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3월 초에 봤고, 이 글은 얼추 열흘 전에 초안을 썼습니다. 계속 공개를 미루고 있었는데 더 미루기가 애매해서 이제야 조심스럽게 공개합니다.


3월 초 영화 [아무르]를 봤다. 간병하던 대상을 떠나보낸 기억이 있는 사람이라면 꼭 봤으면 하는 영화다(장애 이슈로도 할 얘기가 많은 영화다). 이 영화를 보며 나는 리카를 떠올렸다.

영화 속 주인공 중 한 명은 병에 걸렸는데 병원에서 치료받길 거부한다. 그래서 파트너가 집에서 간병하는 상황이고, 직접 간병하는 삶의 고단함과 고민이 영화의 내용이다. 병원에 가지 않겠다는 환자의 선택. 나는 리카가 떠올랐다. 리카는 병원에서, 내가 없는 시간에 숨을 거두었다. 그것이 내겐 일종의 한으로 남아있다. 내겐 로망이 하나 있(었)다. 나와 살던 고양이가 마지막 숨을 거두는 곳은 내 무릎이면 좋겠다는 로망. 리카가 내 다리 위에서 출산하려고 했듯 삶의 마지막도 그러길 바랐다. 하지만 리카는 병원에서 떠났고 나는 그 자리에 함께하지 못했다. 이것이 한으로 남아 있기에, 바람이 아프다면 나는 입원을 시켜야 할지 집에서 간병해야 할지 갈등할 것이다. 어떤 선택을 해도 안타까움으로 가득하겠지만.

그런데 리카를 병원에 둔 건 어쩌면 나의 이기심과 두려움 때문은 아니었을까? 동반종을 간병하는 일이 어떤 것인지 갈피를 잡을 수 없었던 나는 리카를 집으로 데려가는 일이 두려웠다. 그래서 가급적 병원에 있길 바랐다. 단지 내가 집을 비우는 시간이 길었기 때문일까? 단지 병원에 있어야 치료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었을까? 나는 어쩌면 죽음을 앞두고 두려워서 도망친 것은 아닐까? 리카의 마지막이 내 무릎 위이길 바라면서도 정작 나는 죽음을 직접 목격하고 싶지 않다는 어떤 두려움에 떨었던 것은 아닐까? 리카가 온 종일 겪는 아픔과 고통을 곁에서 지켜볼 용기가 없어서 도망친 것은 아닐까?

영화를 보는 내내 그 당시의 복잡한 감정이 떠올랐다. 그래서 환자의 파트너가 선택했던 일을, 알 것 같았다. 고통스러웠고 극장에 다시 한 번 가고 싶지만, 핑계도 좋지, 바빠서 못 가고 있다.


아버지가 오래 살길 바랐다. 아버지에게 애정이 있어선 아니었다. 건강 상태로만 본다면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먼저 세상을 뜰 줄 알았다. 그런데도 아버지가 먼제 세상을 떠났다. 안타까웠다. 이 안타까움엔 지금까지 말한 적 없는 어떤 욕망이 있다. 노인성 치매 혹은 알츠하이머가 유전인지 아닌지를 알고 싶었다. 아버지의 어머니, 내게 할머니는 노인성 치매였다. 치매로 6년 가량의 세월을 살았고 삶을 마무리했다. 그래서 궁금했다. 노인성 치매는 유전일까, 아닐까? 유전이라면 직계 유전일까 한 세대를 걸러 나타나는 유전일까? 이런 궁금함이, 아버지의 장수를 기원하도록 했다. 만약 아버지도 노인성 치매 혹은 알츠하이머를 겪는다면 그에 맞춰 나는 내 노후를 준비하려고 했다. 노인성 치매에 걸렸을 때 주변 사람이 겪는 고통과 어려움을 알기에 민폐를 끼치지 않는 그런 미래를 준비하고 싶었다.


