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에 있으면 이어폰을 끼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럼 유난히 목소리가 큰 사람들의 얘기를 듣기 마련인데. 지금 바로 앞에서 보험설계사가 고객과 열심히 얘기를 나누고 있다. ㅡ_ㅡ;; 카페에 지금 나와 보험설계사 일행 밖에 없어 설계사의 목소리가 유난히 잘 들리기도 하고. 암튼 그 얘길 듣기 싫어 이어폰을 끼긴 했는데.
(문득 카페 같은 곳에서 설계사의 목소리는 큰 편이 좋을 거 같다. 설계사의 입장에서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대상은 맞은 편에 앉아 있는 고객만이 아니라 카페에서 우연히 그의 목소리를 들을 사람들도 포함하니까. 그러니 내가 그의 목소리를 들었다는 건, 설계사의 입장에선 어쨌거나 성공이다.)

비정규직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생활을 하면서, 요즘 들어 좀 안정된 직종에서 일하면 좋겠다는 바람을 품곤 한다. 계기는 간단하다. 학회일은 11월로 끝나고 저녁 알바는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두 가지 일을 해야 생계 유지가 가능하기에 어느 하나만 끝나도 위기가 온다. 그래서일까? 아직 끝나지도 않은 11월을 대비해서 벌써부터 걱정이 태산이다. ;;; 하늘이 무너질까 두려워 하늘만 쳐다보는 꼴인가? 큭큭.

암튼 이런 스트레스 때문인지 좀 안정된 직장이나 돈벌이가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품곤 한다. 생계를 유지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면 충분하니까 수익 많은 직종은 바라지도 않고! 근데 이런 바람과는 별개로 난 정규직에 취직하고 싶은 바람은 없다. 으하하. (정규직으로 뽑히긴 할 것이냐는 질문은 하지 않기로 하자. ㅜ_ㅜ) 그리고 정규직으로 취직하고 싶지 않은 바람의 상당 부분은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좀 웃기겠지만 정말이다. ;;;

어렸을 땐 국민연금이 좋은 건 줄 알았다. 정년퇴임할 때까지 국민연금을 내면 은퇴한 후 월급의 80% 수준의 돈을 받을 수 있다는 유럽 식의 국민연금은 꽤나 괜찮았다. 실상은 몰라도, 표면적으론 그럴 듯했다. 그래서 한국에서도 “전 국민”을 대상으로 국민연금제도를 시행한다고 했을 때 좋게만 느꼈다. 그럼 요즘은? 국가 공권력을 이용한 갈취로 파악하고 있다. 뚜렷한 이유는 없지만, 자동가입에 가까운 제도와 원천징수는 내게 갈취 이상의 느낌을 주지 않는다. 아울러 최초 약속만큼 돌려 주지도 않는다면 이건 사기잖아. 기업과 소비자로 치면 기업이 자신들의 이득을 위해 약관을 일방적으로 바꿔선 소비자에게 통보하는 것과 같다. 이건 불공정거래다.

물론 반드시 이런 이유만으로 정규직이 싫은 건 아닐 테다. (어떤 의미에서 난 학생–학교에 다니진 않아도 학생이다–과  활동가란 측면에서 정규직이기도 하다. 수입이 없다는 문제가 있긴 하지만 어쨌든 정규직이긴 하다;;;) 사실 정확하게 무슨 이유로 정규직이 싫은 건지는 나도 모른다. 프리터를 무척 매력적인 노동 방식으로 느끼는 이유 역시 알 수 없다. 반드시 이유를 알아야 하는 것도 아니고. (난 이게 “책임감”과는 완전히 다른 문제라고 느낀다.)

