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포털 기준, 성인인증을 거쳐야 하는 단어들이 나옵니다. ㅡ_ㅡ;; 읽는 이의 입장에 따라 조금은 불편한 내용이 있을 수도 있단 소리죠.

Garfinkel, Harold. “Passing and the Managed Achivement of Sex Status in an “Intersexed” Person Part 1.” Studies in Ethnomethodology. By Garfinkel.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1967. 116-185.

1950년대 말이었나. 미국의 한 ‘여성’이 한 명의 정신과 의사(혹은 정신분석학자)와 한 명의 사회학자를 찾아갔다. 그는 두 명의 ‘전문가’에게 자신을 간성으로 소개하며, 남자아이로 자랐지만 자신을 여성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1950년대 말, 1960년대 초면 트랜스젠더, 간성 관련 연구를 막 시작하던 무렵이다. 정신과 의사와 사회학자는 트랜스젠더와 간성 관련 해서 어느 정도 지명도를 획득하고 있었다. 그 ‘여성’은 다른 의사의 추천으로 이 둘을 찾아갔다.

아그네스(Agnes)란 이름으로 불린 그 ‘여성’은 당시 의학에서 상당히 새로운 존재였다. 고환과 음경이 소위 규범적 형태로 불리는 모습을 갖추고 있는 동시에 가슴이 상당히 발달한 상태였다. 머리는 금발로 길었고 손이나 발이 조금 크긴 했지만 체형 역시 여성형이었다. 전문가라 불리는 두 명의 표현을 빌리면, 아그네스가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면 ‘그냥 여성’이란 점을 의심하지 않을 정도였다. 전문가라 불리는 두 인물의 이름은 로버트 스톨러(Robert Stoller)와 해럴드 가펑클(Harold Garfinkel).

아그네스는 스톨러와 가펑클을 만난 자리에서 자신의 생애사를 얘기했다. 가족들과 주변 이웃들 모두 자신을 소년으로, 남자아이로 키웠다고 했다. 하지만 자신을 한 번도 남자로 생각한 적은 없었으며, 항상 여성으로 생각했다고 했다. 이런 괴리감을 느끼며 자라다 어느 순간 이차성징으로 소위 남성형 성적 특질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10대 중반이 될 무렵, 여성형 성적 특질도 동시에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한다. 어떤 의료적 조치도 취한 적이 없는데 에스트로겐이 고환에서 분비되기 시작했다. 물론 아그네스는 기뻤다고 한다. 여성으로 통하는 외모로 변하면서 여성의 성역할을 새롭게 배웠고 남들에게 여성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아그네스의 고민은 외부성기형태였다. 남성형 외부성기는 그에게 상당히 불편했다. 이성애자인 아그네스는 남자친구와 연애를 하고 때때로 성관계를 바랐다. 그러면서도 남자친구에게 자신의 외부성기형태를 말하길 원치 않았다. 외부성기형태 뿐만 아니라 소년으로 자라야 했던 역사도 말하길 원치 않았다. 그렇기에 아그네스의 욕망은 실현하기 힘들었다. 외부성기형태 재구성수술은 그에게 꼭 필요한 상황이었다.

아그네스는 자신이 여성처럼 보이길, 여성으로 통하길 원하는 게 아니었다. 규범적이고 자연스럽게(“normally, naturally”) 보이길 원했다. 남자로 자랐다는 역사, 간성이라는 몸의 조건, 십대 후반에야 여성다움을 배워야 하는 상황을 다른 이들이 알지 않길 바랐다. 아그네스는 이런 저런 고민을 스톨러와 가펑클에게 얘기했다. 그리고 스톨러와 가펑클은 각각 아그네스와의 인터뷰에 뿌리를 둔 연구결과물을 출판했다.

첫 연구결과물이 출판되었거나 출판되기 직전 ‘새로운 일‘이 발생했다. 스톨러와 가펑클은 아그네스가 간성이라고 믿었다. 의료 조사 역시 아그네스가 간성이라고 판정했다. 아그네스는 에스트로겐이 자연스럽게 분비되었다고 증언했고, 이에 의사들은 분비기관이 고환이라고 추측했다. 그런데 첫 만남으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지난 뒤, 아그네스는 스톨러에게 자신은 10대 중반 즈음부터 에스트로겐 약을 먹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에스트로겐의 출처는 어머니였다. 아그네스의 어머니는 에스트로겐 약을 복용해야 하는 처방전이 있었다. 아그네스는 약국에 가서, 어머니의 처방전으로 약을 대신 사는 것처럼 말하며 약을 샀고, 그 약을 먹었다.

비록 40년도 더 지난 과거의 일이지만 이 일화는 상당히 많은 고민거리를 남긴다.

