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는 별 상관이 없는데 이걸 글로 쓰거나 말로 할 때, 특히 한국이 아닌 곳에 말할 때 정말 묘하게 서글퍼지는 그런 일이 있다.

이를테면 현재 한국에선 트랜스젠더와 관련한 어떤 법적, 의료적 제도나 규정된 절차가 없다. 나는 이것이 장점이기도 하다고, 혹은 무작정 이것이 나쁘다고 판단하지는 않는다. 제도의 부재는 언제나 나의 법적, 의료적 요구가 성취될 가능성을 복불복으로 만들고 이것은 내 삶의 불안정을 가중한다. 하지만 복불복은 틈새를 만든다. 예를 들어 법으로 만 19세 이상부터 호적 상 성별을 변경할 수 있다는 지침이 있다고 해도, 규정된 제도가 없기에 만 19세가 안 된 이들도 경우에 따라 호적 상 성별을 변경할 수 있다. 이 틈새의 힘을 무작정 무시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 제도의 부재를 마냥 부정적으로 평가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제도를 만드는 것이 곧 인권의 진전으로 평가되는 어떤 경향성에서, 제도의 부재는 삶 자체를 초라하고 불쌍한 것으로 만든다. 제도를 만드는 것이 결코 삶의 질의 진전을 의미하지 않음에도 '제도가 부재한다'라는 말이 갖는 부정적 효과를 지우기란 쉽지 않다.

제도의 존재 혹은 부재와 삶의 질, 인권의 현실은 분리해서 사유해야 하는 이슈임에도 이것을 연결해서 사유하고 설명하는 경향성은 언제나 어떤 상황에서, 특히 한국 맥락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에게 이것을 설명해야 하는 상황에선 곤혹스러움을 느낀다. 어떤 나라는 제도는 잘 갖춰져 있지만 혐오 폭력이 빈번하고 제도가 실제 개인의 삶에 작용하지 않는다. 한국은 제도가 부재하지만 미국이나 브라질에서처럼 직접적 살인의 형태로 혐오 폭력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한국에서의 혐오는 그 형태가 다르기 때문인데, 간접적 살인이나 오지랖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향이 더 강하다. 이른바 트랜스포비아는 "트랜스젠더 이 더러운 괴물"과 같은 직접적 표현도 있지만, "내가 널 위해 충고하는데 말야", "그래도 이 사회에서 살아가려면 말이야"와 같이 친절, 염려, 좋은 사람이라는 사회적 이미지를 채용해서 발화한다. 이런 방식으로 트랜스젠더의 피를 말리고 때때로 죽음이나 다른 여러 선택을 하도록 한다. 그래서 서구 논의 맥락으로, 서구의 혐오 폭력이나 혐오 발화 논의로는 한국의 상황을 설명하기가 매우 곤혹스럽다. 동시에 제도의 존재나 부재, 삶의 질, '인권의 진전'을 연결해서 설명하는 방식은 한국에서의 삶을 온전히 설명하기 어렵게 한다(비단 한국에서만이겠느냐만).

아무려나 글을 쓰고 있자니 마음이 복잡하다. 주요 독자가 한국인 혹은 한국어만 사용하는 사람이 아니란 점에서 몸이 더 복잡하다.

뀨물렁...


