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겐 혹은 누구나 사랑할 권리가 있다...라는 표현이 자주 쓰인다. 특히 기독교 근본주의 집단 혹은 LGBT/퀴어 적대 집단에 대항할 때 이 표현은 '동성애'(!)를 옹호하는 언설로 무척 자주 언급된다. 누구나 사랑할 권리가 있다... 나는 사람들이 어떤 기획으로 이 구절을 선택했는지 모르니까 이 구절을 사용하는 사람 개개인의 맥락과 의를 알 수 없다. 그저 이 구절 자체가 갖는 의미를 구시렁 거릴 수 있을 뿐.

누구나 사랑할 권리가 있다는 표현을 사용할 때 이 구절의 의미를 어디까지 염두에 뒀는지 궁금하다. 구절의 의미만 따진다면 이 말은 모든 사람의, 모든 형태의 사랑을 긍정하거나 옹호한다. 그리하여 많은 폭력과 이른바 혐오, 현행법상의 범죄를 함께 옹호한다. 일단 LGBT/퀴어를 적대하는 집단은 언제나 퀴어를 사랑한다고 주장하지 혐오하거나 미워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그들에게 이른바 반대 집회나 욕설은 학대와 폭력이 사랑이 매로 불리고, 데이트 성폭력이 용인되는 한국에서 사랑의 표현일 수 있다. 그런 방식의 사랑도 사랑할 권리에 속한다는 뜻일까? 혹은 많은 성폭력이 사랑의 이름으로 이루어진다. 그런 사랑도 포함한다는 뜻일까? 누구나 사랑할 권리가 있다는 말은 한편으론 의미있는 표현이지만, 사랑의 보편성을 주장하는 말이지만 사랑이 무엇인지를 질문하지 않는다. 혹은 그 질문을 생략하며 사랑을 아름다운 것으로 포장한다. 하지만 사랑은 자명하거나 마냥 아름다운 것이 아니다.

사랑이 자명한 것이 아님은 '누구나 사랑할 권리가 있다'란 바로 그 구절이 말하는 바이기도 하다. 사랑을 권리로 설명하기 때문이다. 사랑할 권리라는 표현은 사랑을 자명한 감정이나 아름다운 관계가 아니라 정치적 의미 투쟁의 장, 끊임없는 논쟁거리란 점을 분명히 한다. 맞다. 사랑은 의미 투쟁의 장이며 권력 다툼이 첨예하게 작동하는 관계망이다. 따라서 '누구나 사랑할 권리가 있다'란 표현이 등장한다면 그 다음엔 '그러니 우리 사랑도 정당하다'가 아니라 '너의 사랑 개념과 나의 사랑 개념을 다투고 사랑이 정치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논하자'여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그러니 우리 사랑이 정당하다'와 같은 방식으로 논의가 흐른다면 일종의 언어도단이다.

다른 한편 누구나 사랑할 권리가 있다란 표현은 실제 정말로 아름다운 방식으로 쓰이지 않는다. 표현에 이어 '그러니 동성애는 정당하다' 혹은 '그러니 동성애를 인정하라'와 같은 언설이 등장할 때 '누구에게나 사랑할 권리가 있다'란 표현은 결국 동성애만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쓰일 공산이 크다. 매우 위험한 언어 표현 전략이란 뜻이다. 누구나에 양성애자/바이섹슈얼, BDSM 실천자, 세대간의 사랑 실천자는 포함되는가? 몇몇 LGBT 모임은 BDSM 실천자는 퀴어가 아니라며 배제하거나 가입을 불허하고 있다. 세대간의 사랑은 마치 금기처럼 논의 자체가 안 되거나 범죄로만 다루는 경향이 있다. 지금도 꾸준히 여성전용 커뮤니티에서 양성애자/바이섹슈얼을 비난하는 글이 실리고 이 글이 논쟁글로 다뤄지고 있다. 누구나에 누가 포함되는가? 누구나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한계, 누구나라고 여기는 성적 선호나 실천의 한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그리하여 질문하자면, 누구나 사랑할 권리가 있다란 말은 정확하게 무슨 뜻일까? 어리석은 내겐 정말로 어려운 표현이다.


2015/12/02 20:07 2015/12/02 20:07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3135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