강좌도 있어서 오전을 조금만 어영부영 보내도 혼자 놀 시간이 없기 때문에 끝까지 다 즐겨야지 보다는 그냥 앞부분만 조금 즐겨야지, 정도였다. 물론 다 즐겼다.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이 느낄 수 있는 만큼만 느낄 수 있다란 말, 그다지 동의하고 싶진 않지만 이 애니메이션을 즐기며, 채식 혹은 음식의 정치와 이반/퀴어queer를 동시에 느꼈다. [웰컴 투 동막골]이 채식과 민족주의, 군사주의를 동시에 그리고 있다면 이 애니메이션은 채식과 퀴어를 동시에 다루고 있는 셈.
루인은 염소인 메이보다 늑대인 가브가 더 매력적인 캐릭터라고 느꼈는데, 더 많은 갈등 속에 있는 캐릭터고 자신의 권력을 더 많이 성찰하려고 노력하는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메이는 자신의 채식이 식물에 대한 폭력임을 별로 성찰하지 않지만 가브는 자신의 육식이 메이에게 어떤 감정을 일으킬지를 계속해서 고민한다. 염소고기를 좋아하는데 친구가 염소인 상황. 힘의 논리에서 강자와 약자로 나누자면 가브가 강자일 수 있지만 더 많은 갈등과 성찰은 가브의 몫이다(이 부분이 흥미롭기도 하다). 이런 갈등은 둘이서 도망치는 장면에서 잘 나오는데, 메이가 잠든 사이 가브는 몰래 들쥐 두 마리를 잡아먹고 돌아온다. 하지만 이런 상황을 알고 있는 메이는 불쾌함을 표한다. 자신은 어쨌든 싫다고.
이 부분은 사실 가장 큰 딜레마로 다가왔다. 염소의 채식이, 늑대의 육식이 타고난 것일 때, 그렇다면 염소와 늑대가 서로 불편하지 않게 살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언제나 마주치고 어려운 문제다. 비슷한 채식주의자들이 아니면 같이 밥 먹으러 가길 꺼려하듯, 육식 혹은 음식을 정치학이 아닌 취향으로 간주하는 이들과 겪는 고민 혹은 갈등이 이 장면에 함축적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폭풍우 치는 밤에]는 이 이상의 성찰을 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내가 죽을 테니 너라도 살아라는 식의 빤한 부분이 있어서 슬프지만 식상함을 느꼈달까. 흐흐.
이 애니메이션의 짜릿함은 우정으로 포장한 이 둘의 관계가 퀴어로 읽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지점이 채식 혹은 음식과 겹치면서 흥미롭게 다가왔다. 오직 적이 될 수밖에 없는 관계처럼 여기는 염소와 늑대의 우정이 결국 집단을 떠나 도망을 선택할 때, 이 버디무비는 '이성애' 사회에서 결코 사랑할 수 없기에 다른 세상으로 떠나는 퀴어들을 다루는 애니메이션으로 다가왔다. 우정과 애정의 경계는 언제나 모호하다는 점에서, 특히 메이와 가브의 관계는 그 경계에서 짜릿함을 준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특히, 가브와 메이가 눈 덮인 산에 올라 지쳐 죽어가기 직전의 한 장면: 가브는 배가 고파 배에서 꼬르륵거리는 소리가 나고 메이는 자신을 잡아먹고 살아 남으라하고 가브는 자신이 늑대로 태어난 것을 원망하는 장면. 이 장면에서 순간적으로 가브를 트랜스로 느꼈다. 자신의 몸에 별다른 불편함을 안 느끼지만 주변의 여건이 자신의 느낌을 갈등과 정신병으로 만들 때, 수술을 선택하기도 하는 트랜스들과 늑대라는 이유로 염소와의 우정/애정을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하고 육식의 허기로 고통스러워 자신이 늑대로 태어났음을 원망하는 가브가 겹치며 다가왔다.
뭐, 결론은 뻔하다. 예상할 수 있는 그 내용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이 애니메이션은 꽤나 흥미롭고 재밌게 다가온 건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수인님 고마워요^^)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495
새로운 닉네임이 있을 때마다 새로운 분인가, 하고 읽다보면, 반가운 분임을 깨닫곤 더 기뻐했는 걸요. 헤헤 :)
헤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