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달에 다 읽기로 한 영어 책이 이제 4쪽 가량 남았다. 낮엔 해야 할 일들이 있어, 저녁에 한 시간 정도 읽으면 다 읽을 거 같다. 다 못 읽을 거 같아 걱정이었는데, 요 며칠 힘껏 달렸더니 간신히 다 읽을 수 있게 되었다. 읽은(?) 혹은 읽고 있는 책은 Reclaiming Genders: Transsexual Grammars at the Fin de Siecle로, 1990년대 후반, 트랜스젠더와 관련 있는 책들이 한창 출판되기 시작하던 무렵 나온 책이다. 특징이라면 영국에서 활동하는 트랜스젠더 이론가/활동가들이 편집했고, 영국과 미국에서 활동하는 이들의 글들이 실려 있다는 점이다. 1990년대 중후반 즈음 트랜스젠더/트랜스섹슈얼과 관련해서 중요한 논문모음집이 많이 나왔는데, 이 책은 그 중에서도 두드러진 편이다. 아니, 더 정확하게는 내가 좋아하는 필자들의 글이 많이 실려 있어 반갑다는 게 더 정확한 평일까?


이 책엔 편집자 중 한 명인 케이트 모어(Kate More)가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를 인터뷰한 글도 실려 있다. 이 글도 꽤나 괜찮다. 무엇보다도 내가 읽은 글에서 나타난 버틀러는 글을 쓸 때 어느 정도 감정을 자제하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 인터뷰에선 직접 표현하는 부분들이 상당하다. 일례로 "나는 ~~을 혐오한다." "그건 정말 아니다."란 식이다. 이게 인터뷰를 읽는 매력이기도 하다.


인터뷰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Judy"와 관련해서다. 버틀러의 경우 워낙 유명하고 인기 가 있어서, 팬진이 있을 정도인데, 팬진의 이름이 "Judy"다. 내가 팬진의 이름을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느낀 건, ‘역시 버틀러야!’였다. 팬진이 있을 만하다고 느꼈고, 팬진을 구해서 읽고 싶어 종종 구글링을 하기도 했다. 물론 구할 수 없었지만.


하지만 버틀러는 Judy란 이름에 느끼는 불편함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그것은 Judy란 이름이 상당히 여성적인 뉘앙스이며, 사람들이 종종 “Ju~~~dy”라고 부를 때 나타나는 여성화 때문이다. 즉, Judy라는 이름은, 버틀러가 실천/수행하고 있는 규범적이지 않는 어떤 젠더를 규범적 ‘여성’의 틀로 환원하는 역할을 한다. 사람들이 버틀러에게 느끼는 불안을 Judy란 이름을 통해, “결국 여성”으로 만들려는 욕망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버틀러는 자신에게 유머감각이 없다고 비판한다 해도, Judy란 별칭이 내키지 않는다고 분명하게 말한다.


나는 이 표현이 나의 어떤 경험과 닿았기에 내 몸에 울림을 줬다. 나 역시 어떤 특강에 가고 나면 비슷한 얘길 듣는다. 처음엔 ‘이성애 남성’처럼 여겨지는 이가 단상에 올랐는데, 그 자리에서 말하길 자신이 ‘레즈비언 트랜스’란다. 어떤 이들은 나의 일시적인 범주화를 부인하며 계속해서 ‘이성애 남성’으로 이해하려 든다. 또 다른 이들은 내가 ‘트랜스’란 부분에만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또 여러 반응이 있지만, 그 외의 무수한 반응을 직접 얘기해 주는 이들이 없어 아쉬울 따름이다. 아무튼, 나를 ‘트랜스’로 이해하기 시작한 이들은 강의가 끝난 후, 내게 다가와 “가까이서 보니 눈이 예쁘다.” “예쁘게 생겼다.”는 식의 말을 한다. 오프라인으로 날 아는 이들이라면 이 말이 사실이 아니란 걸 알 테다. 트랜스여성은 “여자보다 예쁜” 존재란 이해가 만연하단 점에서 “예쁘다”는 식의 수식어는 “트랜스여서다움”을 지시한다. 나의, 소위 남자같은 부분은 “예쁘다”는 말 속에서 부정되거나 은폐된다. 버틀러가 Judy에 느꼈을 불편함이 나의 불편함과 비슷한 것만 같아, 공감하면서 읽었다. 그래서 부끄럽기도 했다. Judy란 이름의 의미를 고민하지 않고 너무 간단하게 고민했다는 점이.


