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퀴어문화축제의 부스행사 및 퍼레이드 행사가 6월 28일에 진행된다고 발표되자, 스톤월 항쟁이 발생한 날과 같은 날이라며 기뻐하는 반응을 몇 사람에게서 접했다. 왜 그 둘을 연결해야 하는지 모르겠고 그것이 왜 기쁜 일인지 전혀 모르겠지만 한국의 적잖은 LGBT/퀴어 구성원이 스톤월 항쟁을 마치 한국 LGBT/퀴어 운동의 신화적 기원이자 직접적 기원이라도 되는 것처럼 말하는 것을 듣곤 한다. 답답하다. 한국에서 탈식민 LGBT/퀴어 운동을 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반드시 한국의 역사를 팔 이유는 없으며 한국의 역사를 조사하는 작업이 반드시 탈식민은 아니지만 왜 상상력과 지식의 기원이 미국 뉴욕에 가 있는 것일까?

얼마전 1990년대 중반 자료를 살피다가 스톤월 항쟁을 언급하는 글을 읽었다. 그러며 스톤월 항쟁의 의미를 살피는 토론회 자리도 만들었음을 확인했다. 내가 읽은 자료에선 스톤월 항쟁을 알고서 정말 기뻐하는 어떤 감정이 느껴졌다.

나는 이 두 상황이 전혀 다른 상황이라고 고민한다. 1990년대, 지금처럼 인터넷으로 자료 찾기가 수월하지 않던 시대, 미국 등 외국 자료를 구하기 위해선 해당 국가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과 연결이 되어서 편지로 정보를 주고 받던 시대에 스톤월 항쟁의 의미는 지금과 다르다. 물론 몇몇 활동가가 미국의 퀴어 이론을 열심히 소개했으니 정보가 부족했다고 믿지는 않지만, 지금과 같지는 않았을 것이다(원한다면 아마존에서 도서를 바로 주문할 수 있는 시대는 아니었으니까). 아울러 LGBT/퀴어 운동을 이제 시작했다고 믿는 당시에 외국의 항쟁 소식은 큰 힘이 되었을 것이다. 그런 시대의 스톤월 항쟁 소식 및 의미와 2010년대에도 여전히 스톤월 항쟁을 마치 자신의 신화적 기원이자 힘으로 삼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그래서 가정하고 싶다.

만약 1990년대 초중반 운동을 시작했던 활동가가 스톤월 항쟁 소식에 기뻐하고 그 의미를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하는 동시에 1990년대 이전의 역사를 살피는 작업을 진행했다면 어땠을까? 물론 그때도 지금도 1990년대 이전의 자료에 접근하기 어려웠겠지만 누군가 한 명이라도 그 작업을 진행해서 한국 LGBT/퀴어의 역사를 탐문하는 작업을 진행했다면 뭔가 달라지지 않았을까? 크지는 않지만 뭔가 조금은 달랐을 수도 있다고 기대한다. 한국 LGBT/퀴어의 운동과 그 기원(언제나 신화적이고 망상적인 그 기원)을 조금은 다르게 생각했을 테니까. 물론 하지 않았다고 아쉬워할 일은 아니다. 역사 연구를 비롯한 어떤 연구 작업 자체가 임계점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10년 전만 해도 지금처럼 많은 퀴어 연구자가 등장하리라 생각 못 했다. (사실 더 많은 연구자가 등장할 거라고 망상했다... 호호호) 그러니 그때 왜 그러지 않았냐고 물을 수는 없다. 그저 그때 바로 한국 퀴어 역사를 연구하는 작업을 했다면 어땠을까 싶을 뿐이다.

2016/03/16 21:40 2016/03/16 21:40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3154
  1. 비밀방문자  2016/03/18 23:2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