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이랑 친구가 갑자기, 누군가 한 가지 소원을 들어준다고 하면 무얼 말하겠느냐고 묻자, 잠시 당황하다(갑자기 물어서…) 곧 바로 한 대답이, "소원 백 가지 들어주세요"였다.
흔히 동화라고 불리거나 옛날이야기로 불리는 이야기들을 보면, 세 가지 소원을 들어준다거나 한 가지 소원을 이룰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면, 꼭 그것에 맞추려는 경향이 있다. 물론 한 가지 소원의 경우는 대개 그 상황에서 그것 말고는 달리 선택할 것이 없는 그런 경우가 대부분이고(일테면 죽은 누군가를 살려달라는 식으로) 세 가지일 때도 그렇게 개개의 것으로 이루기 마련이다. 루인이 이상하게 여겼던 건, 왜 "소원 백 가지 들어주세요"라고 소원을 말 하지 않느냐는 것. 그러고 나서 99가지 말하고 한 가지 남으면, 다시 백 가지…-_-;;
아니면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으니까, 1조가 들어 있는 통장은 어떨까? 자본주의 사회에서 모든 것은 화폐로 평가되고 모든 가치가 화폐로 획일화되고 있으니까. 그래서 1조의 잔고가 있는 통장을 가진다면 지금 루인이 회원으로 매달 조금씩의 회비를 내고 있는 운동단체/NGO들에 더 많은 회비를 낼 수 있을 테고 회원이 되고 싶음에도 최소한의 생활비에 걸려 가입하지 못하고 있는 곳에도 회원이 될 수 있을 테고, 루인이 바라는 단체를 만들 수도 있을 테고. …이렇게 소원을 통해 이루고 싶은 것은, 유일하지만 가벼움이라는 속성을 지닌 소원을 통해 다른 것을 이루긴 싫다는 루인식의 윤리 때문이다. 대화와 소통 그리고 고통이 따르겠지만 엮어갈 관계에의 노력처럼 과정을 통해 많은 앎이 따를 일들을 소원을 통해 이루긴 싫기 때문에(이런 몸으로 살기에 "폭력(혹은 빈곤) 없는 세상을 만들어 주세요"라던가 "모두가 맥락으로 소통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주세요"라는 식의 '소원'을 망설이면서도 말하지 않는 것이다) 자본주의의 "천박"하지만 필요한 현금을 달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내용들 모두 상상에 불과하고 정말 누군가가 루인에게 한 가지 소원을 들어준다고 뭐든지 말하라고 한다면, 다음에 말하겠다며 미룰게 분명하다. 다음에 필요하면 말 할께, 라고 미루면서, 아마 평생 그렇게 미루면서 언제든 이룰 수 있는 소원이 한 가지 있다는 그 가능성만 가진 체 살아가겠지. 결국 사용하지도 않고 죽을 한 가지 소원. 이건 어떤 의미에선 '희망'을 안고 살겠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고통을 유예하며 그 유예의 쾌락을 느끼듯 그런 의미에서 미루고 싶은 것이다. 이룰 수 있을 쾌락을 연장하고 미루어서 쾌락의 정점엔 도달하지 않지만 그 정점에 도달할 듯 말 듯 하는 바로 그 상태로 살고 싶으니까. 뭐든지 한 가지를 손쉽게 이룰 수 있다는 쾌락, 그 유일할 수밖에 없는 쾌락을 당장 누리고 싶지 않고 그런 쾌락을 통해 삶의 또 하나의 쾌락을 누리고 싶기에 죽기 전까지 아니 눈을 감는 그 순간까지 소원을 이루지 않겠지.
(루인이란 그런 인간이다. 다치면 아픈 곳을 괜히 콕콕 찔러보는 인간이 루인이고 그렇게 찌르다 더 심하게 아플까봐 걱정해서 찌를 듯 찌르지 않은 상태를 즐기는 것도 루인다.)
어쩌면 한 가지 이룰 수 있는 소원이 있음에도 미루려는 것은, 이루는 순간이 (한 과정이 끝나는) 결말이라면 바로 그 "결말"이라는 것, 즉 변화의 과정이 끝나기 때문이다. 모든 상황은 매 순간 변화하는데 이런 식의 소원 담론은 매 순간 변화하는 삶을 고정시키고 싶은 욕망의 투사로 여겨진다. 변화하지 않고 결론이 나는 삶이라면 끔찍하게 지루하기에 소원 같은 것 이루지 않고 평생 유예 시키며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살고 싶으니까.
