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뜨고 라디오를 튼다. 7시, 김성주 목소리가 나온다. MBC FM4U. 특별히 김성주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고(듣다 보면 짜증나는 일이 더 많다) 일기예보와 뉴스를 들을 수 있기에 습관처럼 듣고 있다. 학교에 나갈 시간 즈음, 이문세의 목소리가 들린다.

오늘이 수능이란 말이 끊이지 않고 나온다. 오늘이 수능시험 보는 날이란 소식. 경찰 오토바이를 타고 가는 모습을 봤다는 청취자 사연에 시큰해진다. 그냥 슬프고 쉽게 감상에 빠진다.

벌써 여러 해 전 일이기에 이젠 많은 부분이 잊혀지고 있다. 더 무엇을 기억할까. 기억할 것도 없고 기억하고 싶지도 않은데 슬픈 감정이 몸을 타고 도는 이유는 무엇일까.

루인에게 고3 시절은 괴로운 시절이 아니라 너무도 쉽게 흘러간 시간이라고 몸에 각인되어 있다. 그렇게 기억하고 싶은 걸까. 다른 어떤 상처들을 기억하고 싶지 않아서 순탄한 시간이었다고 포장하고 싶은 걸까.

중학생 시절부터 고2때까지의 생활은 수능과는 한참 거리가 멀었다. 학교 공부는 항상 뒷전이었고 놀기 바빴다. 물론 루인이 논다는 게 음악 들으며 책 읽는 것이지만, 그 책이란 것이 학교 공부와는 별 상관이 없는 소설책이라든가 인문사회학 관련 책이라든가 그랬다. 물론 고등학생 시절 수학은 '공부' 했는데 사실 당시 수학은 공부가 아니라 놀이였다. 길에서도 문제를 떠올리며 풀곤 하는 그런 놀이! 그런 생활을 하다보니 학교 성적은 중간 보다는 조금 높고 공부를 잘한다고 하기엔 그렇지 않은 어정쩡한 위치였다. 이 어정쩡한 위치가 학교생활에선 장점이었는데, 선생들의 무관심 지역=사각지대였기 때문이다. 공부를 잘해서 관심 대상이 되는 것도 아니고 공부를 못한다고 혼나는 것도 아닌 그 어정쩡하고 애매한 상태. 물론 이성애혈연가족에서 루인에게 가하는 억압은 고통이었다.

처음으로 고백하건데, 정신분열 상태였던 적도 있었다. 미쳤다고 해야지. 중학생 시절은 특히 심했고 우울증도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었다. 몸은 언제나 자살과 죽음 사이에서 맴돌았고 달리 어디로 갈 길도 없었다. (이런 몸이 채식주의로 연결된다. 채식은 생명과 죽음에의 감수성이다.) 가족과는 사이가 갈수록 나빴는데, 고등학생 땐, 살풀이라도 하자는 얘기가 나올 정도였다.

인정받지 못한 건 이때부터였을까, 초등학생 때부터였을까. 무엇을 하든 무시당했고 재능 없고 진부한 인간으로 취급받은 건 가족으로부터다. (그래서 벼룩과 코끼리 이야기를 아프게 기억한다.) 이때부터 가족은 재앙이었다. 당시엔 그렇게 느꼈다. 가족은 폭력이었다. 중학생인 루인에게도 가족주의는 따뜻함이 아니라 일상화된 폭력이 사랑이란 이름으로 둔갑할 수 있는 곳이며 위계서열과 폭력을 은폐시키는 제도였다. 그때 다짐했다. 비혼으로 살리라. 이런 분위기 속에서 루인은 아무리 자신의 재능을 말해도 무시 받았다. 다른 사람이 대신 말해주지 않는 이상 루인의 발화發話는 루인을 발화發火했다. 루인이 수학에 가능성이 있다고 말해준 선생님이 아니었다면 고등학교 시절 내내 밟히기만 할 그런 생활이었다. (페미니즘과 이반queer정치학을 만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상상할 수 없다.)

고2때까지 이렇게 살았다. 울증이 심할 땐, 울음에 체해 울지도 못했고 몸에 무수하게 많은 금을 긋고 그 흔적이 아무는 과정을 반복해서 바라봤다. 그러다, 이곳에서 벗어나야겠다고 다짐했다.

대학만은 서울로 가야겠다고 다짐한 건, 중학생 때부터였다. 다른 대안은 없었다. 부산에 남아 이성애혈연가족과 산다면, 부모를 죽이는 패륜아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였다. 루인의 몸으로 향한 독이 루인의 몸을 뚫고 다른 사람에게도 피해를 입히는 상태였다. 고2 겨울방학이 되자, 수능 공부를 해야겠다고 결심했다. (당시의 상상력의 한계를 보여준다.)

