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30일, 장애여성공감 15주년 포럼에서 얘기한 토론문의 일부입니다. 장애와 트랜스젠더의 교차점을 모색하는 글이기도 하고요. 아시겠지만, 전문은 상단의 writing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시간이 지나면서 장애여성 운동과 트랜스젠더 운동이 함께 할 수 있는 지점, 아니 함께 해야 하는 지점은 단지 화장실 정도가 아니란 걸 깨달았다. 특히 몸과 젠더 이슈가 그렇다. 발제문에서도 지적하듯 장애여성은 지배적 여성 젠더 규범에서 비/젠더화된다. 장애여성의 임신과 출산 가능성을 박탈하는 사회적 인식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장애여성은 지배적 여성 젠더 규범의 규제 안에 있지만 그 규범에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존재로 이미 결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장애여성의 여성성이나 여성 젠더 실천은 부정된다(아니, 이미 부정되어 있다). 하지만 이 부정이 장애여성을 트랜스젠더화하진 않는 듯하다. 장애여성의 여성 젠더는 지배 규범에 부합할 수 없다고 미리 규정되었음에도 여성 젠더 범주 자체를 벗어나도록 하진 않는다. 지배적 여성 젠더 규범엔 도달할 수 없지만 트랜스젠더는 아닌 수준, 그 어딘가에 장애여성을 향한 젠더 규범이 자리잡고 있다. 마찬가지로 트랜스젠더의 젠더 실천 역시 언제나 지배적 젠더 규범에 영원히 도달할 수 없다. 염색체 운운하며 도달 불가능한 것으로 규정되거나 과잉으로 넘쳐서 비난의 대상이 된다. 그래서 트랜스젠더의 다양한 젠더 실천은 많은 경우 사회적 혐오나 해명의 대상이다. 수술 역시 마찬가지다. 트랜스젠더가 겪는 많은 수술은, 때때로 죽음을 각오하고 진행하는 (결연한)행위로 이해된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서 얘기하는 수술의 위험, 성취할 수 없는 지배적 이원 젠더 규범의 실천 등은 모두 비장애 몸을 염두에 두고 있다. 수술이 잘못되었을 때 생길 수 있는 어떤 가능성을 향한 우려는, 때때로 장애 혐오를 밑절미 삼는다. 그리하여 트랜스젠더의 젠더와 몸 구성은 비장애화된 사회적 규범에 따른다. 이것은 많은 트랜스젠더가 떠올리거나 얘기하는 이상적인 몸이 기본적으로 비장애인의 몸이란 점에서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트랜스젠더의 몸은 결코 이 사회의 지배 규범적 젠더의 몸일 순 없지만 또한 비장애화된 몸의 수준에서 관리되고 또 논의된다.

장애인의 젠더 규범, 트랜스젠더의 비장애 규범에 관한 얘기는 서로 각자 다른 식으로 젠더 규범과 몸 규범을 겪는다는 뜻이 아니다. 장애-몸-트랜스/젠더가 분리할 수 없는 형태로 우리를 관리하고 우리 삶을 상상하도록 한다는 뜻이다. 장애 운동과 트랜스젠더 운동이 많은 공유점을 갖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장애여성 운동과 트랜스젠더 운동은 바로 이 지점 어딘가에서 함께 할 수 있지 않을까?

2013/11/09 06:16 2013/11/09 06:16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375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