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빵빵거리는 크락션은 두 가지 전제에서 출발한다: 사람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혹은 사람에겐 어떤 경고음을 들을 의지가 있다. 첫 번째 전제는 청각장애인을 염두에 두지 않아서 특히 문제고, 두 번째 전제는 현대 시대와 맞지 않아서 문제다. 두 번째 전제에 초점을 맞출 때, 갈 수록 많은 이들이 경고음을 들을 의지가 없거나 자발적으로 차단한다. 이를테면 나는 길을 걸으며 이어폰을 끼고 음악을 들으며 걷는데, 이런 이유로 여러 번 교통사고를 겪을 뻔했다. 이어폰을 낄때 비로소 개인이 되는 내게 크락션의 경고음은 의미 있는 소통체계가 아니다. 이것은 나만의 경험이 아니리라. 외국에선 이어폰에서 출력할 수 있는 볼륨을 제한한다는 말도 있고, 청소년의 청력을 걱정하는 소리도 있다. 소리가 더 이상 의미 있는 경고체계가 아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바로 이 지점에서 구글 등이 개발하고 있는 무인자동차, 구글글래스 같이 착용할 수 있는 컴퓨터가 그 기능을 발휘하겠지. 자동차는 인공위성과 통신하며 주변의 모든 변수를 염두에 두고 움직일 것이고 몸에 착용한 컴퓨터 역시 장기적으로 인공위성과 통신하며 사고 가능성을 끊임없이 점검하겠지. 그래서 OS가 같건 다르건 상관없이 호환성이 매우 중요하겠지. 몸에 입는 컴퓨터가 사고를 예방하는 방식은, OS 기반이어선 안 될 테고. 이를 테면 구글무인자동차에 장착할 OS는 구글글래스 및 안드로이드폰과만 호환하고 iOS와 호환하지 않는다면 사실상 쓸모가 없을 테니까. 앱이건 웹이건 내가 모르는 다른 무엇이건 호환성이 가장 중요하겠지.

아울러 경고의 핵심은 자동차를 제어하는데 있지 사람을 제어하는데 있진 않겠지. 길은 보행자 중심이어야지 자동차 중심이어선 안 된다. 즉, 자동차가 지나가기 때문에 사람이 멈춰서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지나가기 때문에 자동차가 멈춰서야 한다. 그러니 무인자동차가 속도를 줄이거나 급정거하는 식이겠지. 이럴 때 운전자를 보호할 방안도 물론 필요하고.

(나는 청각 중심으로 얘기했지만 입는 컴퓨터는 시각장애인에게도 상당히 유용한 기술을 제공하지 않을까 싶고.)

이것이 불편한 세대도 있겠지만 아니 낯설고 어색한 세대도 있겠지만, 나 역시 지금은 상상만 하며 낯설어하지만, 어떤 세대에겐 일상이겠지. 그럼 이런 시대의 몸은 어떤 공간이자 체험의 터전일까?
2013/03/09 08:38 2013/03/09 08:38
─ tag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124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