[아무르]를 보면서 다시 든 고민이지만(정확하게는 지혜 선생님이 수업 시간에 제기한 이슈지만), 나는 누구와 살 것인가가 아니라 누구와 죽을 것인가를 더 고민한다. 특정 신체 규범에 맞는 건강한 몸을 유지한다면 누구와도 살 수는 있을 것이다. 물론 성격을 비롯한 다양한 이슈가 있으니 누구나와 살 순 없지만 그래도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를 실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죽음 혹은 고통을 함께 나누는 것은 다른 문제다. 이를테면 내가 어떤 병에 걸렸을 때, 원가족을 제외하고 혹은 원가족을 포함해서 지속적으로 간병해줄 수 있는 사람이 내게 있는지 확신할 수 없다. 아마 없지 않을까? 아울러 나는 돈이 없기 때문에 전문간병인을 고용할 수도 없다. 간헐적으로 문병을 오거나 안부를 묻는 사람은 있겠지만 지속적 간병은 전혀 다른 문제다. 되살아나거나 '회복'한다는 보장이 있는 것이 아니라 죽음을 향한 더딘 시간, 그 끝이 언제인지 알 수 없는 시간을 견디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니까. 이곳에 오는 분, 이 글을 읽고 있는 분은 어떤가요? 원가족 말고, 애인 말고, 혹은 이 모두를 포함해서 자신이 아플 때 만사 제쳐두고 자신을 도와주고 간병하러 올 사람 혹은 어떤 상황에서도 어려움을 부탁할 수 있는 사람이 있으신가요?

물론 몇 번은 만사 제쳐두고 함께 하러 오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몇 달 아니 몇 년의 시간이 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고통과 아픔을 일상에서 함께 나누는 건 그렇게 간단한 일이 아니다. 더 정확하게는 내가 누군가에게 그런 존재가 될 수 있는지 자신이 없다. 이런 자신이 없기 때문에 누군가에게 기대하지 않는다. 이런 건 단언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그저 시간이 입증하는 일인데 어떻게 자신할 수 있을까 싶기도 하다. 그러니 나는 해줄 수 없으면서 누군가에게 기대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농담으로 인간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있으니 나는 150살은 살 거라고 떠들곤 한다. 실제 그럴 수 있을진 장담할 수 없다. 자기만 조심한다고 사고가 나지 않은 건 아닌 현대 사회에선 예측 자체가 우스운 일이다. 더구나 나의 노년이 어떤 모습일지 예측할 수 없어서, 나는 내게 알츠하이머나 노인성 치매가 생기기 전 내 삶을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으면 하는 소박한/야심찬 바람이 있다. 하지만 언제 병이 생길지 알 수 없으니 이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바람이기도 하다. 병은 불길한 전조와 함께 오는 것이 아니라 어느날 갑자기 훅, 찾아오니까. 그래서 내가 바랄 수 있는 가장 간절한 바람은 하나 뿐이다. 지금 나와 함께 살고 있는 바람, 그리고 미래에 나와 함께 할 또 다른 어떤 고양이를 돌봐줄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 나의 병으로 인해 내가 책임지고 있는 고양이가 굶지는 않길 바란다. 나의 질병은 지저분하고 부담스러운 일이겠지만 고양이는 귀여우니까 누군가에게 생명을 위탁한다고 해도 큰 민폐는 아니지 않을까?


이런 글을 적으면 지금 혹은 나중에 만날 수도 있는 파트너에게 내 죽음을 의탁하겠다는 뜻으로 비춰질 수 있겠다. 그러겠다는 의미가 아니다. 죽음은 의탁하겠다고 의탁할 수 있는 게 아니잖은가. 아울러 죽음을 의탁한다고 했을 때 그 사람이 반드시 애인이나 파트너여야 하는 건 아니다. 혹은 파트너에게 배타적으로 의탁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삶의 관계를 그렇게 단순하게 만들 이유는 없다.

2013/04/13 08:40 2013/04/13 08:40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161
  1. 비밀방문자  2013/04/13 22:33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 루인  2013/04/14 08:39     댓글주소  수정/삭제
      전 영화를 보기 전에 내용을 대충 듣고 갔어요. 수업 시간에 선생님이 영화 관련 얘기를 했는데 꼭 봐야겠다 싶더라고요. 그래서 그 며칠 뒤 극장에 갔는데요.. 사실 그때 같이 보러가자고 제안을 할까 했어요. 댓글에 쓰신 것처럼 오랜 시간을 함께한 개를 보내는 과정에서 많은 고민을 하셨다고 말씀하셨기에, 영화를 보며 어떤 공명을 겪으실 듯했거든요. 물론 결국 얘기를 안 했지만요.. 하하. ;;

      아무려나 안락사와 치료 사이에서 정말 어떤 선택도 후유증을 야기하지 않을 수 없겠다 싶어요. 그 어떤 선택도, 그 당시엔 최선이었음에도, 돌아보면 최선이 아닌 것만 같으니까요..

