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나 수업 쪽글로 쓴 글입니다. 쪽글로 블로깅을 하니 날로 먹는 느낌이지만 뭐, 그래도 잡담으로 때우는 것보단 충실한 것 같은 착각을 주기도 합니다... ;;;;;;;;;;;;;;;;;;;;;;;;;;;;;;

===
급진레즈비언들(Radicalesbians), 여성 범주를 확장하려는 노력
-루인

누가 여성인가. 혹은 여성은 누구인가. ‘여성’으로 태어나지 않은 나는 여성이 아닌가. 물론 나는 이원 젠더 체계의 범주인 ‘여성’으로 나를 설명하지 않는다. 나는 태어날 때 남성으로 지정받았고 지금은 mtf 트랜스젠더고 레즈비언이다. 남성으로 동일시하지 않으며 또한 남성도 아니다. 여성과[with] 동일시하지만 ‘여성’으로[as] 정체화하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나는 어떤 여성인가. 여성 범주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1960년대 등장한 제2물결 페미니즘에서 이성애자 페미니스트는 레즈비언을 부정했다. 그들에게 레즈비언은 연애를 위해 껄떡거리는 존재거나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여성운동에 유해한 존재였다. 스톤월 항쟁 이후 본격 부상한 동성애 운동에서 레즈비언은 주변부였다. 레즈비언은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운동의 주요 의제는 백인 게이 남성의 관심이었다. 레즈비언들은 자신의 경험을 설명할 또 다른 언어와 운동이 필요했다. 이런 정황에서 급진레즈비언들(Radicalesbians)은 페미니즘 운동에 전념하며 이성애 여성과 동성애 여성의 연결고리를 만들고자 했다. 급진레즈비언들은 모든 여성이 남성 지배 규범으로 규정된다고 지적했다: 이성애 여성은 남성과의 관계를 통해서만 적법한 존재일 수 있고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동성애 여성은 남성과 관계를 맺지 않는 존재란 이유로 비난의 대상이자 위험한 존재며 ‘여성’이 아니라고 규정되었다. 남성 중심의 이성애규범성을 지적하며 급진레즈비언들은 남성과의 관계가 아니라 여성과의 관계에서 여성을 다시 규정하려고 했다. 이것은 남성을 매개하지 않고 남성 중심의 인식체계를 경유하지 않으며 여성 주체를 구성하려는 노력이었다. 여성 범주를 확장하고 재구성하려는 노력이기도 했다.

패트리샤 힐 콜린스(Patricia Hill Collins)나 수잔 스트라이커(Susan Stryker)와 같은 이들이 지적하듯 여성운동엔 처음부터 다양한 범주의 여성이 개입했다. 운동 초기부터 비백인여성, 부치와 펨, 트랜스여성(과 트랜스남성)이 페미니즘 운동에 헌신했고 공헌했다. 그러나 “여성으로 동일시하는 여성” 범주는 규범적 여성성을 비판하며 등장했음에도 이후 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여성 범주를 협소하게 재구성했다. 중산층 여성 규범에 따라 부치-펨 관계와 노동자 계급 여성을 배제했다. “남성을 정서적 절름발이[cripple]로 만든다”고 말하며 장애인을 “자매”로 이해하지 않았다. 아울러 그간 여성운동에 적극 개입한 트랜스여성을 ‘여성’이 아니라고 혐오하며 여성운동에서 추방했다. 여성 범주를 확장하고 재사유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 “여성으로 동일시하는 여성”이 여성 범주를 협소하게 만든 것은 ‘아이러니’하다. “여성으로 동일시하는 여성”이 ‘생물학’을 밑절미 삼을 이유는 없고 특정 조건의 여성만 지시할  이유도 없다. “여성으로 동일시”한다면 그가 여성으로 태어났건 여성으로 태어나지 않았건 중요하지 않다. 이 문서 자체가 ‘생물학’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남성이 정의한 여성성을 비판하는 데서 나아가 여성 범주 자체를 확장할 가능성을 좀 더 밀고 나가는 것은 불가능한 기획/상상력이었을까? 상당한 확장성을 내재하고 있음에도 섹슈얼리티 이슈를 젠더 이슈로 수렴하고, 여성 젠더 범주의 복잡성을 상실시킨 이후의 전개는 안타까운 일이다.
2012/10/19 06:11 2012/10/19 06:11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2024
  1.   2012/10/19 06:11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