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너부리 님의 표현을 빌리면, "매주 가장 바쁜 주를 갱신하며 산다." 일이 많았던 건 아닌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들이라 조금 분주했다. 5월부터 이렇게 살고 있는데 이번 주가 끝나면 좀 여유가 있을 듯. 5월부터 시작해서 이번 주가 고점을 찍을 거 같다. 그러고 나면 공포의 10월, 11월까진 여유가 있을 듯하다. 이 두 달 동안 학회 업무 인수인계, 학회 추계학술대회 준비 및 진행, 글 두세 편, 지렁이 협력사업 보고서 작성, 가을부터 시작할 어떤 프로젝트 글쓰기, 지금 하고 있는 일의 정리 등등을 해야 한다. 덜덜덜.
02
지난 달 다이어리를 정리하다, 영어 논문, 한글 논문과 같은 글을 제외하고 단행본만 18권을 읽었단 걸 깨달았다. 살짝 당황했다. 악착같이 읽었구나 싶겠지만 그게 아니다. 책을 읽는 리듬을 되찾은 것뿐이다. 독서에도 흐름이 있고, 리듬이 있다. 한 번 잃으면 다시 찾기까지 시간이 꽤나 걸리는데, 2월부터 애쓴 결과다.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사회학 관련 책들을 중심으로 읽고 있다. 물론 책과 논문은 도피 수단으로도 최고다.
03
헌책방에서 일을 하고 있으니 사는 책도 많다. 지지난 주엔 주인장들(난 사장이란 표현보다 주인장이란 표현이 정감 있어 좋아한다, 이 표현에 부정적인 뉘앙스가 있어 좀 그렇긴 해도;;)이 책을 그만 사라고, 하루에 한 권 이상 안 팔겠다고 말할 정도였다. 만날 '오늘은 책을 안 살 거야'라고 다짐하지만 끌리는 책을 만나면 어찌할 수가 없다. 다짐을 단단하게 해서일까, 지난주엔 많이 줄였다. 이번 주엔 한 권도 사지 않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 과연?
04
책방에서 일하며 좋은 건, 책을 읽건 글을 읽건 무언가를 읽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거다. 인터넷도 할 수 없고, 후치와 놀 수도 없으니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읽는 것뿐이다. 바쁠 땐 그 시간이 아쉽지만 그래도 이렇게 충전할 수 있으니 다행이다. 하루의 긴장을, 일을 하며 푼다.
05
나의 생활을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따지니 참 기묘했다.
현재 비정규직으로 하고 있는 일은 두 개다. 학회 일과 책방 알바. 학회 일은 11월로 끝나고 책방 알바는 정확한 기약은 없어도 언젠가 끝난다. 근데 비정규직 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
나의 정규직은 활동과 공부/학생인데 이 둘은 생계와는 거리가 멀다. 사람들과 농담으로 자주 하는 얘기인데, 활동만큼 확실한 정규직도 없다. 자신이 원한다면 평생 할 수 있는 직종이다. 사 소 한 문제라면 생계엔 도움이 안 된다는 것. -_-;; 하지만 일 자체가 즐거우니(혹은 괴로우니) 괜찮다. 학생/공부란 일도 내겐 일종의 정규직이다. 가끔 생활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가끔이다.
06
생활비가 어느 정도 안정되었지만, 웃기게도 최근 하루에 한 끼를 간신히 먹는 상황이다. 바쁘기도 하고 귀찮기도 해서. -_-;; 카페에서 일하는 날이면 그나마 두 끼를 챙겨 먹을 수 있는데 학교에서 일하는 날이면 그냥 저녁에 한 끼만 먹는다. 학교에 들어가면 밖에 나가는 게 귀찮아서 그냥 버티는 거다. ;;; 돈이 굳어서 좋긴 한데 몸이 위태롭다.
07
피곤해서인지 제대로 안 먹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두통이 잦다. "뒷목 잡고 쓰러진다"고 할 때의 뒷목에서 통증을 느낀다. 탁, 탁, 때리는 듯한, 튀는 것 같은 통증이다. 편두통이 도지면 뒷목이 아팠지만, 이번엔 새로운 유형이다. 오오, 신기하다. +_+
08
자막 작업을 했지만, 정작 영화제 기간 동안은 극장에 안 들어갔다. 자막에만 신경 쓸 거 같아서. 일테면 '아, 저기선 1초 정도 시간을 더 줘서, 사람들이 읽기 편하게 해야 했는데'라거나, '저기선 0.5초 정도 자막이 늦게 나왔어야 더 좋았을 텐데'라거나, '저 자막은 저렇게 말고 좀 다르게 끊었으면 더 좋았을 텐데'라는 고민만 할 거 같아서. 흐흐
영화제 자막은 한 줄에 11자, 한 번에 총 두 줄이 등장할 수 있다. 영화제에 간 적이 있다면 아실 듯. 그래서 한 번에 띄어쓰기 포함 최대 22자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글자를 어디서 끊는 게 좋을까로 고민한다. 글자의 개수로 끊어야 사람들이 읽기 편할지, 단어를 단위로 끊어야 사람들이 읽기 편할지와 같은 고민이다.
