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어머니가 안 계신다면 명절은 어떤 형태여야 할까, 잠시 고민했다. 차례 같은 걸 완잔 없애고 싶다는 마음과 차례를 지낸 뒤 고향/본가에 가길 원하지 않는 내 친구들을 모아 같이 음식을 나눠 먹어도 괜찮겠다는 고민이 교차했다. 하지만 역시 번거로운 일이겠지. 무엇보다 이렇게 대이동하는 행사, 행복하다는 사람음 별로 없는 이 행사는 왜 지속되는 걸까? 명절만 다가오면 여성 스트레스 기사 뿐만 아니라 남자도 스트레스 받는다는 기사가 수시로 나오는데 무엇이 명절 대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걸까? 참으로 미스테리다. 물론 이런 글을 쓰는 나도 그 대이동에 동참하고 있다.

명절이면 가장 큰 걱정은 바람과 보리 두 고양이다. 연락을 취할 수도 없는 두 고양이를 생각하면 걱정이 태산이다. 왜 명절은 가족과 헤어지는 걸 감내하는 시간이어야 하는 걸까? 새로운 불만이 추가된다. 평소에 함께 하는 가족과 명절 등 특정한 날에만 함께하는 가족. 가족이란 무엇이냐.

그렇다고 지금 상황이 나쁘다는 뜻은 아니다. 가사노동, 집을 온전히 관리해야 한다는 부담을 덜기 때문이다. 가사노동은 어디서나 하지만 부담은 줄어든다. 내가 어머니의 가사노동을 착취하거나 그 노동에 빚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아무려나 부담이 줄어들면 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는 느낌. 어머니에겐 나쁘기만 하냐면, 이렇게 와야 어머니도 식사를 제대로 챙기신다. 그래서 상황이 좀 복잡하다. 어머니는 가사노동이 늘고 나는 부담이 줄어드는데 이런 상황이 되어서야 어머니는 식사를 제대로 하신다. 결국 슬픈 일이고 속상한 일이다.



2015/09/27 21:49 2015/09/27 21:49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3069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