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시간에 쓴 쪽글로 대충.. ^^:

===


2014.04.20.일. 쪽글02
미래를 다르게 상상하는 힘
-루인

사회적 타자 혹은 비규범적 존재로 구성되는 집단은 지배적 재현 체계에서 언제나 특정 이미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이미지는 시간이 흘러도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사회적 타자나 비규범적 존재를 향한 인상과 성격을 조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간이 흘러도 특정 이미지에 고착된다는 것, 이미지가 별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 그리하여 삶 자체가 그 이미지로 이해된다는 것은 사회적 타자나 비규범적 존재와 시간성의 관계를 질문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시간성이 존재를 사회적 타자나 비규범적 존재를 구성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짐작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질문하기를, 사회적 타자나 비규범적 존재는 자신의 시간성을 갖거나 시간성이 존재하는가? 사회적 타자나 비규범적 존재는 어떤 미래를 상상할 수 있는가? 이 질문은 규범과 시간성, 그리고 타자의 ‘발명’ 혹은 재현의 관계를 탐문하도록 한다.

요하네스 파비안(Johannes Fabian)은 시간/성 개념의 변화가 타자를 어떻게 출현시켰는지를 탐문한다. 파비안에 따르면 신에게 의미 있던 시간이 세속화되면서 시간은 측정할 수 있는 것, 중립적인 것으로 변했고 한 사회의 의미 체게 바깥에 존재하는 것으로 바뀌었다(13). 시간이 사회적 의미 체계에서 벗어남은 특정 지역에 따라 시간이 다른 의미를 가짐이 아니라 지역이나 시대에 무관하게 동질한 값을 지님을 뜻한다. 이것은 시간성의 보편화를 뜻하는 동시에 모든 지역의 시간을 등가의 가치로 평가함을 뜻하기도 한다(16-17). 시간이 모든 지역의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다면 그리하여 가치 중립의 측정 도구가 된다면 ‘우리’는 시간을 근거로 다른 사람을 평가할 수 있고 시간은 다른 사람/문화를 평가할 수 있는 절대적 기준이 된다. 다른 말로 ‘우리’는 이렇게 발달한 문명에서 살고 있는데 ‘너네’는 왜 그렇게 열악한 생활을 하고 있느냐는 평가가 식민주의-제국주의 인식론을 함의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것이 된다. 이것은 ‘우리’가 시간/성을 성찰하지 않을 때 너무도 쉽게 할 수 있는 언설인 동시에 시간성이 타자를 ‘발명’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시간성 개념이 타자를 ‘출현’시킨다는 파비안의 논의는 지금 시점에서도 유의미하다. 지금도 사회적 타자 혹은 비규범적 존재는 시간성 개념에서 타자성이 ‘발명’되고 규정되고 (재)강화되기 때문이다. 모두가 동질적 시간성, 단 하나의 시간 가치를 산다고/살아야 한다고 기대할 때, 그 기준에 맞춰 살지 않는 존재는 다른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시간, 이 사회가 특정 나이와 젠더에 요구하는 지배 규범적 시간과 트랜스젠더에게 요구하는 시간을 모두 살아야 하는 트랜스젠더는 동시에 두 개의 시간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규범적 시간을 어느 정도 맞추려면 트랜스젠더의 시간을 살기가 어렵고, 트랜스젠더의 시간을 살고자 하면 규범적 시간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두 개의 시간이 모순이기에 결코 병행할 수 없어서가 아니다. 비규범적 존재가 아닌 존재라면 지배 규범적 시간을 완벽하게 체화하며 살기 때문도 아니다. 누구도 지배 규범적 시간을 완벽하게 체화하며 살 수 없고 그렇게 살지 않는다. 두 개의 시간성이 다른 위계적 가치를 지니면서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또한 지배 규범적 존재가 비규범적 존재를 평가하거나 판단할 때에 있어서는 지배 규범적 존재는 지배 규범적 시간성을 살아간다는 막연한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비트랜스젠더의 시간성 개념에서 트랜스젠더는 비트랜스젠더의 시간 발달 기준에도, 트랜스젠더의 ‘지배적 재현 이미지’에 부합해야 하는 시간 발달 기준에도 모두 부족한 존재다. 시간을 자연화하고 동질의 가치로 여기는 인식론에서 트랜스젠더는 언제나 타자일 수밖에 없고 열악한 존재일 수밖에 없고 불행한 존재일 수밖에 없고, 시간 자체가 없는 존재일 수밖에 없다.

