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인이 이랑에 쓴 글 중에 '자주' 떠올리는 글은 "'지나친' 미안함"이란 글이다. 이 글이 잘 썼다는 말이 아니라 루인의 갈망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일테면 페미니즘과 같은 집단에서 '정치적 소수자'가 권력을 가지고 '정치적 소수자'의 언설에 다른 사람들이 침묵하는 상황을 루인은 끔찍하게도 싫어한다. 침묵 자체가 이미 '정치적 올바름'이란 판타지/폭력의 실현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정치적 소수자'의 발언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누구도 절대적으로 정확한 이론이나 말을 할 수 있다고 몸앓지 않는다(그것 자체가 환상이다). 다만 자신이 서 있는 자리에서 자신의 언어를 말 할 수 있을 뿐이다. '장애'인 '문제'에 대해 비장애인이 말하는 것이, 아프리칸-아메리칸 '문제'에 대해 백인이 말하는 것이, 비이성애자의 고통에 대해 '이성애'자가 말하는 것이 무조건 문제가 있다고 몸앓지 않는다. 물론 기존의 특정한 누군가(일테면 미국 중산층 '이성애자' 비'장애'인 백인 '남성')의 말만이 권력을 가진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그렇다고 '정치적 소수자'의 언어만이 권력을 가지는 것도 문제다. 일테면 '게이'문학('게이'문학이란 말 자체가 문제적이지만 여기선, 그런 것이 있다고 치고-_-;;)에 대해 '이성애'자는 침묵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이성애'자라는 정체성/위치를 통해 독해하고 말할 수 있는 것이 좋다고 믿는다. '게이'문학에 대한 '이성애'자의 해석, '레즈비언'의 해석, '게이'의 해석, '장애'인 비/'이성애'자의 해석 등등 무수하게 다양한 해석들이 나오고 각자의 위치에서 말할 때에야 서로의 다른 위치들이 각자 어떤 식으로 읽고 있는지 소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어떤 (가해) 상황에 대해, 마냥 죄송함을 표현하기 보다는 어째서 그런 언설을 했는지 말하고 피해 경험자는 왜 그것이 폭력인지 말할 수 있길 바란다. 피해 경험자가 "그건 폭력이야"라고 했을 때, 마냥 죄송하다는 말만 한다면 그건 피해 경험자를 (그리고 피해 상황을) 더 외롭게 만드는 일이다.
2005/10/23 23:17 2005/10/23 23:17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119
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