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추석이었나... 부산에 간 김에 친척과 함께 저녁 식사 자리를 마련했다. 메뉴는 친척집 근처 낚지볶음이었나 낚지가 들어간 탕이었나...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낚지가 들어가는 음식이었다. 우선 양념장과 채소가 들어간 냄비가 나왔고 불을 올려 가열했다. 양념이 끓을 즈음 점원은 다른 통에 담은 낚지를 가져왔다. 아직도 살아 꿈틀거리는 낚지를 끓는 냄비에 담았다. 낚지는 뜨거워서 버둥거렸고 점원은 익숙한 듯 집게로 꾹 누르며 낚지가 죽길 기다렸다. 같은 테이블에 앉은 다른 사람들은 모두 끔찍하단 듯, 차마 볼 수 없는 현장이라는 듯 눈을 가렸다. 낚지가 죽고 냄비 뚜껑을 덮자 사람들은 얘기를 계속했다. 낚지가 다 익자 무슨 일이 있었냐는 듯 낚지를 먹기 좋게 가위로 잘랐고 맛있게 식사를 했다. 음식이 맛있다는 얘기와 함께.
낚지는 눈 앞에서 실시간으로 생명에서 음식으로 변해갔다. 그 과정은 ‘차마 볼 수 없는 장면’에서 ‘맛있는 먹거리’로 변해가는 시간이기도 했다. 낚지의 죽음을 끔찍하게 여기던 사람들은 잘 익은 낚지를 맛있게 먹었다. 이 장면을 지금 다시 떠올리다가 뒤늦게 깨달았는데.. 내가 게를 못 먹게 된 이유도 이와 비슷하다.
내 기억이 정확하다면 그땐 채식을 할 때가 아니었다. 채식을 고민할 때도 아니었다. 언제인지 정확하지 않은 그 언젠가, 집에 꽤 많은 꽃게가 생겼다. 엄마는 이 꽃게를 삶기 위해 커다란 솥에 물을 올렸고 적당히 간을 했고 끓는 물에 꽃게를 넣었다. 아닌가? 적당히 간을 한 물과 꽃게를 함께 냄비에 넣고 불을 올렸던 것도 같다. 그리고 냄비에서 수증기가 올라올 때 익어가는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뚜껑을 열었다.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가장 위에 있던 꽃게 몇이 탈출을 시도했다. 살아 있는 꽃게가 가득한 모습도 충격이었지만 탈출하려는 꽃게의 모습도 충격이었다. 그렇다고 살아있는 생명이 죽어가는 모습을 그날 처음 본 것도 아니었다. 그보다 더 어릴 땐, 낚시에 따라가선 갓잡은 생선을 바로 회 뜨는 모습을 봤고, 그 회를 맛있게 먹기도 했다. 그럼에도 꽃게의 모습은 충격이었다. 삶은 꽃게의 살을 발라 먹는 걸 좋아한 나는, 그날 이후 먹지 않았다.
이 이야기는 이렇게 끝나지 않는다. 그렇다면 나의 글이 아니다.
마트나 재래시장 등에 장보러 갈 때면 종종 각종 채소나 과일이 한가득 쌓인 모습을 본다. 조금은 시든 채소의 모습을 볼 때마다 냄비에서 죽어가던 낚지, 큰 솥에 담긴 꽃게를 떠올린다. 마트에 진열된 채소는 이미 죽은 걸까, 서서히 죽어가고 있는 걸까?
낚지가 뜨거운 물에서 살기 위해 혹은 고통스러워하며 꿈틀거리는 순간과 채소가 조금씩 시들어가는 순간. 이 두 순간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을까? 내겐 차이가 없다. 둘 다 죽어가는 생명의 모습이다. 생명에 위계가 없다면 채식이 유난히 윤리적일 이유가 없다. 채식을 한다고 우월할 이유도 없다. 채식의 윤리성을 입증하기 위해 생명의 위계를 만드는 건 웃긴 짓이다. 그래서 채식을 논하는 많은 논리가 공허하다 싶을 때가 많다. 공감이 안 될 때는 더 많고.
그래서 어쩌자는 것이냐고 묻는다면 나도 모르겠다. 그저 윤리나 위계로 무언가를 설명하지만 않았으면 한다. 그리고 끔찍함의 전시가 아니라 어떤 친밀감, 덜 끔찍함으로 채식을 설명할 수는 없는 걸까 싶기도 하다.
#나중에 출판할 글의 일부입니다.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255
그나저나 일부 식물은 일부를 잘라도 삶을 유지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생명 단위가 정말 복잡하기도 해요. 다른 말로 한 몸에 하나의 생명만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한 몸에 복수의 생명을 가정한다면 몸과 생명의 관계는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까요?
채식 윤리 운운하는 논의에서 얘기하는 동물과 식물의 위계는 결국 인간처럼 한 몸에 하나의 생명만을 가정하기에 발생하는 문제구나 싶기도 해요..
...저야 말로 횡설수설.. ;;;
채식주의의 이념만 따지면 떨어진 과일만 먹어야 하겠지만, 과일 역시 생명이란 점에서(달걀과 무슨 차이가 있을까 싶어서요..) 이 구분은 또 어째서일까 싶기도 해요...
그래서 채식과 윤리를 붙이는 순간, 엄청난 모순이 발생하는데도 윤리적 행동으로서 채식이 어째서 아직도 널리 받아들여질까가, 저 역시, 궁금해요..
그나저나 규칙과 도덕 얘기는 정말 흥미로워요. 한국에선 많은 것이 도덕이나 윤리로 얘기되잖아요. 좀 더 고민할 부분이네요..!
아, 그리고 최초 댓글은 비공개님 댓글 맞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