등가의 시간 가치로 모두를 판단하는 인식론은 미래를 상상하고 전망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빈칸 아담스 등(Vincanne Adams et al.)과 카렌-슈 타우식 등(Karen-Sue Taussig et al.)이 지적하고 있듯, 전망이나 기대, 잠재성이나 가능성과 같이 미래의 시간을 상상하는 언설은 모두 현재의 가치 체계에 따른 상상력이기 때문이다. 아담스 등은 기대/전망(anticipation)이 미래를 현재의 데이터로 예측할 수 있는 것, 그리하여 현재 대비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한다. 그것은 또한 희망과 불안을 동시에 담는 것이자 불안을 최소화하고 희망을 최대화하려는 기획이기도 하다. 타우식 등은 잠재성(potentiality)이란 용어가 시대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르게 변화함을 지적하며 잠재성에 내재한 미래 시간이 현재의 가치 판단에 따른 것임을 지적한다. 두 논의의 지적에서 특히 흥미로운 점은 미래라는 시간을 상상할 때 언제나 희망과 불안을 동시에 갖는다는 점이다. 또한 기대/예상이나 잠재성이란 용어로 미래를 상상할 때 이것은 언제나 정치적 행동이란 지적이다(Taussig et al., S6). 이 두 지적은 비규범적 존재나 사회적 타자가 제기하는 많은 정치적 논의가 시간성을 둘러싼 논쟁, 미래를 상상하는 방식을 둘러싼 논쟁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조치를 둘러싼 일군의 긍적적/정당화 언설은 그것이 트랜스젠더의 삶을 행복하게 할 것이란 전망이며, 부정적 반응은 일찍 죽을 수 있다는 (정확한 근거를 찾기 어려운)예상이다. 아울러 인터섹스 유아에게 외성기 ‘교정’ 수술을 강제하는 의사는 이 수술을 정당화하기 위해 수술을 하지 않으면 아이가 행복한 이성애자가 될 수 없을 것이란 언설로 부모를 설득한다. 각각의 발언은 모두 트랜스젠더나 인터섹스의 미래를 ‘걱정’하는 ‘선한’ 마음의 표현 같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각 발언은 트랜스젠더나 인터섹스의 행복한 미래의 형식을 규정할 뿐만 아니라 모두 현재의 가치를 밑절미 삼아 미래를 규정한다. 트랜스젠더가 원해서 의료적 조치를 했다고 해서 그것이 삶을 행복하게 할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인터섹스가 수술을 해야만 ‘행복한 이성애자가 된다’는 언설은 미래의 가치가 아니라 철저하게 이성애-이원 젠더 규범을 지배 규범 삼는 현재 상황에 근거한(혹은 의사 개인의 가치 판단에 따른) 판단이다. 그렇기에 미래를 예상하거나 어떤 잠재성을 이야기하는 것은 철저하게 현재의 사회적 가치 판단에 따른 것이다. 지금 시점에서 비규범적 존재나 사회적 타자를 판단하는 인식이 미래 예상이나 잠재성의 내용을 규정한다.

시간성이 ‘타자’를 생산하고 현재 삶을 가치 판단하고 미래를 상상하도록 하는 중요한 논쟁 지대라면, 우리는 시간성을 정치적 투쟁의 장으로 다시 사유해야 한다. 그리고 미래를 다르게 상상할 수 있는 힘, 그리하여 지금 현재를 다르게 해석하고 판단하고 이해할 수 있는 힘을 만들어야 한다. 다른 시간성을 상상한다고 지금 현재 지배적 힘을 갖는 시간성이 무화되지는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시간성을 상상한다는 건, 지배 규범적 시간성이 유일한 가치가 아니라고 상대화하는 작업이며 이것은 지금과는 다른 삶을 만들어갈 중요한 토대 중 하나기 때문이다.
2014/06/21 06:19 2014/06/21 06:19
─ tag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602
  1.   2014/06/21 09:11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