암튼 보험설계사가 열심히 상품을 판매하는 얘길 잠시 듣다가 기묘한 감정이 들었다. 좀 안정된 미래를 바라는 욕심과 보험이나 연금 같은 건 결코 가입하고 싶지 않다는 욕심의 공존이 그것이다. 보험이란 게 불안정한 미래를 인질 삼아 현재의 수익을 담보하는 거 아닌가? 알 수 없는 미래를 불안함으로 바꾸고 그 불안을 가중해서 상품을 판매하는 희망장사. 혹은 절망장사. 그러니 좀 안정된 수입을 바라는 나의 욕망과 보험상품을 구매(근데 이걸 왜 “가입”이라고 말하는 걸까?)하는 행위는 유사한 것이 아닐는지. 11월 말 학회일이 끝날 즈음 사고로 죽을 수도 있는 게 미래인데, 안정된 수입을 바라는 욕망은 보험을 구매하려는 욕망과 얼마나 다를까?

그러거나 말거나 이 시대는 현재를 불안이란 용어로, 미래를 꿈과 희망이란 허황된 용어로 포장하여 잘도 판매하는구나 싶다. 이것이 이 사회를 유지하는 힘이겠지.

통장에 잔고가 없어도 평생을 놀면서 살아가는 방법은 없는 걸까?
2009/07/07 14:45 2009/07/07 14:45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1518
  1. 당고  2009/07/08 09:58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난 5년 동안이나 정규직으로 일했지만 프리터가 매력적인 노동방식이라고 생각해요, 예나 지금이나. 단체에서 일하라는 유혹을 받기도 하지만 도저히 못하겠어요. 이제 조직생활은 너무나도 먼 꿈(공포?;;;)가 되어 버렸어요. 보험은 절대 가입하지 않을 거예요. 나쁜 일이 생겨야 본전을 뽑는 거잖아요. 뭔가 이상해요. 난 본전을 잃고 싶지도 않은데 나쁜 일이 생기는 것도 싫고. 하지만 연금은 붓는 대로 돌려준다는 점에서 좋을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어느 것도 들어 있지 않다는;;;
    제가 계속 꿈꾸었던 건 한 달에 40만원씩만 누가 나를 후원해주는 건데, 예술가의 패트론처럼. 하지만 막상 누가 나를 후원하겠다면 내가 또 받을까 싶어요. 부담스러워서-ㅅ-;;; 결국 이렇게 찔끔찔끔 일을 하면서 살아가야 하는 걸까요;;;;
    참, 오늘 인권감수성 교실 참관 갔다 왔어요. 루인도 보는 건가 싶었는데 못 만나서 아쉽~
    • 루인  2009/07/10 16:08     댓글주소  수정/삭제
      그쵸? 프리터는 너무 매력적이어에요. 으하하. ;;
      전 누군가 제게 후원을 한다고 하면, 후원을 하는 대신 어떤 조건과 제약, 간섭이 없다면 받아 들일 거 같아요...;;; 하지만 과연;;;;;;;;;;;; 흐흐

      참관은 저도 아쉬워요.. ㅠ
  2. 혜진  2009/07/09 09:28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저는 조직과 위계질서를 강조하는 아버지와 살다 보니 조직이 더 안정적이라고 느끼는 걸까요...ㅎㅎ
    조직이 더 효율적이라는 생각도 있고...
    한편으론 제 멋대로 살고 싶은 마음도 있고 인생이 효율적이어서 뭐 하냐는 생각도 있어요.
    제 미래는 무슨 큰 일이 일어나지 않는 한, 정규직이겠죠...근데 새장에 갇힌듯한 느낌이 들지도 모르겠어요.
    보험은 한국어로는 가입한다고 하지만...영어로는 구매한다고 하는데...문화차이일까요. 재밌네요.
    • 루인  2009/07/10 16:19     댓글주소  수정/삭제
      사실 딜레마인데요.. 어디에 속한 기분과 속하지 않은 기분을 모두 느끼고 싶은 욕망이 프리터로 살고 싶은 바람으로 변한 건 아닐까 싶기도 해요. 흐흐흐.
      영어로는 구매라고 부르네요;; 결국 이 과정에서부터 보험사가 고객보다 우월한 지위를 차지한다는 걸 알 수 있는 걸까요ㅡ_ㅡ;;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