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혈연가족들과 살던 시절, 집에 있는 전화기는 말 그대로 집전화였다. 시간이 한참 지나서야 핸드폰도 생겼지만, 누가 받을 지 알 수 없는 그런 집전화만 있었다. 혼자 살지 않는 사람의 집에 전화를 한다는 건, 누가 받을지 알 수 없는 일이기에 어떤 예의 같은 게 있었다. 일테면 밤 9시 즈음부터 아침 8시 즈음까진 전화를 하지 않는 것. 이건 일종의 암묵적인 약속이자, 부모님들의 반응에 기인했다. 밤 9시 넘어서, 혹은 아침 8시도 안 된 시간에 누군가의 전화가 오면, "이 시간에 누가 전화를 하냐"는 말을 하며 전화를 받으셨다. 물론 이럴 경우, 상당히 긴급하거나 꽤나 중요한 내용이 대부분이었고.


돌이켜보면 이런 경험들이 몸 깊숙이 새겨져 있는 것 같다. 학교로 서울에 와야 했을 때, 사실 핸드폰은 사고 싶지 않았다. 그저 "핸드폰이 없으면 알바를 못 구한다"는 협박에 핸드폰을 사긴 했지만 번호를 알려준 사람은 별로 없었다. 그렇게 몇 명이 핸드폰 번호를 알던 시절이었나. 밤 9시가 넘은 시간에 전화가 왔다. 지금에야 이 시간에 전화가 오는 것 즈음 별거 아니지만, 그땐 깜짝 놀랐고 속으로 '아니, 이렇게 늦은 시간에 무슨 전화람.'이라고 궁시렁거렸다. 부산 집에서 20년간 살며 몸에 익은 반응들이 자연스럽게 나왔다. 집전화는 몰라도 핸드폰으로 밤 9시에 전화하는 게 드문 일이 아니란 사실에 익숙해지는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고, 여전히 낯설긴 마찬가지다.


하지만 내가 정말, 밤 11시부터 아침 6시 사이에 전화건 문자건, 핸드폰으로 연락하는 걸 엄청나게 싫어하는 건, 이런 체화된 경험들 때문만이 아니다. 실제 몇 시에 잠들고 몇 시에 일어 나는지와는 별도로 이 시간은 "공식적으로" 잠든 시간이다. 자는 시간이라서 문제가 아니라, 한 번 잠에서 깨면 다시 잠들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렇게 중간에 한 번 깨면 그 효과와 스트레스가 며칠을 지속하는 편이다. 일테면 중간에 한 번 깨면, 다음날 하루 종일 졸린다거나 며칠 동안 멍한 상태로 스트레스를 받는다거나.


더군다나 그 연락이 그렇게 늦은 시간에 해야 할 만큼 급한 내용도 아닐 때, 스트레스는 더 심하고, 그 시간에 내가 자고 있다는 걸 아는 사람이 그랬다면, 종종 짜증도 밀려온다. 무슨 일을 해야 한다거나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식의 내용일 경우, 연락을 받고 바로 확인을 하는 것도 아닐뿐더러, 스트레스로 일 자체를 아예 안 하는 경우도 많다.


