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을 죽이는 행동이, 동물을 죽이는 행동이 어떤 폭력성의 발현이라는 논리는 정당한 것일까? 이것은 타당한 논리일까? 육식을 하면 사람이 더 폭력적이고 채식을 하면 사람이 선하다는 식의 언설이 있다. 믿는 사람은 별로 없는데 이런 언설은 꽤나 만연하다. 만약 생명을 죽이는 행동이 폭력적 행동이라면 가사노동은 폭력적 실천이란 이상한 논리가 가능해진다. 음식을 만드는 여성 젠더 역할은 폭력적 행위라는 논리도 가능하다. 이런 식의 논리가 가능하다면 채식주의와 페미니즘은 충돌하는 정치학인가? 하지만 적잖은 페미니스트가 생명 윤리를 이유로 채식을 고민하고 채식주의를 얘기한다.

여성이 생선이나 어류를 구매하고 죽이는 일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에게 강제된 성역할이지 여성의 폭력성을 표현하는 행동은 아니다’라고 반박할 수도 있겠다. 여성이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게 아니라 억지로 하는 행동이란 뜻이다. 이런 해석은 정말 여러 가지로 문제다. 여성 중 생선이나 어패류를 좋아해서 직접 요리하는 일은 없다는 걸까? 대행업무라고 해서 책임감이 없다고 단정해도 되는 것일까?

남성성과 폭력성을, 육식 행위와 폭력성을, 생명 살해 행위과 폭력성을 단순하게 등치시켜선 안 되는 찰나다. ‘모순’이나 ‘아이러니’는 등치해선 안 되고 전제가 잘못 된 것을 문제 삼지 않으면서 발생한다. 그리고 육식 행위는 폭력적이고 채식을 여성성/여성적 사유로 연결하는 행위는 이원 젠더 규범을 재생산하고 강화할 뿐이다.

도살 행위 역시 마찬가지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도살 행위는 특정 계급의 역할이다. 조선시대엔 정말 천한 일이고 지금도 도살행위가 우대받거나 사회적으로 권장받는 직업은 아니다. 도살을, 생명을 죽이는 행위를 폭력성과 붙인다면, 특정 계급에 대한 혐오, 예를 들어 노동계급은 폭력적이다라는 식의 인식과 곧장 결합되면서 계급 혐오/계급 편견를 재생산한다. 즉 채식 행위에 어떤 윤리, 비폭력성을 붙이거나 육식 행위에 비윤리적이거나 폭력적 속성을 붙이는 행위는 결국 특정 계급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 논리에 가깝다. 거대 목축업을 하는 건 거대 자본의 일이긴 하지만, 직접적 도살이 상층 계급의 일은 아니란 점에서 도살, 생명 살해 행위를 폭력적 실천으로 재현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다른 말로 채식을 윤리, 폭력성 등과 연결해서 논하는 행위는 여성 혐오, 계급 혐오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순간을 만든다. 그러니 누가, 어떤 인식론적 위치에 있는 사람이 채식에 윤리와 비폭력성을 붙이려 드는지 되물어야 한다. 이런 논리가 어떤 지배 질서, 지배 규범을 재생산하려고 하는지 탐문해야 한다.

#나중에 출판할 글의 일부입니다.

2013/07/13 06:16 2013/07/13 06:16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256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