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에 쓴 홉스의 책, 『리바이어던』엔 국가를 인공인간 혹은 기계적인 인간으로 묘사하는 장면이 있다. 영혼은 주권자/통치자고 관절은 행정 관리고, 뭐 이런 식의 비유. 나는 이 비유가 재밌고 신선했다. 하지만 영문학이 전공인 나의 선생님께서 말하길 17, 18세기엔 인간과 기계를 홉스처럼 비유하는 것이 상당히 일반적인 방식이었다고 한다. 인간과 기계 간의 비유가 18, 19세기엔 기계를 유기체로 비유하기 시작한다고. 유기체로서의 기계를 가장 잘 묘사한 책 중 하나가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일 듯. 선생님의 전공이 영국 낭만주의 문학이라 여기까지 언급하셨다. 근데 나는 장르소설에 관심이 있는 인간이라 다음 말을 덧붙였다: "아, 그래서 19세기 후반부터 쥘 베른을 비롯한 SF 소설이 등장하기 시작하는 거네요."
나의 덧붙임은 나 자신이 이제야 깨달은 바이기도 하다. 확실히, 사회적인 배경과 역사에 무관하게 탄생하는 새로운 장르는 없다. 아울러 공부는 내가 좋아하는 일에 더 많은 깨달음과 앎을 주는 과정이기도 하다. 장르소설 초기까지의 상황과 관련한 문헌을 찾아 읽어도 재밌을 거 같다.
1800년대면 포(Edgar Allan Poe)가 추리소설을 쓰기 시작한 시기면서 인간을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존재로 파악하던 시기다. 이해할 수 없는 사건도 합리적으로, 추론과 논리 그리고 상상력을 통해 이해하고 납득할 수 있다고 믿던 시기. 추리소설이나 SF와 같은 장르에서 등장하는 인간의 합리성, 이성, 과학적 사고는 사실 현실의 불합리하고 비합리적인 상황에서 도피하려는 욕망이거나 더욱더 건조하게 직시하려는 욕망의 표현이지 않을까. 과학적 사고로는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일상을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을 너무 잘 알기에 장르소설이 등장한 건 아닐는지. 포의 시와 소설에서 공통으로 읽을 수 있는 합리와 비합리의 공존은 이를 반영하는 건 아닐는지. 공부가 부족하여 막연한 추측일 뿐이지만.
+
논문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있는데, 큰일이다. 문제점이 너무 많이 보여서 이젠 감당이 안 된다. -_-;;
나의 덧붙임은 나 자신이 이제야 깨달은 바이기도 하다. 확실히, 사회적인 배경과 역사에 무관하게 탄생하는 새로운 장르는 없다. 아울러 공부는 내가 좋아하는 일에 더 많은 깨달음과 앎을 주는 과정이기도 하다. 장르소설 초기까지의 상황과 관련한 문헌을 찾아 읽어도 재밌을 거 같다.
1800년대면 포(Edgar Allan Poe)가 추리소설을 쓰기 시작한 시기면서 인간을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존재로 파악하던 시기다. 이해할 수 없는 사건도 합리적으로, 추론과 논리 그리고 상상력을 통해 이해하고 납득할 수 있다고 믿던 시기. 추리소설이나 SF와 같은 장르에서 등장하는 인간의 합리성, 이성, 과학적 사고는 사실 현실의 불합리하고 비합리적인 상황에서 도피하려는 욕망이거나 더욱더 건조하게 직시하려는 욕망의 표현이지 않을까. 과학적 사고로는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일상을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을 너무 잘 알기에 장르소설이 등장한 건 아닐는지. 포의 시와 소설에서 공통으로 읽을 수 있는 합리와 비합리의 공존은 이를 반영하는 건 아닐는지. 공부가 부족하여 막연한 추측일 뿐이지만.
+
논문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있는데, 큰일이다. 문제점이 너무 많이 보여서 이젠 감당이 안 된다. -_-;;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1380
저와는 완전 무관한 일인데 나때문인가 싶어 말도 못 하고 혼자 속앓이 하는 경우가 무척 많아서요... 헤헤.
그래서 다행이에요. 힘내세요! ^^
아마 올 연말에 제본을 넘길 예정이에요. 그러니 내년엔 받으실 가능성이 있고요.
고맙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해요. 흑흑
길게 쓴 발제문이라고 생각하면 편하실 거예요.
너무 부끄러워요... ㅠ_ㅠ
하지만 저의 논문이 들어가면 오염될 거 같아요. ㅠ_ㅠ
제 논문의 가장 좋은 활용도는 라면 냄비 받침대보다는 책상이나 가구의 높이가 안 맞을 때 쓰는 것이 아닐까 해요. 흐흐흐. -_-;;
돌려 보는 게 사실 더 민망해요. 흐. ;;
어차피 좀 넉넉하게 찍을 예정이라서요. 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