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위가 밀려오면 몸이 느슨해진다. 여름에 태어난 사람은 더위를 잘 견디고 겨울에 태어난 사람은 추위를 잘 견딘다는 말을 들은 흔적이 몸에 있다. 하지만 루인은, 루인의 주변 사람들은 그 반대다. 겨울에 태어난 사람들은 추위에 약하고 여름에 태어난 사람들은 더위에 약하고. 더위에도 약하지만 루인이 경험하는 우울증의 상당 시간은 여름이었다. 지금에야 그 시절 심각한 우울증을 앓았구나, 했던 중학생 시절의 첫 우울증도 여름이었고 대체로 여름이 겨울보다 더 심했던 것 같다.
지난 주 들은 "처음 만나는 정신분석2" 강의 내용 몇 가지를 떠올린다. 연애는 부모와의 관계를 반복하는 것이라는 말, 우울증은 대상을 충분히 애도하지 못하고 대상과 자신을 동일시한, 그 대상을 상실해서 대상이 누구인지도 잊어버린 자기 학대에 가깝다는 말.
그렇다면, 루인은 왜 루인에게 관심이 없는 사람에겐 루인도 관심이 없고 연애란 감정을 감지할 수 있는 관심을 보이는 사람에게도 관심이 없는 걸까. 이른바 우정이라고 말하는 정도의 감정, 물론 친구들마다 나누는 감정의 정도는 조금씩 다르지만, 언제나 그 어느 선을 아슬 하게 타고 노는 경향이 있다. 루인에게 관심이 없는 사람에겐 괜히 감정을 줬다가 거절당할까 두려워서 무관심한 걸까. 아니면 루인도 그 사람에게 관심이 없는 걸까. 어릴 때 부모와는 어떤 관계를 가진 걸까. 어떤 관계가 이런 식으로 일정 이상의 감정에서 도망치도록 하는 걸까. (하지만 꼭 부모 탓일까. 프로이트는 중산층'이성애'"정상"가족의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런 설명에 따를 필요는 없다. 하지만 설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틀 중의 하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재밌기는 하다.)
혹은, 재미있게도, 각별히 좋아하는 사람들의 이름은 닮아 있다. 한글 자음이니셜은 순서만 조금씩 다를 뿐 완전히 똑같다. 예전에 읽은 한 책에선 유전자의 60% 정도가 개인을 결정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이런 것도 유전자에 각인되어 있는 걸까. 유전자 모양이 이런 자음처럼 생긴 걸까. 혹은 상실한 후 충분히 애도하지 않아서 루인과 동일시한 그 이름이 아직도 예민한 촉수로 감각하는 걸까.
며칠 전부터 별다른 이유도 없이 감정이 떨어지면서 우울해하고 있다.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정도인 걸 봐선 아직은 무난하게 견딜 만 한가보다. 하지만 요즘 듣고 있는 여이연 강좌는 "안티고네와 주이상스"고 주디스 버틀러를 하다보니 우울증이 자주 등장한다. 우울증은 대상의 상실로 인해 왜 우울한지 조차 알 수 없는 것. 괜찮은 의사를 소개 받아 약물치료라도 받을까 하는 갈등을 살짝 했다. 하지만 우울증 치료제라는 것은 사실 상 감정을 느낄 수 없게 하는 것. 우울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우울도 기쁨도 어떤 감정도 느낄 수 없게 하는 것. 그렇다면 무엇을 치료하는 것일까? 하긴, 약물로 치료할 수 있다는 발상 자체가 웃긴 일이다.
지난 주 들은 "처음 만나는 정신분석2" 강의 내용 몇 가지를 떠올린다. 연애는 부모와의 관계를 반복하는 것이라는 말, 우울증은 대상을 충분히 애도하지 못하고 대상과 자신을 동일시한, 그 대상을 상실해서 대상이 누구인지도 잊어버린 자기 학대에 가깝다는 말.
그렇다면, 루인은 왜 루인에게 관심이 없는 사람에겐 루인도 관심이 없고 연애란 감정을 감지할 수 있는 관심을 보이는 사람에게도 관심이 없는 걸까. 이른바 우정이라고 말하는 정도의 감정, 물론 친구들마다 나누는 감정의 정도는 조금씩 다르지만, 언제나 그 어느 선을 아슬 하게 타고 노는 경향이 있다. 루인에게 관심이 없는 사람에겐 괜히 감정을 줬다가 거절당할까 두려워서 무관심한 걸까. 아니면 루인도 그 사람에게 관심이 없는 걸까. 어릴 때 부모와는 어떤 관계를 가진 걸까. 어떤 관계가 이런 식으로 일정 이상의 감정에서 도망치도록 하는 걸까. (하지만 꼭 부모 탓일까. 프로이트는 중산층'이성애'"정상"가족의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런 설명에 따를 필요는 없다. 하지만 설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틀 중의 하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재밌기는 하다.)
혹은, 재미있게도, 각별히 좋아하는 사람들의 이름은 닮아 있다. 한글 자음이니셜은 순서만 조금씩 다를 뿐 완전히 똑같다. 예전에 읽은 한 책에선 유전자의 60% 정도가 개인을 결정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이런 것도 유전자에 각인되어 있는 걸까. 유전자 모양이 이런 자음처럼 생긴 걸까. 혹은 상실한 후 충분히 애도하지 않아서 루인과 동일시한 그 이름이 아직도 예민한 촉수로 감각하는 걸까.
며칠 전부터 별다른 이유도 없이 감정이 떨어지면서 우울해하고 있다.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정도인 걸 봐선 아직은 무난하게 견딜 만 한가보다. 하지만 요즘 듣고 있는 여이연 강좌는 "안티고네와 주이상스"고 주디스 버틀러를 하다보니 우울증이 자주 등장한다. 우울증은 대상의 상실로 인해 왜 우울한지 조차 알 수 없는 것. 괜찮은 의사를 소개 받아 약물치료라도 받을까 하는 갈등을 살짝 했다. 하지만 우울증 치료제라는 것은 사실 상 감정을 느낄 수 없게 하는 것. 우울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우울도 기쁨도 어떤 감정도 느낄 수 없게 하는 것. 그렇다면 무엇을 치료하는 것일까? 하긴, 약물로 치료할 수 있다는 발상 자체가 웃긴 일이다.
그리고..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494
-
수인 2006/07/24 01:5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음.. 저의 경우엔 이니셜보다는 어떤 특별한 성씨와는 잘 안 맞는다는 느낌을 갖게 되는 일이 있어요. 대한민국에서 다섯 손가락에 드는 성씨일듯 싶은데.. 친해지고 싶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결국 거리가 느껴지게 되고.. 나와 친해지고자 할 사람이라 할지라도 거부감이 들고.. 이래저래 영~ 잘 안 맞는 성씨 하나. ㅎㅎ
-
루인 2006/07/25 11:09 댓글주소 수정/삭제오호, 루인만 이런 것이 아니네요. 기뻐요. 에헤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