그랬기에 고3 생활은 편했다. 매일같이 반복되는 생활이지만 힘들 이유가 없었다. 아침 5시에 일어나 아침 먹고(대체로 밥은 루인이 했다, "엄마"가 일어나지 않은 건 아니지만) 6시 조금 넘어 학교에 가서(루인이 수위 아저씨를 깨워서 교실에 들어간 날이 적지 않다, 나중엔 아는 척 했다-_-;;) 아침 조례 전까지 책상에 앉아 공부하고 아침 조례 직전에 화장실 갔다가 수업 시간엔 수업 공부, 쉬는 시간엔 나름의 다른 공부, 점심시간에 점심 먹고 다시 공부하고 그렇게 저녁이 되면 화장실 갔다 오고 공부하고, 10시가 되면 학교를 나서고(그때부터 하루 두 끼 생활을 했다). 고2 겨울방학부터 수능 전날까지 이렇게 생활했다.

지금까지 그 시절을 가장 무난하고 평이한 시간으로 기억하지만 어쩌면 모든 감정을 차단하고 아무것도 느끼지 않은 시간이었는지도 모른다. 어느 쪽이든 힘들지 않았고 (그렇게 기억하고 싶어 하고) 큰 편차 없이 모의고사들을 치렀다. 꾸준하게 성적이 올랐고(딱 한 번 떨어졌지만 크게 상심하지 않았다) 담임이 수학 담당이었기에 좋은 점도 있었다.

아마 루인이 기록한 시절 중 유일하게 비어있는 시절이 있다면 이 시절이다. 고3시절. 아무것도 쓰지 않고 버틴 세월. 항상 작은 수첩을 가지고 다니며 기록했지만 이때만큼은 아무것도 기록하지 않았다. 그 만큼 감정을 닫고 살았다는 얘기도 되지만 목표가 분명했다는 얘기도 된다.

그렇게 11월이 왔고 늦지도 빠르지도 않게 수능 고사장으로 갔다. 너무 담담했기에 편했고 모의고사 치는 기분으로 수능을 봤다. 확률에 약한데 확률문제가 나와 틀렸구나, 했다. 점심은 먹다 반쯤 남겼지만 그렇다고 긴장해서는 아니었다. 따로 가져간 문제집이 없었기에 머리를 식히며 시간을 보냈고 시험을 맞았다. 끝나곤 곧장 집으로 돌아갔고 EBS를 보며 채점을 했다. 수능이 쉬웠고 쉬워진 만큼 혹은 그 보다 조금 더 올랐고 그래서 수학에서 틀린 한 문제를 아쉬워할 여유도 가졌다. 영어는 아직도 잊지 못할 56점이었고(그나마 이 점수가 모의고사를 통틀어 가장 잘나왔다;;; 남들 다 70점은 기본처럼 나왔다;;;) 언어능력은 문과이과를 통틀어 학교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나와 당황했다. 특차를 쓸 만큼은 아니었지만 부산을 떠나 서울에서 학교를 다닐 만큼은 나왔고 운이 좋았는지 학교에서 보는 내신 성적도 루인에게 유리하게 선택할 수 있었다. 그렇게 서울에서 대학을 다니기 시작했고 세월이 흐르자 졸업을 앞두고 대학원 진학을 바라보고 있다.

이성애혈연가족과는 이렇게 떨어져 보내는 시간만큼 서로를 다시 이해하기 시작했다. 어느 점괘에 루인과 혈연가족과의 인연이 가장 나쁜 관계라는 말을 듣고 응어리처럼 맺혀있던 앙금이 풀림을 느꼈다. 물론 페미니즘을 배우며 끊임없는 자기 성찰의 시간 또한 무시 못 한다. 그러니 다시 혈연가족과 친하게 지내게 되었냐고? 그렇게 끝맺을 리가…. 그런 헐리우드식 해피엔딩은 판타지일 뿐이다. 사이는 여전히 안 좋다. 다만 멀리 떨어져 지내는 시간을 가지면서 그 앙금에 대해, 사이좋지 않음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다. 비록 그것이 가식이거나 가족판타지를 유지하는 방식이라고 해도 가끔 만나는 날엔 그 순간만큼은 친하게 지내고 가끔은 정말 안부가 궁금한 날도 생긴다.

수능이야기가 여기까지 흘렀다. …그래서 청취자들의 수능 관련 사연들이 슬프게만 들렸는지도 모르겠다.
2005/11/23 20:33 2005/11/23 20:33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173
  1. 사장님♡  2005/11/24 04:30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아! 제가 재수를 했던 것은 고3 때 5시에 일어나지 않아서...? ;;;;;;;;;; 고스를 듣지 말았어야 했어요..;;; 확실히 따로 사니까 뭔가 서로에 대해 생각하는 '여유'는 생기는 것 같기도해요. 근데 제가 아버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만큼 아버지가 저를 생각할지는 잘 모르겠군요;;;
  2. 루인  2005/11/24 22:07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아.. 그게 문제예요. 내가 생각하는 만큼 혹은 그런 방식으로 상대가 생각하지 않는다는 심각한 문제..;;; 그래서 아직도 어색하고 서먹한 부분이 있나봐요..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