      그쵸? 법적으로 묶인 가족이 없는 상황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문제는 갈 수록 중요한 이슈가 될 듯해요. 이건 나이가 많고 적음의 문제는 아니니까요. 서두르지 않아도 된다면(그 누가 예단할 수 있겠느냐만...) 차근차근 준비해야 하는 이슈겠다 싶고요..
  2. 혜진  2013/04/13 23:28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부탁할 사람이 있다해도 막상 그 상황이 되면 도움만 받고 있기가 스스로 부담스러울 듯 해요. 요양시설에 의지하는게 더 편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그 방법이 제일 안전하기도 하구요. 전문 의료인들이 항상 곁에 있으면 문제가 생겨도 바로 대처할 수 있으니까...
    제 짝도 그렇게 할 듯 해요. 분명 만사를 제쳐두진 않을 것 같아요ㅎㅎ "누군가는 돈을 벌어야 생활비를 마련할 수 있어!" 하고 말하겠죠. 그게 사실이기도 하구요.
    • 루인  2013/04/14 08:46     댓글주소  수정/삭제
      말씀하신 부분에서 영화는 참 영리했다 싶어요. 이미 은퇴했고 경제적으로도 안정적 관계를 배경으로 했거든요. 그래서 '돈만 있었다면...'이라는 식의 안타까움을 야기하기보다는 돈이 있건 없건 장기간 간병이 어떤 고민과 갈등을 하도록 하는지를 보여줄 수 있었다 싶고요.
      하지만 제 상황이라면 정말 '간병을 위해서라도 생활비를 벌어야 하는데 어떡하지'란 고민을 가장 먼저 하지 않을까 싶어요.. 이것이 많은 사람들의 고민일 듯하고요. 차근차근 고민해야지 싶은 이슈예요..
  3. yno  2013/04/14 10:47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비혼에다가 가족은 생존해계시는 어머니한분과 결혼해서 모두 외국에서 살고 있는 형제들, 실질적으로 내가 수술할 일이 생기면 어머니동의서가 필요하고, 어머니가 돌아가시면 결혼해서 살고 있는 형제들사인이 필요할것이고, ..시간이 더 흘러 신체가 부자유스러워지면, 경제적조건에 따라 환경이 결정될 것이고, ...내가 할 수 일은 간병인을 둘 수 있는 '보험'에 가입하던가, 괜찮은 요양시설에 들어갈 수 있는 돈을 마련하던가 아니면 , 국가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처지에서 죽을 수 있을것같네요. 영화내용은 알고는 있지만, 보지는 않았어요. ..근데, 가끔은 돈을 모아 안락사가 허락되는 나라로 가서 미리 나의 죽음을 '선취'해 버리고 싶은 충동같은것이 일기도 해요. ..뭐, .어떻게 될진 모르겠지만, 내가 생각하고 준비할 수 있는 나의 죽음과 그것을 바라보는 '타자''이자'의 시선은 다르겠죠? 너무 떠든것같네요. ..근데, 전 식물이나 강아지 고양이를 너무 좋아하면서도 걱정이 돼서 못키워요. 변명으로 들릴 수도 있겠지만요, 친구도 별로 없이 혼자산다는 조건이 저에게는 그런 '호사'를 누리는 것을 더 어렵게 하는것같긴해요
    • 루인  2013/04/15 06:43     댓글주소  수정/삭제
      말씀을 읽다보니, 안락사를 선택하고 치료의 일부로 제공하는 나라가 있다면 그곳으로 가고 싶네요.. 내게 만약 어떤 병이 생긴다면, 망설이지 말고 내 목숨을 끊어달라고 의사와 협의할 수 있다면 걱정이 조금은 줄어들텐데.. 싶어서요.
      내 삶의 결정권이 원가족이 아니길 바라는 거기도 하겠죠... 정말 나의 죽음을 선취할 수 있다면 좋을 텐데요...

      근데 식물, 강아지 혹은 고양이는 친구도 별로 없으면서 혼자 사는 삶에 더 소중하단 느낌이기도 해요. 제가 좀 그렇거든요. 친구가 별로 없는 상황에서 고양이와 살다보니 고양이의 생활 방식에 제 삶을 맞추고 그렇게 제가 변해가는 걸 배우는 게 참 귀한 경험이다 싶더라고요.
  4. yno  2013/04/15 10:3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귀한 경험'이란 글의 여운이 와닿는것같아요. 답변 감사합니다.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