이 글도 며칠 전에 늦은 시간에 온 몇 통의 문자로 스트레스를 받아서 쓰고 있다. -_-;; 12시 넘어서 온 문자까지는 그렇다고 해도 새벽 1시 반 즈음에 문자를 보낸다는 건, 정말이지…. 어제부터 스트레스를 잔뜩 받고 있는데, 스팸으로 등록할까, 수신거부를 할까 심각하게 고민했다. 이번엔 그냥 넘어가도 나중엔 진짜 실행할 지도 모른다. 문제라면 스팸이나 수신거부 번호로 등록했을 때 나중에 취소하는 방법을 모른다는 거.;;; 크크크
2008/01/11 11:29 2008/01/11 11:29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1131
  1. 벨로  2008/01/11 12:2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전화를 꺼 놓고 주무심이..; ㅋㅋ
    • 루인  2008/01/12 14:59     댓글주소  수정/삭제
      아침 알람 소리로 핸드폰을 사용해서요;;; 흐흐
    • 벨로  2008/01/15 11:03     댓글주소  수정/삭제
      알람 시계를 하나 사세요~ 이쁘고 싼 걸로 ㅎㅎ;
    • 루인  2008/01/15 15:45     댓글주소  수정/삭제
      알람시계는 한 번 울리고 끝이라는 한계가 있어서요. 흐흐 -_-;; 핸드폰은 기본적으로 7번의 알람도 가능해서 좋아하는 편이에요. 흐흐
  2. 미즈키  2008/01/11 14:28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저는 이제 그냥 포기하고 살아요.
    뭐, 워낙에 측근들은 제가 마음 내킬 때만 전화받는다는 사실과 일찍 잔다는 사실을 너무 잘 알고 있고..ㅎㅎ
    • 루인  2008/01/12 15:00     댓글주소  수정/삭제
      흐흐. 저도 한 편으론 포기하려고 하는데도, 막상 또 문자나 전화가 와서 잠에서 깨면 스트레스가 확, 밀려오더라고요. 흐흐 ;;;
  3. 라니  2008/01/11 16:2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크리스마스와 새해 새벽에 뒤늦게 배달되는 지인들의 문자에 자다말고 어찌나 놀랐는지.. +_+ 그건 모두 통신사의 잘못이라지만.. 생새벽에 잠 안오면 전화하는 대상으로 찍혀 산지 오래인 올빼미 인생에도 나름의 아픔이 있지요. ㅎㅎ
    • 루인  2008/01/12 15:02     댓글주소  수정/삭제
      흐흐흐. 그렇긴 해요. 친한 친구가 올빼미 인생인데, 올빼이 인생은 올빼미 인생대로 애환;;이 있더라고요. 흐흐
  4. 여울바람  2008/01/11 21:51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서울 올라오고 나서,
    대부분의 주위사람들이 '올빼미'족이다 보니 늦게까지 문자나 채팅에 익숙해진 적이 있어요.=_=;
    뭐랄까. 잠이 올 때의 상태로 대화한다는 것의 묘한 호기심..?
    .....물론, 지금은 거의 하지 않지만요.-_-;
    • 루인  2008/01/12 15:04     댓글주소  수정/삭제
      앗, 저도 부산에 살 땐 전화를 한다거나 채팅 같은 걸 할 일이 없었는데, 서울에 올라온 이후로 이런 경험이 낯설고도 재밌었던 경험이 있어요.
      물론 지금은 메신저 같은 거 전혀 안 하지만요. 흐흐
  5. 혜림.  2008/01/12 01:23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전화까지는 못하는 소심쟁이지만, 문자는 나중에 봐도 되니까, 괜찮아- 아침(이 아니라 이미 해가 중천에 떠있는 시간)에 보내면 너무 늦잖아! 해서 문자는 엄청 늦은 시간에도 꽤 보내는 올빼미족인데 저기 가서 손들고 서있어야겠어요 우잉 ;ㅅ;
    • 루인  2008/01/12 15:05     댓글주소  수정/삭제
      아니, 그게, 문자 소리에 잠에서 안 깨면 괜찮을 거 같은데, 제가 자다가 중간에 깨어나는 일에 좀 민감해서 그럴 뿐이에요. ;;;
  6. CandyD  2008/01/12 12:31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죄송해요. 엉엉엉 ㅠ
  7. 손톱깍이  2008/01/12 21:2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저도 11시부터 아침7시 까지, 취침시간에 오는 전화는 굉장히 무례하다..라고 생각하는데, 활동을 하다 보니 이런 무례한 시간과 공간침해에 익숙해졌달까요, 저도 그렇게 되고..말이죠.
    흠.. 그래도 되도록이면 그러고 싶지 않아요. 앞으로라도 말이죠. 그렇게 지키길 포기햐려 했는데 왠지 루인님 글에 힘받습니다. ㅋㅋㅋ
    • 루인  2008/01/13 15:29     댓글주소  수정/삭제
      정말 활동을 하다보면 자는 시간이 없는 게 정설인가 싶을 때가 있어요. 흐흐 -_-;;;
      그래도 쉬는 시간이라고 불리는 어떤 시간에 쉬고 싶잖아요. 헤헤.
  8. 키드  2008/01/14 10:24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저 같은 경우에도 핸드폰임에도 불구하고 밤 늦게 전화하는 거는 정말 싫더라고요. 그나마 용서할 수 있는받을 수 있는 시간은 12시까지? (정말 급한 일이 아니고서야! 그 밤에! 할 이야기가 뭐가 있다구 =_=) 문자의 경우는 담날 아침에 확인해도 된다는 의미로 그렇게 보내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 문자 오는 소리에 잠이 깨면 아무래도 좀 기분이 상하죠; -.-
    • 루인  2008/01/14 12:29     댓글주소  수정/삭제
      그래요. 문자가 스트레스인 건, 문자 소리에 잠을 깬다는 거 같아요. 의외로 문자도착을 알리는 소리가 크잖아요.
      사실 핸드폰을 알람이랑 시계로만 쓰지 않아도 거의 안 켜고 다닐 거 같아요. 흐흐
openclose