아그네스의 경험은, 이차 성징이 발생하기 직전부터, 혹은 그 즈음부터 호르몬 투여를 시작한다면 자신이 원하는 신체 외형에 좀 더 근접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이는 많은 트랜스젠더들이 10대에 호르몬 투여를 원하는 경험적/’생물학적’ 근거이기도 하다. 트랜스젠더의 성전환, 의료적 조치에 반대하는 적잖은 논리 중엔 “10대는 성정체성이 혼란스러운 시기이니 성인이 되면 그때 시작하도록 하자.”란 주장이 있다. 문제는, 20대에 호르몬을 시작하면 10대에 시작하는 것보다 효과가 덜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mtf/트랜스여성이면 남성형 성적 특질이 두드러질 가능성이 상당하고, ftm/트랜스남성이면 여성형 성적 특질이 두드러질 가능성이 상당하다. 의료적 조치를 시작하는 시기가 늦을 수록 사회에서 ‘이질적이고 어색한 존재’로 노출될 가능성이 더 커진다. 10대엔 호르몬을 비롯한 의료적 조치를 해선 안 된다는 주장은, 의도했건 하지 않았건 상관없이, 트랜스젠더는 트랜스젠더란 티가 나야 한다, 그래서 트랜스젠더와 비트랜스젠더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과 같다. 이차 성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후 의료적 조치를 시작할 경우, 더 많은 수술을 해야할 가능성이 크단 점에서 ‘성’을 바꾸려면 그 정도의 비용을 지불할 각오를 하라는 의미기도 하다. 그럼 언제 의료적 조치를 시작하는 게 좋을까? 그건 나도 모르겠다. 한 가지 확실한 건, “10대는 성정체성이 혼란스러운 시기”란 식의 언설은 어처구니가 없다는 점이다. 10대에만 혼란스러운 게 아니다. 혼란은 평생 경험한다.

아그네스와 인터뷰한 가펑클의 글을 읽으면 음경과 관련해서 흥미로운 구절이 나온다. 아그네스는 자신의 음경에서 어떤 성적인 감각을 느끼지 않으며 결코 발기하지 않는다고 가펑클에게 말한다. mtf/트랜스여성과 음경/페니스의 관계는 대체로 이와 같다. 적잖은 자서전, 공적 인터뷰와 같은 글에서 음경은 부인해야 할 대상으로 등장한다. 너무너무너무 끔찍할 뿐이라 쳐다도 보기 싫다는 식이다. 자신의 외부성기를 쳐다 보는 것만으로도 끔찍하다는 반응은 트랜스젠더의 자기 몸 인식에 있어 널리 알려진 방식이기도 하다. “아이러니”는, 외부성기재구성수술을 할 때 음경 혹은 페니스를 뒤집는 기술을 선택하면서 발생한다. 소위 여성형 외부성기형태를 갖추기 위해 음경 혹은 페니스가 반드시 필요하다. 너무도 끔찍하다고 말하지만 너무도 필요한, 없는 것처럼 얘기하지만 또한 항상 존재하는 “아이러니.”

“아이러니”란 단어는 가펑클이 아그네스를 평가하며 사용했다. 이것은 가펑클의 한계이자, 가펑클과 아그네스의 관계가 어땠는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단서다. 공적으로 알려진 내용과 개개인들의 관계에서 나누는 얘기에 상당한 간극이 있는 건 당연하다. 음경 혹은 페니스 역시 마찬가지다. 공적으론 끔찍하다고 말하면서도 그것이 주는 성적인 쾌락을 포기하길 꺼리는 이들 역시 적지 않다. 어떤 이들은 음경 혹은 페니스에 부여하는 통상적인 의미(남자의 상징)가 아니라 단순한 신체기관, 살덩어리, 성적 기관으로만 이해하기도 한다. 새로운 이름을 부여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이런 이해들이 모든 자리에서 통용되는 건 아니다. 트랜스젠더, 성전환의 진정성 혹은 완성을 측정하는 핵심적인 기준이 외부성기형태재구성수술의 여부인 문화에서 외부성기는 끔찍해서 없애야만 한다. 여전히 소유하고 싶다는, 성적 감각에서 중요하다는 식의 언설은 ‘진정성’을 의심하게 한다. “너 진짜 트랜스젠더 맞아? 너 가짜지?”란 의심을 불러 일으킨다. 한국에선 “군대 가기 싫어서 트랜스젠더인 척 하는 거지?”라는 반응을 유발한다. 이런 문화적인 상황에서 공적으로 발언할 수 있는 내용은 제한되어 있다. 그래서 아그네스가 스톨러와 가펑클에게 자신의 음경이 끔찍하다고 말하는 걸 문자 그대로 이해하면 곤란하다. 가펑클에겐 “아이러니”겠지만 아그네스에겐 전략적 발화일 가능성이 상당하다. 아그네스가 가펑클과 스톨러에게 자신을 간성으로 소개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전략적 발화라고 해서, 음경을 싫어하지 않았다고 단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고민은 ‘여자’와 ‘규범’이다. 가펑클은 아그네스에게 여자로 보이고 통하길 원하는 거냐고 질문한다. 아그네스는 가펑클에게 자신은 여자로 보이거나 여자로 통하길 원하는 게 아니라 규범적이고 자연스럽게 보이길 원한다고 말한다. 가펑클은 아그네스의 이 말이 혼란스러운 듯 하다. 나는 아그네스의 이 말이 상당히 멋지다고 느꼈다. 이유는 간단하다. 가펑클이 정의하는 여자와 아그네스가 정의하는 여자가 다르기 때문이다. 가펑클에겐 여자라는 어떤 원본, 진짜 여자라는 상이 고정되어 있다. 그래서 가펑클이 ‘여자처럼 보인다’라는 말은 ‘진짜 여자,’ ‘생물학적 여자’를 모방하고 따라하길 원한다는 말과 같다. 가펑클의 말은 아그네스가 ‘여자’도 ‘여성’도 아니지만 어쨌든 ‘여자처럼’ 보일 수는 있다는 걸 암시한다. 아그네스는 여자처럼 보이길 원하는 게 아니라 규범적이고 자연스럽길 원한다고 답하는데 이때 여자는 이미 결정된 요소가 아니다. 누구나 여자처럼 보일 수 있고, 트랜스여성이라고 해서 여자처럼 보이지 않을 이유가 없다. 문제는 얼마나 규범적이고 자연스럽게 보이느냐이다. 이럴 때 핵심은 ‘생물학적으로 타고난 몸’이냐 아니냐가 아니다. 한 사회의 젠더 규범을 얼마나 잘 인용하느냐가 관건이다. 소위 ‘생물학적으로 타고난 여성’이라고 해서 ‘여자처럼’ 보이는 데 항상 성공하는 건 아니다. 실패했을 때 받는 타격의 정도는 각자가 다를 것이다. 아마도 아그네스, 혹은 트랜스젠더라면 그 타격은 훨씬 크다고 짐작할 수 있다. 그러니 “규범적이고 자연스럽게” 통하는 게 중요한다. 아그네스의 이 말은 젠더 이론에서 30년 정도 지나서야 비로소 논의를 시작하는 말들을 암시한다.

