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만에 특강을 하고 왔다. 2007년 처음으로 특강을 했으니 이제 햇수로 9년째지만 일년에 기껏해야 3~4번 강의를 하는 나로선 여전히 강의 자체가 부담스럽다. 글을 쓸 기회가 생기면 기뻐서 좋아하지만 강의를 할 일이 생기면 어지간하면 다 받지만 그럼에도 무척 부담스럽다. 오늘도 그랬고 가고 싶지 않아서, 가는 버스에서 깜빡 잠들어 아주 먼 곳으로 가고 싶었다. 그럼에도 강의 자체는 무난하게 끝났다.

강의를 할 때면 이 자리에, 이 강의실에 동성애자, 양성애자, 이성애자, 무성애자, 트랜스젠더, 젠더퀴어 등이 그냥 있다고 미리 말하고 시작할 때가 있다. 이때 핵심은 '있을 수 있다'가 아니라 '있다'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다른 인식론이다. '있을 수 있다'는 없음을 전제하지만 그럼에도 염두는 두겠다는 오만함이다. 비교를 하자면 외국으로 여행을 가는 일을 외국여행으로 말하느냐 해외여행으로 말하느냐와 같은 차이기도 하다. 뉴스를 들어도 해외여행이라는 말을 매우 빈번하게 사용하는데 이 말은 제주도를 한국의 영토가 아니라고 가정한다. 제주도 뿐만 아니라 많은 섬을 한국의 영토가 아닌 것으로 사유한다. '있을 수 있다'는 이런 것이다. '있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가 아니라 '있을 수 있으니 없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존재를 적극 사유하는 언설이 아니다. 기존의 지배 규범과는 다른 식의 입장으로 말하는 태도도 아니다. 그냥 기존의 지배 규범에 부합하는 언설이다. 그래서 나는 강의를 할 때면 '이 자리에 양성애자, 동성애자, 이성애자, 무성애자, 트랜스젠더, 젠더퀴어 등이 있으며, 정확하게 이 측면에서 말을 하겠다'고 말하곤 한다.

오랜 만의 강의 치고는 나름 재밌었고 질문도 좋았다. 수강생 중에선 한 명만이 질문을 했는데 섹스-생물학적으로 타고나는 성이 없다면 이성애, 동성애 등도 흔들리고 불가능한 것 아니냐고 물었다. 정말 멋진 질문이었다. 정말 좋은 질문이라고 칭찬을 해주며, 성적지향을 섹스(란 것이 있다고 가정할 때)로 설명할 때, 이원젠더로 설명할 때, 젠더로 설명할 때를 나눠 다시 이야기했다.


2015/04/03 22:09 2015/04/03 22:09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892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