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생명이 죽어가는 과정을 겪는다는 건, 내가 이 생명과 혹은 이 존재와 무엇을 함께 할 수 있는지, 이제까지 무엇을 함께 하겠다고 하면서도 미뤘는지, 우리의 관계가 어떤 의미였는지를 확인하는 일이다. 동시에 이 사회에서 우리의 관계가 무엇인지, 어떤 식으로 인식되거나 명명되는지를 깨닫는 시간이다. 특히 특정 국가의 구성원으로 살아야 한다는 점에서(해당 국가의 구성원으로 자신을 동일시하지 않는다고 해도) 제도가 특정 관계에 규정한 어떤 제약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행복할 때, 소위 건강하다고 말할 땐 알 수 없다. 아플 때 그리고 죽음을 겪을 때 비로소 우리가 어떤 관계인지를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나는 그랬다.

어떤 생명이 죽어가는 과정을 겪는다는 건, 애정의 고단함을 확인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함께 무언가를 적극 나눌 수 있을 땐 상대가 아파도 뭐든 다 할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나는 상대와 어딘가를 함께 가고 싶은데 상대는 그럴 수 없을 때... 그리고 상대가 언제 죽을지 알 수 없는 긴장감, 그런데도 어떻게든 살았으면 좋겠다는 바람과 그저 이 시간이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는 간절한 죄책감 사이에서 괴로울 수밖에 없다. 피곤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어떤 존재를 돌볼 수 있다는 건 내가 어떤 경제적 상황인지도 고민해야 한다. 병원비건 간병비건 뭘 해도 돈이 든다. 모든 게 돈이다. 사랑하니까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아니다. 사랑해도 감당하기 힘든 문제다. 그런데 돈이 있다고 해결되는 문제도 아니다. 돈이 있어도 앞서 말한 괴로움과 피곤함은 남는다. 바로 이 순간 내가 상대와 어떤 삶을 나눴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나와 상대는 어떤 관계였는지 알 수 있다.

눈치챘겠지만 나의 고양이 리카 이야기다. 리카가 조금씩 삶의 끈을 놓는 시간, 나는 참 멀리 있었다. 마지막 시간을 함께 하지 못 했다는 사실은, 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다고 해도 내가 납득이 안 된다. 이게 문제다. 그때 상황을 내가 납득해야 하는데 나는 그 당시 내 행동을 납득할 수 없다. 그래서 나는 그때 있던 일을 반복해서 떠올린다. 그때 꼭 그래야 했을까, 그때 나는 좀 다르게 행동할 수 없을까? 그때 나는 도망치는 것 말고 다른 행동을 할 순 없었을까? 그런데 지금이라면 도망치지 않을 자신이 있을까?

사랑한다고 믿지만 나는 정말 리카를 사랑했을까? 우리는 아니 내게 리카는 어떤 존재였을까? 우리는 어떤 관계였을까?

그래서 관계와 관련한 얘기는, 죽어가는 생명을 두고서 ‘이렇게 살려둬도 괜찮은지, 안락사를 시도함이 옳은 건 아닐까’를 갈등하는 찰나에서 출발해야 하는지도 모른다. 삶을 나눌 땐 뭐든 좋을 수 있다. 죽어가는 시간, 아픈 시간은 관계의 맨얼굴을 드러낸다. 여기에 이 사회에서 사람과 고양이가 맺는 관계의 의미도 드러난다. 너무도 멀었던 화장장부터(고양이 화장장이라 멀었다기보다 죽음 자체가 삶의 영역에서 너무 먼곳에 위치한다), 사람이 죽었다면 며칠 알바를 쉴 수 있었겠지만 고양이여서 그러지 못 했던 상황까지. 삶의 곳곳에 배치된 죽음의 위계를 확인할 수 있다. 죽음의 위계는 관계의 위계며 생명의 위계다.

결국 모든 이야기는 죽음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 만나서 죽어가는 시간이 아니라 죽음에서 만남의 시간으로 기록될 수밖에 없다.


+
이것은 어떤 일과 관련한 고민 메모입니다. 혹은 답장은 아니지만 답장과 비슷한 성격의 글이기도 합니다.

2013/05/07 06:26 2013/05/07 06:26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187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