이런 글을 읽을 때 속상한 건 하나다. 아그네스의 본명도, 그가 남긴 글도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여러 의미에서, 프로이트의 분석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닮았다.
2009/05/21 13:17 2009/05/21 13:17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1492
  1. 지구인  2009/05/21 14:29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너무 속상해하진 말아요. 본명도 직접 남긴 글도.. 그것보다도 아그네스가 찾아가 자신에 대해 말했다는 것 자체가 이미 엄청난 업적^^이기도 하니까요. 직접 남기는 글이나 본명은 아그네스 후의 사람들의 몫일지 모르죠. 여튼.. 엄청 재미난 글이네요.
    • 루인  2009/05/22 16:33     댓글주소  수정/삭제
      개인적으로 언젠가 하리수 씨와 관련한 다양한 글을 모은 책을 기획하면 정말 재밌겠다 싶은 고민을 하곤 해요. 하리수 씨와 관련해서 고민할 때면, 너무 대단한 사람이라고 중얼거리지 않을 수가 없어서요. 공적 미디어에 등장한 것부터, 다양한 해석들, 커뮤니티에서 받아 들인 방식 등등, 긍정적인 평가건 부정적인 평가건 상관 없이 다양한 논의들을 모을 수 있으면 좋겠다 싶은 욕심이랄까요. 흐흐.
      이런 개인적인 욕심이 있지만, 너무 자주 잊곤 하는데 아그네스 글을 읽으면서 다시 한 번 다짐했죠. 물론 며칠이나 갈지는 모르겠지만요. 으하하. ㅡ_ㅜ
  2. 당고  2009/05/21 16:33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아그네스는 굉장히 멋지고 의미심장한 존재네요. 자기 자신에 대해 잘 알았던 사람인 거 같아요.
    근데 포털의 성인 인증 완전 웃겨요. 전혀 상관없는 걸 물고 늘어지는 느낌. 쩝-
    • 루인  2009/05/22 16:34     댓글주소  수정/삭제
      어쩌면 그 시대의 규범과 생존전략을 가장 잘 알고 있었던 사람인지도 모르겠다 싶어요. 아그네스만 그랬던 건 아니지만요. 흐흐.

      포털의 성인 인증은 완전 코미디인데요... 같은 내용에 다른 단어를 입력하면 19금이 떠서 어이없어 하고 있어요. 켁
  3. 혜진  2009/05/22 09:29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아그네스란 사람...우와...상당히 어린 나이에서부터 스스로를 잘 알고 있었던 사람 같네요.
    게다가 똑똑해요~ >_<
    • 루인  2009/05/22 16:35     댓글주소  수정/삭제
      나이를 비교하면 불현 듯 우울해지기도 해요. 으하하하. ㅠ_ㅠ
      흐흐흐.
      어쩜 이렇게 똑똑할까 싶기도 해요. 가장 평범하게 살기 위해 가장 똑똑한 전략을 취한 것 같고요. 흐흐.
  4. 아옹  2009/05/22 16:49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우왕. 재미있게 읽었어요! 오호-
    • 루인  2009/05/24 10:52     댓글주소  수정/삭제
      헤헤. 고마워요. :)
      어떤 과거를 재해석하는 작업은 언제나 재밌어요. 흐흐.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