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글래스(Google Glass)와 관련한 이런 저런 얘기가 잊히지 않고 계속 등장하는 와중에.. 구글글래스를 사용한 장애인이 겪은 변화와 관련한 기사가 나왔다.
관련 영상: http://goo.gl/HfNEi9
요약하자면, 오랫동안 자신이 원할 때 사진을 찍을 수 없었고 통화나 문자를 주고 받는 게 어려웠는데 구글글래스를 통해 원할 때 사진을 찍고, 문자를 즉각 주고 받는 일 등이 가능하다는 내용이다.
구글글래스가 발표된 이후 줄곧 나온 회의론 중 하나는, 안경도 불편해서 잘 안 쓰는데 안경처럼 착용하는 구글글래스를 누가 사용하겠느냐는 것이다. 불편하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런 식의 주장이 어떤 몸 경험을 밑절미 삼는지 질문할 필요가 있다. 누군가에겐 번거롭겠지만 누군가에겐 매우 유용하다. 물론 구글글래스가 모든 장애인에게 유용하단 뜻은 결코 아니다. 장애의 범주는 폭넓고, 어떤 장애인에겐 무용지물일 수 있고 어떤 사람에겐(장애인이건 아니건 상관없이) 안경 및 유사 제품 착용이 정말 불편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적용할 수 없으니 무용지물이라고 말한다면 그건 어떤 혁신도 무용지물이라고 말함과 같을 뿐만 아니라 철저하게 비장애인 맥락에서나 할 수 있는 말이다.
비슷한 예로, 구글에서 무인자동차를 개발하고 관련 영상을 수시로 공개할 때도 이런저런 부정적 반응은 많았다. 하지만 무인자동차를 운전할 사람은 자신의 시각으로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는 사람 뿐일까? 시각장애인도 자가용을 소유하고 '직접' 운전해서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면? 이건 기존의 운전자 몸이 아닌 다른 몸과 가능성을 상상하도록 한다.
구글 무인자동차 관련 영상: http://goo.gl/ysbYH8
하나의 새로운 기술이 나올 때마다 이런저런 비판이 등장하지만 그 비판이 어떤 몸 경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도 함께 사유해야 할지 않을까? 그리고 기술과 몸을 둘러싼 상상력을 어떻게 바꿔낼 수 있는지도 같이 사유해야 하지 않을까?
.. 뭐, 이런 고민을 하는 나날이다.
t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