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BT/퀴어는 지금 이 사회의 이성애-비트랜스젠더 중심주의로 차별과 억압을 겪고 있다는 방식의 언설로는 더 이상 운동을 성공적으로 진행할 수 없다. 벌써 몇 년 전부터 그런 시대로 변했다. LGBT/퀴어가 겪는 차별을 강조하는 것으로는 글쓰기, 강연, 캠페인과 같은 운동을 성공으로 이끌기 힘든 시대다. 슬프게도 이것은 이미 많은 활동가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이를 인정할 것인지, 아닌지는 별개고). 운동의 방식이, 발화의 형식이 바뀌어야 한다. 이제는 너와 내가 겪는 차별이나 억압이 어떻게 공통의 경험일 수 있는지를 설명해야 한다.

공통의 경험, 모든 개인은 정체성이 단일하지 않으며 따라서 복잡한 범주로 삶과 운동을 재구성해야 한다는 언설은 무척 오래되었다. 하지만 이 정치학은 지금 이 새대의 사람들에게도 충분히 체화되지 않았다. 삶에서 나온 이 성찰은 많은 경우 이론적 언어일 뿐 구체적 삶과 무관하다고 잘못 이해되기도 하다. 문제는 개인 범주의 복잡성이 지금 이 시대의 한국 사회에 가장 널리 통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맥락은 상당히 다르다. 과거엔 어땠는지 몰라도 오늘날, "LGBT/퀴어는 차별을 겪는다"란 언설엔 "이성애자인 나도 차별을 겪는다"라고 반응한다. 이런 식의 반응에 동조하건 하지 않건 상관없이 지금은 대충 이런 식으로 반응한다. 겉으로는 표현하지 않아도, 속으로는 그렇게 생각한다. 이런 상황에선 "이성애-비트랜스젠더를 비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성애-비트랜스젠더 중심의 사회에서 비이성애-트랜스젠더는 차별받고 있고 이성애-비트랜스젠더는 이를 고민해야 한다"란 언설은 큰 효과를 갖기 힘들다. 반성하지 않는 사람들을 이상하게 여기거나 문제 삼는다고 이것은 해결되지 않는다.

정치적 지향점은 견고하게 유지하되, 이를 이루기 위한 방법은 바꿔야 한다. 비이성애-트랜스젠더가 겪는 억압이나 차별을 이성애-비트랜스젠더가 살면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 억압 혹은 차별과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서로의 경험을 유사한 서사로 재구성해서 상당한 접점을 만들고 이를 통해 사회구조적 맥락(혹은 최소한 '너도 나도 다 차별 받으니 가만히 있으라'가 아닌 방향)에 초점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불가능할 것 같지만 이것은 가능하다. 가능하다고 믿는 이유는 지난 4월에 했던 특강에서 이것의 초기 판본을 시도했고 어느 정도 가능성을 엿보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모두 어떤 식으로건 차별을 겪는다. 그렇기에 전혀 다른 맥락에서 발생하는 차별 경험을 유사한 사건으로 상상할 수 있는 설명 방식, 혹은 서사를 만들어야 한다. 물론 이것은 순전히 나만의 착각일 수도 있지만, 지금은 이렇게 믿는다.

2014/05/27 06:06 2014/05/27 06:06
─ tag  ,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575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