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혐오가 어쨌다구]를 쓸 때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나는 그 책에 실린 내 글이 늘 찜찜하다. 이유는 간단한데 트랜스젠더퀴어를 혐오의 피해자로만 기술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기술할 경우, 트랜스젠더 커뮤니티, 특히 의료적 조치를 규범 삼는 커뮤니티에서 발생하는 비이성애 혐오를 은폐할 뿐만 아니라 혐오의 더욱 복잡한 층위를 매우 단순하게 만든다. 이른바 성적소수자 커뮤니티에서 '트랜스젠더퀴어는 최고의 피해자/약자다'와 같은 방식으로. 아울러 비트랜스페미니스트의 트랜스 혐오를 비판하는 동시에 트랜스젠더퀴어가 규범적 삶을 욕망하는 지점을 좀 더 정교하게 설명해야 했다. mtf/트랜스여성이 평범한 여성으로 살고자 노력하는 욕망, 젠더퀴어가 평범함 혹은 기존 질서에 편입되고자 하는 욕망을 더 복잡하고 정교하게 풀어야 했다. 그래야 논의가 제대로 전개된다. 하지만 혐오의 복잡한 층위를 살피겠다고 주장한 나의 글은 사실상 혐오의 복잡한 층위를 매우 단순하게 만들었다. 물론 나는 트랜스혐오나 바이혐오를 출판물 형태로 분명하게 설명하고 싶었다. 그렇다고 해서 혐오의 혐오의 혐오 대상과 같은 방식으로 글을 구성하면 안 되었다. '누가 최대 피해자다'와 같은 방식으로 해석될 여지가 많게 글을 쓰면 안 되었다. 이건 망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만든다. 물론 진부한 변명, 지면의 한계가 있었다고 말할 수도 있다. 실제 최초 원고는 230매 가량이었는데 다른 원고에 비해 너무 길어서 50매 가량을 덜어내고서야 출판할 수 있었다(덕분에 글이 그나마 좋아졌다). 하지만 이것은 명백한 핑계인데 그냥 처음부터 구조를 달리하면 될 문제였다. 그러니까 그 글은 명백하게 실패한, 아니 그냥 잘못 쓴 글이다. 그 글의 세세한 부분은 의미가 있을 수 있겠지만, 한 편의 완결성을 갖춘 글이란 측면에선 실패했다. 사람마다 글을 평가하는 방식은 다르겠지만 적어도 지금의 나는 내 글을 이렇게 평가한다.


2015/09/21 10:57 2015/09/21 10:57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3063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