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를 계속해서 찾다보면 깨달을 수밖에 없는데, 최소한 근대 이후 혹은 1900년대 들어 한국에서 LGBT/퀴어를 염두에 두지 않은 시기는 없다는 점이다. 변태는 늘 등장하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들을 꾸준히 신경 쓰고 있다. 석사학위논문에서였나, 다른 글에서였나, 한국의 LGBT/퀴어는 한국 사회에 빈번하게 등장하지만 매번 마치 처음 일어나는 일이라는 듯 대하는 반응을 두고, 비규범적 존재를 대하는 지배규범의 규범적 태도라고 썼다. 그땐 단편적 몇 가지 흔적만으로 이렇게 추론했는데, 자료를 찾을 수록 정말 그렇다는 것을 확인한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비규범적 존재를 지배규범이 인식하는 방법, 안착시키는 방법이 '세상에 이런 일이'라고 할 수 있겠지. 존재함은 인정하고, 사회적 구성원이라는 점도 인정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포용하지는 않겠다는 태도 말이다.

물론 나의 이런 추론은 틀렸을 수도 있다. 자료를 더 찾고, 더 꼼꼼하게 읽다보면 또 다른 무언가를 깨닫을 테니까. 늘 낯설고 당혹스러운 존재로 표현하면서 변태 혹은 LGBT/퀴어를 꾸준히 받아들이고 있다면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더욱 복잡할 것이란 걸 깨닫는 날이 오겠지.

그나저나 옛날 자료를 찾다보면 당혹스러운 점. 번역서인데 도저히 원저자의 영어 표기를 유추할 수가 없다. 저작권 계약 없이 해적판을 내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던 시기라서, 원래 언어도 표시가 안 되어 있다. 끙... 이럴 때 이 자료는 믿을 수 있는 자료일까? 신빙성을 어떻게 따져야 할까? 고민이다.


2015/02/10 22:00 2015/02/10 22:00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838
  1. 진오  2015/02/14 05:4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저같은 변태가 constitutive other로서 늘 존재하는 이상
    한국 사회에 불건전한 사람들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하면 섭하죠 낄낄...
    • 루인  2015/02/14 18:05     댓글주소  수정/삭제
      그럼요, 불건전하고 변태는 늘 존재했지요. 크크크.
      그러니 지금 우리가 살아있는 것이기도 하고요. 흐흐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