2015/02/21 12:42 2015/02/21 12:42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849
  1. 비밀방문자  2015/02/21 23:3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 루인  2015/02/22 21:39     댓글주소  수정/삭제
      섬세하게 설명하는 게 아니라 그냥 막 던지다가 갑자기 걱정이 되어서요.. ㅠㅠㅠ 크크크 ㅠㅠㅠ
      근데 정말이지 한국 상황을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한국 관련 이론적 논의를 전개한다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는 느낌이라서 마음이 엄청 복잡하더라고요. 그냥 막 던지겠어, 결국 나 개인의 의견에 불과한 걸!!! 이라는 마음과 조금은 더 조심스럽고 섬세하게 써야 하는 건 아닐까.. ㅠㅠㅠ 라는 마음이 계속 왔다 갔다 하고 있달까요.. ㅠㅠ
      이런 마음을 1세계 것들은 모르겠죠.. 크릉
  2. 진오  2015/02/22 07:4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TSQ 글이로군요. 힘 내세용!!!
    • 루인  2015/02/22 21:35     댓글주소  수정/삭제
      고마워요. 근데 글은 산으로 가고 있어요. 크킄크크크크크킄크크크킄크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3. 이반지하  2015/02/26 03:00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1세계 것들은 1도 모르져... 참말 1도 모르는 것들이져..
    • 루인  2015/02/27 00:03     댓글주소  수정/삭제
      그쵸. 탈식민을 주장하는 사람도 1을 충분히 깨닫지는 못 하는 듯하더라고요. 킁
  4. 케이  2015/02/28 04:4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1세계 논의에서 사용되는 (그래서 마치 보편 기준인 양 작동하는) "지표"들이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경험을 맥락화해서 설명하는 데 부적절하다는 현실을 언어화하는 작업으로서 루인 님의 글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거 아닐까요. 이 포스팅에서 토로하고 계시는 "어려움" 자체를 글의 제재 중 하나로 전면화시켜도 좋을 것 같아요. 비1세계의 트랜스젠더 경험, 특히 한국 사회의 트랜스젠더 경험을 1세계 담론의 장에 말그대로 트랜스-레이트 (번역) 하는 일의 불/가능성으로서 말예요... 기대돼요!
    • 루인  2015/02/28 17:03     댓글주소  수정/삭제
      응, 고마워요! 글을 쓰면서 이 부분을 많이 갈등했는데 댓글 읽고 용기 내서 그냥 질렀어요. 으하하 ㅠㅠㅠ

      1세계의 논의가 갖는 한계를 지적하는 과정에서 조금 더 어려운 건, 글을 투고할 곳의 편집진이 탈식민, 지식의 권력 관계를 고민하려고 애쓰는 연구자들이어서 묘하게 조심스럽기도 해요. 그들의 노력을 아예 무시할 수도 없는데, 그렇다고 그것이 한국 논의를 전개하거나 글을 쓸 때 '씅'에 차지도 않는 그런 문제가 있어서요.. 하하.

      암튼 고마워요!
  5. 케이  2015/03/01 02:0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씅에 안 차죠. 아마 계속 안 차지 않을까요. 그거 자체가 그들의 무슨 절대적인 한계라기보다는 언제나 존재할 수 있는 긴장 자체로 놓치지 말고 의미화 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잘 지르셨어요. TSQ 편집진에는 페미니즘-퀴어-트랜스젠더 담론을 생산하는 미국 내 무리들 중에서도 계급/인종/식민성 등에 대해 나름대로 치열하게 연구하고 고민하는 사람들이 모여있다지만 그래도 '미국'과 '서구' 바깥의 정황에 충분히 예민하게 접근하는가 하면 또 그렇다고 하긴 어렵기도 하고 그러니까요.. 질러놓고 예상했거나 예상치 못했던 반향들 속에서 헤엄치는 재미(!)도 쏠쏠하지 않을까요! 힘!
    • 루인  2015/03/01 23:52     댓글주소  수정/삭제
      맞아요. 씅에 안 차는 건, 정작 제 자신의 글도 씅에 안 차는데(이건 제 실력의 문제지만요 ㅠㅠ)... 싶기도 하지만 말씀하신 것처럼 씅에 안 차는 바로 그 부분을 긴장과 논쟁, 논의의 지점으로 만드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가고 생각해요.
      근데 지르는 건 쉬운데 뒷감당은 늘 어렵다는 게 문제라면 문제랄까요.. 하하. 더 큰 문제는 이후의 반향이 없을 거라고 확신한다는 게 함정이라면 함정이에요. 하하. ㅠㅠ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