누군가의 외모를 특정 젠더 혹은 특정 범주로 수렴하는 언어들은 만연하다. “결국 여성” 혹은 “결국 남성”이란 표현은 ‘나’의 다른 가능성들을 모두 지워버린다는 점에서 개인들의 삶을 상당히 불편하게 만든다. 조금 다른 상상력은 어떻게 가능할까? 언제나 어려운 일이다. ‘여성’에 대한 차별이 굳건한 현재 사회의 이분법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다른 상상력이 가능할까?


5월 중순에 긴장감 백배인 발표자리가 있는데, 그 자리에서 이 고민을 공유하고 싶다. 얼마나 잘 할 수 있을까? 자신은 없지만, 일단 해보는 거다. 뭐, 어떻게 되겠지.
2009/04/30 16:08 2009/04/30 16:08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1456
  1. 풍뎅이  2009/05/02 03:0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긴장감 백배인 발표자리...궁금하네요 :D
    • 루인  2009/05/02 20:40     댓글주소  수정/삭제
      아마 이곳에서 밝히는 일은 없을 거 같아요... ㅠ_ㅠ
      발표가 끝나고 나면 즐거운 자학의 시간이 이곳에 펼쳐지긴 할 거고요. 흐흐흐.
      참석자들이 워낙 쟁쟁한 사람들이라 저의 무식이 어디까지 드러날 지 걱정하고 있어요. ㅜ_ㅜ
  2. 혜진  2009/05/02 08:2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고정관념에 너무 사로잡혀 있으면 자기 자신들도 분명 피곤할텐데 말이죠...
    • 루인  2009/05/02 20:42     댓글주소  수정/삭제
      그쵸그쵸? 정작 그 자신들이야 말로 고정관념에 사로 잡혀 무척 피곤하게 사는데도, 그렇지 않다고 믿고 있으니 그 스트레스가 장난 아닐 거예요. 그래서 혐오폭력을 행사하나 싶기도 해요.
  3. 혜진  2009/05/02 08:2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글치만 사실은 사실이네요ㅋㅋ
    루인님의 우월한 외모~
    • 루인  2009/05/02 20:43     댓글주소  수정/삭제
      워워~
      신문에 실린 사진은 기자의 사진 찍는 기술이 워낙 뛰어나서 그렇게 나왔을 뿐이에요. 사진과 실물의 간극은 하늘과 땅 차이에요... 흐흐.
  4.   2009/05/03 02:41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자 루인님 어떻게 눈만 찍은 사진 좀 올려보시는 게...ㅋㅋ

    친구가 이번에 임신을 했는데, 굳이 아기 성을 알아보지 않겠다더라고요. 어차피 태어나면 한평생 하나의 젠더로 살아갈 테고, 친구가 자기 역시 젠더라는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사람을 대할 기회가 없었으니 이번이 그 기회라고. 그런데 사회화가 무섭다고 역시 디폴트로 'he'라고 조금 더 자주 일컫게 되는 것 같다고 하더라고요;
    • 루인  2009/05/04 13:34     댓글주소  수정/삭제
      으하하. 그냥 상상으로 남겨 두는 게 좋을 거 같아요... 때론 진실을 모른 게 좋으니까요. 흐흐흐. ㅠ_ㅠ


      그 친구분 왠지 멋져요! >_< 그런 고민을 하는 분들이 많지 않으니까요...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