흔히 동화라고 불리거나 옛날이야기로 불리는 이야기들을 보면, 세 가지 소원을 들어준다거나 한 가지 소원을 이룰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면, 꼭 그것에 맞추려는 경향이 있다. 물론 한 가지 소원의 경우는 대개 그 상황에서 그것 말고는 달리 선택할 것이 없는 그런 경우가 대부분이고(일테면 죽은 누군가를 살려달라는 식으로) 세 가지일 때도 그렇게 개개의 것으로 이루기 마련이다. 루인이 이상하게 여겼던 건, 왜 "소원 백 가지 들어주세요"라고 소원을 말 하지 않느냐는 것. 그러고 나서 99가지 말하고 한 가지 남으면, 다시 백 가지…-_-;;
아니면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으니까, 1조가 들어 있는 통장은 어떨까? 자본주의 사회에서 모든 것은 화폐로 평가되고 모든 가치가 화폐로 획일화되고 있으니까. 그래서 1조의 잔고가 있는 통장을 가진다면 지금 루인이 회원으로 매달 조금씩의 회비를 내고 있는 운동단체/NGO들에 더 많은 회비를 낼 수 있을 테고 회원이 되고 싶음에도 최소한의 생활비에 걸려 가입하지 못하고 있는 곳에도 회원이 될 수 있을 테고, 루인이 바라는 단체를 만들 수도 있을 테고. …이렇게 소원을 통해 이루고 싶은 것은, 유일하지만 가벼움이라는 속성을 지닌 소원을 통해 다른 것을 이루긴 싫다는 루인식의 윤리 때문이다. 대화와 소통 그리고 고통이 따르겠지만 엮어갈 관계에의 노력처럼 과정을 통해 많은 앎이 따를 일들을 소원을 통해 이루긴 싫기 때문에(이런 몸으로 살기에 "폭력(혹은 빈곤) 없는 세상을 만들어 주세요"라던가 "모두가 맥락으로 소통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주세요"라는 식의 '소원'을 망설이면서도 말하지 않는 것이다) 자본주의의 "천박"하지만 필요한 현금을 달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내용들 모두 상상에 불과하고 정말 누군가가 루인에게 한 가지 소원을 들어준다고 뭐든지 말하라고 한다면, 다음에 말하겠다며 미룰게 분명하다. 다음에 필요하면 말 할께, 라고 미루면서, 아마 평생 그렇게 미루면서 언제든 이룰 수 있는 소원이 한 가지 있다는 그 가능성만 가진 체 살아가겠지. 결국 사용하지도 않고 죽을 한 가지 소원. 이건 어떤 의미에선 '희망'을 안고 살겠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고통을 유예하며 그 유예의 쾌락을 느끼듯 그런 의미에서 미루고 싶은 것이다. 이룰 수 있을 쾌락을 연장하고 미루어서 쾌락의 정점엔 도달하지 않지만 그 정점에 도달할 듯 말 듯 하는 바로 그 상태로 살고 싶으니까. 뭐든지 한 가지를 손쉽게 이룰 수 있다는 쾌락, 그 유일할 수밖에 없는 쾌락을 당장 누리고 싶지 않고 그런 쾌락을 통해 삶의 또 하나의 쾌락을 누리고 싶기에 죽기 전까지 아니 눈을 감는 그 순간까지 소원을 이루지 않겠지.
(루인이란 그런 인간이다. 다치면 아픈 곳을 괜히 콕콕 찔러보는 인간이 루인이고 그렇게 찌르다 더 심하게 아플까봐 걱정해서 찌를 듯 찌르지 않은 상태를 즐기는 것도 루인다.)
어쩌면 한 가지 이룰 수 있는 소원이 있음에도 미루려는 것은, 이루는 순간이 (한 과정이 끝나는) 결말이라면 바로 그 "결말"이라는 것, 즉 변화의 과정이 끝나기 때문이다. 모든 상황은 매 순간 변화하는데 이런 식의 소원 담론은 매 순간 변화하는 삶을 고정시키고 싶은 욕망의 투사로 여겨진다. 변화하지 않고 결론이 나는 삶이라면 끔찍하게 지루하기에 소원 같은 것 이루지 않고 평생 유예 시키며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살고 싶으니까.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140
저 같은 경우는 "내 부하가 되어주렴♡" 이라고 할테예요ㅋㅋㅋ
그쵸그쵸?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