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오후 2시라고 합니다.
저는 딱 그 시간이 수업시간이기도 하고, 수업을 대체하는 콜로키움이 진행되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갈등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하고요.

콜로키움에선 밀양전 등 밀양 이슈를 다룰 예정입니다. 그래서 더 고민이고 선뜻 결정하기 힘듭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것일지...

다른 한편 서울시인권헌장 재정을 거부하는 일군의 무리도 인권을 주장합니다. 서로가 인권을 주장하며 싸우는 형국입니다. 인권이란 뭐죠? 그런데 다른 질문 하나. 트랜스젠더에겐 인권이 무슨 의미인가요? 트랜스젠더의 맥락에서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인권을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을까요? 질문과 고민이 이어지는 날들입니다.


===


[긴급호소]
인권을 혐오하고 짓밟는 세력이
인권중심사람에 들어오는 것을 단 한 발자국도 허락할 수 없습니다.
 
지난 11월20일 서울시민인권헌장 공청회 현장은 그야말로 아수라장이었습니다. 성소수자 혐오세력들은 공청회 진행 방해를 넘어 단상까지 점거하고 인권활동가들을 모욕했고 폭력을 행사했으며 인권 그 자체를 짓밟았습니다. 당일 사회를 맡은 박래군 인권중심사람 소장은 시작 전부터 세월호 국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을 한다는 이유로,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장한다는 이유로, 성소수자 인권을 지지한다는 이유로 사회자 교체 요구를 받았습니다. 공청회 진행을 위해 힘겹게 입장했지만 참석자들에게 멱살이 잡히고 “동생이 죽으면 다냐”는 막말을 들으며 위협 당했습니다. 공청회는 파행을 거듭하다 안전을 이유로 결국 취소되었습니다. 인권재단사람 활동가들은 인권이 짓밟히는 그 현장에 있었고 모든 것을 똑똑히 보았습니다.
 
11월27일 2시 인권중심사람에선 서울시 시민보호관 주최로 2014년 시민인권보호관 제도의 평가와 발전방안 토론회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자리에 공청회에서 마주했던 성소수자 혐오세력들이 온다고 합니다. 섬돌향린교회와 한 공간을 사용하고 있다며 피켓을 가지고 모이라고 호도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에서 주관하는 토론회를 무산시켜야 한다고 말합니다. 시민인권보호관과 서울시인권헌장도 구분 못하는 무지함을 탓하진 않겠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인권센터 내에 있는 풀 한포기, 벽돌 한 장이라도 훼손하는 건 가만히 두고 볼 수 없습니다. 인권을 더럽혔던 그 입들이 인권중심사람에서 열리는 인권행사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것입니다. 인간의 존엄을 짓밟는 발언과 행동은 참지 않겠습니다. 인간에 대한 예의조차 없는 이들에게 우리는 문을 열어줄 수 없습니다.
 
시민들의 인권센터, 인권중심사람을 운영하는 인권재단사람은 인권을 혐오하고 짓밟는 세력이 들어오는 것을 단 한 발자국도 허락할 수 없습니다. 인권중심사람은 사회적 약자・소수자들을 위한 공간이고, 지역주민들과 인권활동가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국가와 기업의 지원이 아니라 시민들의 모금, 인권세상을 바라는 사람들의 염원으로 세워졌습니다. 인권을 혐오하는 이들은 인권중심사람에 들어올 자격이 없습니다.
 
인권중심사람은 다양한 인권행사들이 열리는 곳입니다. 인권재단사람은 인권중심사람을 운영하는 주체로서 시민과 인권을 잇는 그 어떤 행사라도 안정적으로 진행되도록 도움을 주고 협조할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인권센터 벽돌 한 장 쌓을 때마다 도움을 주었던 기부자들과 했던 약속입니다. 서울시민인권헌장 공청회처럼 인권이 묵살되지 않도록, 혐오와 폭력 앞에 인권이 좌절하지 않도록 반드시 지킬 것입니다.
 
인권활동가들과 인권운동을 지지하는 분들에게 호소합니다. 인권중심사람이 인권을 혐오하고 훼손하는 세력에게 더럽혀지지 않도록 함께해주십시오.
 
2014.11.25
재단법인 인권재단 사람
2014/11/27 06:17 2014/11/27 06:17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761
  1. 솜writer  2014/11/28 23:5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성적소수자 포비아들을 보면 분명 그들중에도
    성적소수자인 사람도 있을거같단 생각이듭니다.ㅇㅅㅇ
    이런 말이 있지요.
    "강한 부정은 강한 긍정과 같다."
    한때 포비아였던 사람도 자신이 이쪽성향인 걸
    뒤늦게 깨닫기도한 경우도 있으니까요;;
    • 루인  2014/11/29 17:45     댓글주소  수정/삭제
      그쵸? 어떤 포비아는 퀴어이론을 정말 잘 아는 걸까 싶을 때도 있고, 어떤 포비아는 자기 혐오일까 싶기도 해요. 아무려나 그런 문구를 보는 마음은 복잡하고 심란하지만요..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