"난 단지 내 삶을 살고 싶을 뿐이다"란 문장을 예로 들자. 이 문장을 끊어주지 않으면 자막 화면에 나오는 글자는 "난 단지 내 삶을 살고 싶"까지는 완전하게 나오고 "을"은 윗부분에서 잘린다. 그럼 "싶"과 "을" 사이에서 끊는 게 좋을까, "살고"와 "싶을" 사이에서 끊는 게 좋을까와 같은 고민을 하는 거다. 흐흐. 이 문장을 한 줄로 출력하고 싶으면 "난 단지 내 삶을 살고 싶다"로 수정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하면 "다"가 잘려 나온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세 가지 정도. 하나는 결국 두 줄로 출력하는 것. 다른 하나는 띄어쓰기를 무시하는 것. 또 다른 하나는 다시 한 번 글자의 개수를 줄여 "난 내 삶을 살고 싶다" 혹은 "단지 내 삶을 살고 싶다", "내 삶을 살고 싶을 뿐"과 같은 방식으로 바꾸는 것. 자수를 줄일 때 부담스러운 건 뉘앙스가 많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아마 앞으로 영화관에 가면 자막 기술에 더 신경 쓸 거 같다. 내년에도 자막 작업을 할 기회가 생긴다면 더 잘해야지.
너부리 님의 표현을 빌리면, "매주 가장 바쁜 주를 갱신하며 산다." 일이 많았던 건 아닌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들이라 조금 분주했다. 5월부터 이렇게 살고 있는데 이번 주가 끝나면 좀 여유가 있을 듯. 5월부터 시작해서 이번 주가 고점을 찍을 거 같다. 그러고 나면 공포의 10월, 11월까진 여유가 있을 듯하다. 이 두 달 동안 학회 업무 인수인계, 학회 추계학술대회 준비 및 진행, 글 두세 편, 지렁이 협력사업 보고서 작성, 가을부터 시작할 어떤 프로젝트 글쓰기, 지금 하고 있는 일의 정리 등등을 해야 한다. 덜덜덜.
02
지난 달 다이어리를 정리하다, 영어 논문, 한글 논문과 같은 글을 제외하고 단행본만 18권을 읽었단 걸 깨달았다. 살짝 당황했다. 악착같이 읽었구나 싶겠지만 그게 아니다. 책을 읽는 리듬을 되찾은 것뿐이다. 독서에도 흐름이 있고, 리듬이 있다. 한 번 잃으면 다시 찾기까지 시간이 꽤나 걸리는데, 2월부터 애쓴 결과다.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사회학 관련 책들을 중심으로 읽고 있다. 물론 책과 논문은 도피 수단으로도 최고다.
03
헌책방에서 일을 하고 있으니 사는 책도 많다. 지지난 주엔 주인장들(난 사장이란 표현보다 주인장이란 표현이 정감 있어 좋아한다, 이 표현에 부정적인 뉘앙스가 있어 좀 그렇긴 해도;;)이 책을 그만 사라고, 하루에 한 권 이상 안 팔겠다고 말할 정도였다. 만날 '오늘은 책을 안 살 거야'라고 다짐하지만 끌리는 책을 만나면 어찌할 수가 없다. 다짐을 단단하게 해서일까, 지난주엔 많이 줄였다. 이번 주엔 한 권도 사지 않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 과연?
04
책방에서 일하며 좋은 건, 책을 읽건 글을 읽건 무언가를 읽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거다. 인터넷도 할 수 없고, 후치와 놀 수도 없으니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읽는 것뿐이다. 바쁠 땐 그 시간이 아쉽지만 그래도 이렇게 충전할 수 있으니 다행이다. 하루의 긴장을, 일을 하며 푼다.
05
나의 생활을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따지니 참 기묘했다.
