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리릭 쓰느라 글이 거친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어제 박원순 시장이 [아시아에서 동성결혼 합법화가]“한국이 첫 번째가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는 구절과 함께 미국에서 했던 인터뷰를 소개한 허핑튼포스트 기사를 읽었다. 이 말은 별로 신뢰하지 않았는데 이것은 그 다음 구절 때문이었다.

<인용>
박 시장은 “개인적으로, 동성애자들의 인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에 찬성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에선 기독교의 힘이 매우 강하다. 정치인들에게 쉽지 않은 문제다. 동성애를 포함시키도록 보편적 인권 개념의 범주를 넓히는 일은 활동가(activist)들의 손에 달려 있다. 그들이 대중을 설득하고 나면 정치인들도 따라가게 될 것이다. 지금 그런 과정에 있다.” (샌프란시스코 이그재미너 10월12일)
http://www.huffingtonpost.kr/2014/10/13/story_n_5974946.html
</인용>

나는 이 구절을 읽고 다소 화가 났기도 하고, 당연하지라고 중얼거리기도 했다. 지난 6월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청광장에서 개최하려고 했을 때, 지방선거를 이유로 서울시(박원순 시장)는 장소 승인을 거절했었다(이것은 다소 부정확한 표현일 수 있지만 내용은 부정확하지 않을 것이다). 퀴어이슈나 LGBT 이슈, 동성결혼 이슈로 어떻게든 휘말리고 싶지 않다는 의도였다. 위 인용 구절에서 “보편적 인권 개념의 범주를 넓히는 일은 활동가(activist)들의 손에 달려 있다. 그들이 대중을 설득하고 나면 정치인들도 따라가게 될 것이다.”라는 말은 박원순 자신은 이런 일이 결코 적극 나서지 않을 것이란 표현을 에두른 것에 불과했다. 그랬기에 허핑튼포스트가 소개한 이 기사는 다소 ‘모순’이었다. ‘내’가 ‘동성애 인권’을 위해 무언가를 적극 나서서 하지는 않겠다는 식의 언설과 “한국이 첫 번째가 되면 좋겠다”는 언설은 공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것이 공존할 수 있다면 이는 더 무책임하고 무성의한 발언이기도 하다.

그리고 오늘 한겨레를 통해 박 시장의 취지가 잘못 전달된 것이라고 밝혔다.

<인용>
“박원순 서울시장이 ‘한국이 아시아에서 첫번째로 ‘동성 결혼’을 합법화하는 국가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고 보도한 미국 <샌프란시스코 이그재미너>의 최근 기사에 대해 박 시장 쪽은 13일 발언 취지를 잘못 전달한 것이라고 밝혔다.
<중략>
박 시장 쪽은 기사가 인터뷰 내용을 와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시는 이날 설명자료를 내어 “박 시장이 직접적으로 동성결혼에 대한 합법화를 추진하겠다는 의견을 피력한 것이 아니라 한국적인 상황에 대한 설명을 한 것이다. 인터뷰 과정에서 성소수자의 인권보호, 종교계와의 갈등 문제, 국회에서의 논의과정에 대한 상황을 설명한 것으로, 아시아에서 첫번째로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는 것은 시민사회의 역할에 달려 있다고 한 것이지 시장 본인의 의지를 표현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박 시장은 인터뷰에서 ‘아마도 한국이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는) 첫번째 국가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원한다(hope)는 단어를 쓰지 않았다. 박 시장은 한국 상황을 설명한 것이지, 동성결혼 합법화 추진에 나서겠다는 취지의 발언은 아니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박 시장이 기사를 본 뒤 “아, 이거까지는 아닌데”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59655.html
</인용>

허핑튼포스트의 전달 기사가 정확하다면, 나는 박원순 시장의 진심은 “정치인들에게 쉽지 않은 문제다”에 있다고 판단한다. 쿨하게 보편적 인권이란 측면에서 동성애자[적어도 기사엔 동성애만 언급하지 LGBT나 퀴어를 언급하진 않으며 이것이 가장 심각한 문제다]의 인권을 지지하지만, 그 이상 내게 뭘 요구하지 말라는 태도다.

그리고 이런 논란이라면 논란이고 그냥 가벼운 기사라면 기사에서 가장 화가 나는 것은 따로 있다. 동성결혼을 LGBT/퀴어 이슈에서 가장 중요한 논쟁과 사안인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 LGBT/퀴어의 삶은 매우 다종다양함에도 ‘동성애’란 용어가 이 모두를 대표하는 것은 무척 화가 난다. 어떤 이슈가 더 중요하고 어떤 이슈가 차후 문제라는 식의 결정은 논쟁적이지만, 적어도 동성결혼이 가장 중요하거나 가장 논쟁적 이슈처럼 이야기되어선 안 된다고 믿는다. 정말 이건 아니다.

LGBT/퀴어인 사람들이 자신이 원하는 곳에서 편하게 쉴 수 있도록 만드는 것(미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노숙하는 청소년의 절반 정도가 LGBT라고 한다, 한국의 트랜스젠더가 집을 나왔을 때 갈 수 있는 곳은 없다), 결혼 제도 자체를 해체하는 것, 성별 이분법이란 규범과 제도 자체를 흔드는 작업 등이 더 중요한 이슈 아닌가? 적어도 나는 이렇게 믿고 있다. 매우 지난한 작업이라고 해도, 지난함을 밀어붙이는 것이 퀴어정치고 트랜스정치라고 믿는다.

2014/10/16 06:11 2014/10/16 06:11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719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