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가 호모고 트랜스젠더가 게이던 시절..”이란 표현은 어느 시기까지로 유효한 것일까? 일테면 1990년대 초반엔 확실히 이런 식으로 구분한 듯하다. 그 시기 나온 (일전에 언급하기도 한)기록물엔 mtf 트랜스젠더를 지칭하며 게이로, 남성동성애자(바이남성은 어떤 위치일까?)를 지칭하며 호모를 사용하고 있다. mtf 트랜스젠더를 묘사하며 게이로 지칭한 시집도 나왔다. 조금 더 추적할 때 1986년에 원고를 쓰고 1987년에 나온 어느 책에서도 mtf 트랜스젠더를 게이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1985년 즈음이나 그 직전에 쓴 기록물에선 분명하지 않다. 그 즈음 글에서 호모는 오늘날의 게이와 mtf 트랜스젠더를 모두 지칭한다. 둘을 아예 구분하지 않는다. mtf 트랜스젠더를 여장한 남자로 이해하며, 게이와 mtf 모두 태어날 때 남자로 지정받았지만 여성성을 실천하는 존재로 묶는다. 그래서 호모와 게이란 용어 역시 분명하게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진 않다. 물론 이것이 일반적 경향이라고 할 순 없고, 그저 내가 찾은 몇 편의 기록물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기록물이 늘어날 수록 과거는 더 흥미롭고 또 복잡하다. 그래서 좋다.

레즈비언과 관련한 용어는 최소한 1980년대 초반부터 분명하게 쓰인다. 여성 간의 성애적 실천(두 동성애자여성 간의 관계일 수도 있고 두 바이여성 간의 관계일 수도 있고 동성애자여성과 바이여성 간의 관계일 수도 있고 동성애자여성과 이성애자여성의 관계일 수도 있고 등등)은 레즈비언으로 표현한다. 1970년대 명동 문화에서도 레즈비언이란 용어를 정확하게 사용했다고 하고 신문기사에도 1970년대 초반부터 레즈비언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레즈비언의 용어 역사를 살피고 그 의미가 미묘하게 변해가는 과정을 살피는 작업도 꽤나 흥미로우리라.

가장 어려운 건 바이/양성애란 용어 사용의 역사를 추적하는 일일텐데 ‘양성애’로는 신문기록이 별로 없어서 의외다 싶다. 대신 ‘양성’(ex. 국력양성)이나 ‘바이’(ex. 알리바이, 케이스-바이-케이스)는 관련 없는 기록도 같이 검색되기에 걸러내는 것부터 일이다. 무엇보다 바이를 레즈비언과 호모/게이로 묶어서 일괄 설명했을 가능성가 상당하기 때문에(가능성 97%에 한 표) 이 지점을 섬세하게 가르는 작업이 필요할 텐데.. 이건 단순히 기록물을 발굴하는 것 이상의 어떤 작업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바이로 설명할 수 있는 mtf 트랜스여성의 흔적이 있다는 점에서 재밌는 기록물이 없는 건 아니다.


+
“퀴어 네이션(동성연애국민)”
1992년 기사에서...
읽고 빵 터졌다. 크크크.
2013/03/21 06:22 2013/03/21 06:22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136
  1. yno  2013/04/16 04:23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90년대에 미국에서 처음 A를 알았을때, 저도 별 생각없이 '게이' '호모' 'mtf트랜스젠더'를 동일시했었어요. 지금생각해보면 A는 mtf트랜스젠더였는데, ...근데, 이것이 '문제'로 의식되지 않았던것같아요. 왜냐하면 고유명인 이름으로 '호명'하는 방식이 있었기 때문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그리고, 내 착각일지도 모르지만 어떤 식으로 범주화하든 상대방도 그걸 별로 '문제시'하지 않았다는 생각도 드네요. ..범주에 대한 문제의식은 누가 왜 어떤 목적에서 제기하는건지도 생각해보게 되네요.
    • 루인  2013/04/17 06:36     댓글주소  수정/삭제
      마지막 말씀이 정말 핵심이에요. 범주 구분은 누가 제기하고, 그것에 어떤 기획이 있는지가 중요하단 느낌이에요. 한편으론 이런 구분이 필요한 찰나가 있지만, 이것을 분쟁 수준으로 가져갈 땐 다른 의지가 있다 싶더라고요. 한편으론 이렇게 구분하려는 분위기에도, 또 어떤 집단에선 이런 분위기에 신경도 안 쓰고 자기들만의 명명으로 살아가니까요.
      댓글 고마워요!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