현재 비정규직으로 하고 있는 일은 두 개다. 학회 일과 책방 알바. 학회 일은 11월로 끝나고 책방 알바는 정확한 기약은 없어도 언젠가 끝난다. 근데 비정규직 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
나의 정규직은 활동과 공부/학생인데 이 둘은 생계와는 거리가 멀다. 사람들과 농담으로 자주 하는 얘기인데, 활동만큼 확실한 정규직도 없다. 자신이 원한다면 평생 할 수 있는 직종이다. 사 소 한 문제라면 생계엔 도움이 안 된다는 것. -_-;; 하지만 일 자체가 즐거우니(혹은 괴로우니) 괜찮다. 학생/공부란 일도 내겐 일종의 정규직이다. 가끔 생활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가끔이다.
06
생활비가 어느 정도 안정되었지만, 웃기게도 최근 하루에 한 끼를 간신히 먹는 상황이다. 바쁘기도 하고 귀찮기도 해서. -_-;; 카페에서 일하는 날이면 그나마 두 끼를 챙겨 먹을 수 있는데 학교에서 일하는 날이면 그냥 저녁에 한 끼만 먹는다. 학교에 들어가면 밖에 나가는 게 귀찮아서 그냥 버티는 거다. ;;; 돈이 굳어서 좋긴 한데 몸이 위태롭다.
07
피곤해서인지 제대로 안 먹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두통이 잦다. "뒷목 잡고 쓰러진다"고 할 때의 뒷목에서 통증을 느낀다. 탁, 탁, 때리는 듯한, 튀는 것 같은 통증이다. 편두통이 도지면 뒷목이 아팠지만, 이번엔 새로운 유형이다. 오오, 신기하다. +_+
08
자막 작업을 했지만, 정작 영화제 기간 동안은 극장에 안 들어갔다. 자막에만 신경 쓸 거 같아서. 일테면 '아, 저기선 1초 정도 시간을 더 줘서, 사람들이 읽기 편하게 해야 했는데'라거나, '저기선 0.5초 정도 자막이 늦게 나왔어야 더 좋았을 텐데'라거나, '저 자막은 저렇게 말고 좀 다르게 끊었으면 더 좋았을 텐데'라는 고민만 할 거 같아서. 흐흐
영화제 자막은 한 줄에 11자, 한 번에 총 두 줄이 등장할 수 있다. 영화제에 간 적이 있다면 아실 듯. 그래서 한 번에 띄어쓰기 포함 최대 22자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글자를 어디서 끊는 게 좋을까로 고민한다. 글자의 개수로 끊어야 사람들이 읽기 편할지, 단어를 단위로 끊어야 사람들이 읽기 편할지와 같은 고민이다.
"난 단지 내 삶을 살고 싶을 뿐이다"란 문장을 예로 들자. 이 문장을 끊어주지 않으면 자막 화면에 나오는 글자는 "난 단지 내 삶을 살고 싶"까지는 완전하게 나오고 "을"은 윗부분에서 잘린다. 그럼 "싶"과 "을" 사이에서 끊는 게 좋을까, "살고"와 "싶을" 사이에서 끊는 게 좋을까와 같은 고민을 하는 거다. 흐흐. 이 문장을 한 줄로 출력하고 싶으면 "난 단지 내 삶을 살고 싶다"로 수정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하면 "다"가 잘려 나온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세 가지 정도. 하나는 결국 두 줄로 출력하는 것. 다른 하나는 띄어쓰기를 무시하는 것. 또 다른 하나는 다시 한 번 글자의 개수를 줄여 "난 내 삶을 살고 싶다" 혹은 "단지 내 삶을 살고 싶다", "내 삶을 살고 싶을 뿐"과 같은 방식으로 바꾸는 것. 자수를 줄일 때 부담스러운 건 뉘앙스가 많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아마 앞으로 영화관에 가면 자막 기술에 더 신경 쓸 거 같다. 내년에도 자막 작업을 할 기회가 생긴다면 더 잘해야지.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1503
루인님이 강조하셨던 밥심. 그러니 한 끼 말고 조금 더 드세요- :)
거기다 영화제 자막 작업까지.. +_+ 글자수 제한에 걸려 표현은 어려운데 사람들은 참 쉽게 자막 번역의 질 운운하는 거 정말 서러워요. 이젠 더 하지도 않지만 ^^
그리고 저 그분 왔다 간 거 알고 있어요. 딱 본 순간 '아, 그분이구나'했지요. 흐흐흐. 물론 다시 본다고 알아 볼 수 있는 건 아니지만요. ;;;
병원비 더 나갑니다. (왠지 썰렁ㅋㅋㅋ)
근데 정말 병원비가 더 나갈까 걱정이라 다시 잘 챙겨 먹으려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